수능이랑 내신중에 뭐가 더 공정할까?(진지한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000748
분석해보면
1. 수능은 하루에 결정되고, 내신은 3년 동안 약 12번의 시험을 봄.
근데 생각해보면 3년 내내 꾸준하기 보다는, 내신 기간과 평소 공부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 벼락치기처럼.
수능은 하루 보지만, 실력을 올려 일정한 등급이 나오려면 꾸준한 노력 필요.
물론 수능은 외우거나, 단기간 빠르게 올릴 수 있는 시험이 아니기에, 뇌지컬이 많이 작용한다고 생각. 특히 국어.
2. 수능은 전국 수험생과 경쟁이고, 내신은 학교 동급생들과의 경쟁.
내신은 학교레벨에 따라, 같은 실력에, 다른 점수 가능.
3. 내신의 장점. 수행평가, 학생부, 교과평가 등 공교육 활성화에 기여. 하지만 이게 단점일 수도 있음.
내가 1,2학년 학생부 챙기면서 뭔가 선생님께 잘 보여야 되니까 스트레스 받는 측면도 있었음.
공부를 한다기 보다, 보여주기식 활동같은 것.
입시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고 봄.
1) 대학에 들어갈 인재를 가리는 것.
2) 이미 서열화된 대학을 능력에 따라 가질 수 있게 하는 것.
결국 적합성과 공정성에 맞는 제도가 필요.
내신과 수능 중 이 두개를 충족하는 쪽은 어디일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알바끝! 4
오늘 손님 별루 없었어
-
"복권 1등"
-
그나마 풀고 싶은 문제 수도 한 손으로 셀 수 있을 정도
-
추가모집 상담 때문에 계속 입결 보게 되는데 한서삼 되는데 가천 안되는 분들이...
-
다자러갔나 3
물론인증은안함
-
주량 좋은데 맛없다고 느끼는 게 진짜 재능인 거 같음
-
킁 1
-
칭찬해줘 중간에 전담 피긴 했는데 연초는 파이널부터 지근까지 쭉 끊음
-
고대 인문 643으로 붙을 수 있는 과 있었나요?? 3
고대 빵 많이 났다던데..
-
작수 기준 언미물1화1 93 98 2 60 90 인데 낮반 걸리겠죠.. 일단 관은 3관입니다
-
연대는 쫄아서 공대를 못쓰고 자과를 쓰는 바람에 넉넉하게 붙었는데 상향으로 지른...
-
속이 거북함 어지러움 ㅡ
-
이런 문제는 11
수학에 재능없어도 누구나 다 풀수있음? 도형의 넓이나 길이 이런게 약해..
-
20살 먹도록 한번도 안해보다가 대학 가서 친구들이랑 피방 가는 상황 생각하고 겜...
-
좀더 마르고싶다 13
50키로정도까지
-
아 카페를 먼저올렸네(카페는 2차임) 여동생의 존재로인해 술은 빠꾸당함뇨
-
내 얘기임. 공부는 이게 고3인가 싶을 정도로 진짜 좆도 안하고 맨날 노는데 입시...
-
월월월
-
1단원 2단원은 완전 실생활이랑 동떨어져있는 생윤같은 내용 그나마 거시경제 국제경제...
-
개못핵이런거임?? 중딩때 쓰던 계정인데 시발 뭔 티어도 ㅂㅅ에 실력도 ㅂㅅ인데 이거 어케 풀어
공교육 활성화의 기여 << 이게 너무 열받음
공교육 퀄리티를 높힐 생각은 안하고 공교육을 안할 수가없게 만들기 ㅋㅋ 국방부식 일처리임 ㅋㅋ
나랑 비슷하네. 능력을 발전시켜 수요를 늘리기보다, 제도의 반강제성을 이용한 방법.
억지로라도 해야됨. 공교육 억지로라도 살려놓지 않는다면 한 나라의 교육이 메가스터디나 시대인재 같은 대형 사기업에 잠식당할 수도 있음
수능으로 왔지만 솔직히 내신 하는 녀석들이 공부 더 꾸준히 하는 것 같음
성실성 평가는 내신이 맞는 것 같지만
수능은 전국 단위로 평가하는 거니까 공정성 면에선 수능인 듯
그래도 공교육 활성화는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