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on [623738] · MS 2015 · 쪽지

2015-12-19 12:55:32
조회수 536

[색시한 세모변] 12월 19일 Landon의 "소통과 공감의 영어" 첫번째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90034


안녕하세요. “소통과 공감의 영어를 표방하는 Landon 인사드립니다.

1주일에 1회 "색시한세모변문제를 가지고 여러분들을 찾아 뵙겠습니다.



먼저 2015 세모변 수능특강에 출제 되었던 문항을 같이 살펴 보실까요? ^^

When a person watches a television movie or listens to a compact disc, it is reasonably clear that the prime purpose of the communication is entertainment. Television news shows might be watched to gain information, but the television stations a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

Are television news and newspaper reporting really just other forms of entertainment? You might argue that listening to the radio in the morning to check traffic conditions is information gathering. Calling a travel agent to make an airline reservation clearly is an example of using the telephone as an information tool. But talking by telephone for hours with a distant friend is an entertaining way to keep in contact and exchange information of what is happening.


carefully chosen broadcasting materials

presenting news in an entertaining fashion

getting information from radio and newspaper

the impact of mass media that it has on people

identifying distinct ways for each communication


이 글의 첫 문장에서 의사소통의 주된 목적은 오락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빈칸이 있는 문장에서 텔레비전 뉴스쇼 시청의 주된 목적이 정보 수집이라고 하지만, 텔레비전 방송국은 즐거움을 주는 방식으로 뉴스를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는 내용이 되어야 하므로 즐거움을 주는 방식으로 뉴스를 제공하는 것(presenting news in an entertaining fashion)이 정답이다.

주의 깊게 선택된 방송 자료

라디오나 신문에서 정보를 얻는 것

대중매체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력

각각의 의사소통에 대한 특별한 방식을 찾는 것



항상 빈칸 문제는 글의 주제와 연관 지어 정답을 고르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선지 구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변형 교재를 보실 때 빈칸문제의 경우 터무니없는 선택지를 넣어서 문제를 만드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살펴주시면 학습에 도움이 됩니다. 번 선지는 본문에 나온 the television stations (TV 방송국)이라는 단어에 착안하여, 방송국에서 방송 자료를 선택할 때 주의를 기울여 고른다는 것에 착안하여 오답을 유도하였습니다. 뉴스를 즐거움을 주는 방식으로 제공 한다는 글의 핵심 주제와 벗어나 있습니다. , 번도 마찬가지로 글의 주제와는 무관한 서술입니다.



이 문제는 글의 주제와 무관한 내용혹은 부분 일치를 다른 선지로 제시하여 글의 주제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데 의의를 둔 문제입니다. 모의고사나 수능에서도 선지를 구성할 때 무관한 내용과 부분일치를 늘 제시합니다. 다만 본문에 “entertainment”라는 단어가 제시되어 있는데, 번 선지에서 entertaining fashion 이라는 어구가 사용되어 다소 쉬운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본문을 약간 각색하는 형태로 “presenting news in an amusing fashion” 정도로 선지를 구성하는 것은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도 갖게 됩니다.



동의어 학습의 중요성은 여러분께서도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 entertaining즐거움을 주는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니, 이를 amusing, humorous, hilarious 등의 동의어 학습을 하면서 공부하시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어휘마다 문장에서의 쓰임은 약간의 차이는 있습니다. 이 중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어휘가 amusing이므로 정답인 번선지에 약간의 각색을 가해봤습니다.



2015년도 혹은 그 이전이라도 세모변을 통해 여러분들께서 학습하셨던 내용을 다시 살펴보고 이 문항들이 어떤 식으로 변형되었는지를 살피면서, 이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이고 나에게 어떤 도움이 되는가를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또 필요하다면 더 좋은 방향으로 개선점을 생각하면서 항상 학습자 입장에서 최선의 문제가 나올 수 있도록 늘 소통하며 공감하겠습니다.



Landon소통과 공감의 영어를 모토로 여러분들과 대화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다음 주에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