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은 왜 휴학을 하고있는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896469
안녕하세요? 이제 거의 입시가 마무리된 시점이네요
이 글을 보실분들은 주로 이번에 의대에 합격한 25학번 분들이겠죠?
우선 그 동안 참 고생 많으셨고 합격을 축하드립니다.
의대생들은 올해도 휴학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인데요
얼핏 생각하면 그냥 다니는게 낫지않나? 왜 저렇게까지 하나 싶으실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각 대학에서 OT를 진행하기도 하겠지만
막상 필의패(필수의료패키),당연지정제,사법리스크,바이탈 기피 이런것들을
어디서 어떻게 찾아봐야할지 또 찾아봐도 쉽게 와닿지가 않으니 이와 관련된 썰들을 풀어볼까 합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1.필수의료패키지와 당연지정제가 문제입니다
정부는 말로는 수가를 올려주고 사법리스크를 낮춰주겠다고 하지만 말만 번드르할 뿐 알맹이는 없는
보여주기식 단기적 대책에 불과합니다.
2.사법리스크가 매우 심각합니다
멀리 갈것도 없이 당장 얼마전에 데이트폭력 피해 환자를 치료한 의사도 같이 책임을
공동으로 지라는 판결이 나와서 논란이었습니다
3.정부는 근본적인 해결은 하지 않고 의대정원(의대증원)을 늘려서 낙수효과를 내겠다고 하고있습니다.
옛날에도 비슷한 경제성장 논리를 펼치는 박근혜 정권이있었고 결과는 처참한 실패였죠
그리고 의사는 정보권력,지식권력을 쥐고 있고 더욱이 우리나라는 당연지정제로 수가가 정해져있는 상황이라
무턱대고 의사수만 늘리면 의사들의 도덕적 해이와 과잉진료를 불러일으켜 오히려
건보재정은 더 빨리 고갈되게됩니다. 이는 실증적으로도 수많은 사례와 논문들을 통해 밝혀져있습니다.
우선 입문으로 이와 관련되어 비교적 쉽게 설명하는 유튜브 영상을 하나 소개할까합니다
유튜브 지식의 칼 이라는 채널입니다.
챗 GPT등을 통해 해당 영상의 내용을 요약한 것도 첨부하겠습니다.
이 영상은 한국 의료 시스템의 당연지정제와 수가 문제, 그리고 의료계의 구조적 문제를 설명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연지정제:
- 모든 의사가 국가 건강보험 체계에 강제적으로 포함됨.
- 국가가 진료비(수가)를 정하고, 의사는 이를 따를 수밖에 없음.
- 외국과 달리 의료기관이 자유롭게 요금을 책정할 수 없음.
수가 문제:
- 국가가 책정한 수가는 의료 원가의 약 70% 수준.
- 병원은 원가 이하의 급여 진료를 하고, 부족분을 비급여 진료로 보충.
- 비급여 진료가 많은 과(피부과, 성형외과)는 수익이 높고, 필수과(소아과, 산부인과 등)는 운영이 어려움.
의료 붕괴와 기피과 문제:
- 낮은 수가와 높은 법적 리스크(소송 증가)로 인해 필수과 기피 현상 심화.
- 특히 소아과, 산부인과, 응급의학과 등은 지원자가 급감.
- 예를 들어, 신생아 사망 사건으로 인해 소아과 기피가 심해짐.
정부와 의료계의 입장 차이:
- 정부: 의사 수를 늘리면 필수과 부족 문제가 해결될 것(낙수 효과).
- 의료계: 의사 수 증가보다 수가 정상화와 법적 리스크 해결이 우선.
결론:
- 의료계는 "수가 정상화와 법률 리스크 해결이 우선"이라고 주장.
- 정부는 "의사 수를 늘리면 문제 해결"된다고 주장.
- 단순히 의사 수를 늘려서는 필수과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근본적인 구조 개혁이 필요함.
솔직히 말하면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패키지가 정말로 확정된다면
의대에 남아있을 이유가 없는 수준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정도입니다.
95%가 넘는 인원이 단지 주변의 눈치와 강요때문에 휴학을 할까요?
또 전공의들이 단지 단체행동만을 위해 사직을 했을까요?
로컬 수련이 실제적으로 배울 것도 더 많고 근로조건도 적어도 대학병원의 수련보다는 합리적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사직 전공의가 많아지면서 페이 후려치기가 시작되었지만요)
어디서 부터 어떻게 썰을 풀어야할지 긴 이야기가 되겠지만
차근 차근 이야기를 전해볼까합니다.
0 XDK (+10)
-
10
-
궁금하네
-
서울대의 그 위상은 크게 안달라질듯 제목이 뜻하는 거는 그거임 의대가 지금처럼 미친...
-
근데 진짜 졸업장 완전히 똑같이 나오는 거 가능함? 3
진짜 캠퍼스 기입 금지 이런식으로 해서 기업같은 데서 아예 구분 못하게
-
제주대 갈거면 학비도 알아서 내라 하심 진짜 울 뻔 했다...
-
나 : 아빠 이름 정우성으로 바꾼다고 안잘생겨지잖아요 아빠 : 그건맞는데이놈아...
-
갑자기 뭐노
-
정책이 서울대 10개 만들기인건 좀 짜치는 거 맞는데 2
지거국 역량 강화로 생각하면 괜찮다니까
-
효율 올라간다vs효율 떨어진다
-
칸트 테일러 싱어 각각의 입장에서 옳은 것을 고르시오(벤다이어그램처럼 풀 것) ㄱ....
-
살빼야함
-
설의출신으로 변신하기^___^
-
차라리 지방 내에서 입지를 더 공고히 할 수 있게 하던가 10
무슨 서울대에서 발사한 드론인 것 마냥 서울1대 서울2대 우리나라가 그냥 서울과...
-
등급컷이 ㅋㅋ
-
포공도 점점 떨어지는데 지방을 먼저 살려야 올라갈수있지 순서가 반대인거같은데 된다고...
-
목적이 지거국 살리자고 이러는게 아니라는게 더 괘씸함 5
내란부역자 서울대학교 부수기 검찰청 부수기 육사 부수기 대 재 명
-
하든 말든 0
관심도 없음
-
오옹 0
211120 처음풀엇는데 6분컷햇음 대칭은 신이얌
-
ㅈㄱㄴ.. 정답률 3퍼짜리 그냥 개같이 틀림
-
물리 고민 3
현재 방인혁쌤 물리 개념강의를 수강중인데 중간중간 문제를 먼저 풀고 강의를 들어야...
-
쌍지하다가 한지가 도저히 안 돼서 사문으로 갑니다 사문 아예 처음인데... 윤성훈...
-
진짜 지역 강화를 원하기 보다는 인서울 상위대학의 몰락을 원할거임 지역 강화 하지...
-
국가장학금 없애고 사립대 등록금 싹 인상 과거에는 집에 돈없으면 인서울 대학 못갔음...
-
다시 시험보면 수투도 1이엇을거같은데 이게 재밋단걸 너무늦게 깨달음
-
뉴런하고 수분감 스텝1까지풀었으면 팔구십퍼요 시빌리삼 4의규칙 중에 어떤 n제하는게 좋을까요?
-
돈줄게
-
설대 합격했는데 다음날 모든 게 평등해진다고 생각해보셈 1
대학 이름 다 똑같이 한다음 같은 대학이라는 명분으로 지역 그냥 랜덤으로 돌려서...
-
몇몇 대학글 입결, 선호도 상승만 보아도.
-
딴거 다 필요없고 하나만 물어보자 "이제 입학하는/또는 갓 입학한 의대 재학생이...
-
의치한약수설설설설설설설설설설카포떨 출격.
-
경북대버리고 가천대 10
여자들은 실제로 있던데
-
사다리를 다 짜르면 됨 그럼 출산율도 오르고 서울 과밀화도 해소됨 대학 진학율이...
-
8~90년대쯤.. 서성한 정도 찍을때랑 비슷할정도로 만드면 좋지않나] 부산이나...
-
지거국에 예산 퍼주기 > 뭔가 돈은 쓰는데 바뀌는게 없음 > 지거국 게이트 논란 >...
-
1년 반동안 국어쌤 4명들음 국마카세(국어강사 오마카세)임 김동욱->심찬우->정석민->박광일
-
말 잘듣고 속 안썩이면
-
다 해외로 런치고 있어서 그냥 공동학위해도 상관없을거 같긴한데 쉽지않네 흠 뭐 알아서 하겠지
-
대한민국은 서울공화국이라 힘들긴해 대한민국은 서울/그외 지역 이렇게 나뉘니까..
-
자동차보험 존나 때리려는 듯 의사가 제일 힘이 세니까 우선순위에서 밀릴것같긴한데...
-
나라 자체가 서울대카르텔 서울대공화국이라 타대학 대비 압도적인데 저런다고 떨어지겠나 싶음
-
도쿄대 가고싶다 1
ㄹㅇ
-
”서울사이버대학교를 다니고 내 인생이 달라졌다“
-
지거국에 뭔 지랄을 해도 ky못넘음
-
근데 저러면 8
KY가 진정한 승자 아님? 이름 딸깍 바꾼다고 고연대가 지거국한테 발릴 일은 없을...
-
ㅈㄱㄴ
-
뭔 사람아 이리많아 할리스나 투썸이 좋은거같음
-
승리의 university of korea단 있나? 0
대 고 려
-
소망 2
여친하고 남친하고 둘다 사귀고싶다
궁금한게 하나 있는데요. 2024년 연초 휴학당시에는 휴학의 이유에 당연지정제폐지 필수의료패키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습니다. 위 2개를 은근 슬쩍 24년 11월부터 끼워 넣은걸 뉴스에서 접했는데 이는 자신들의 미래의 이익을 위해 선동하는 주장아닌가요?
사실이 아닙니다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5774
2024년 3월 기사입니다 11월에 추가된 것이 아니고
원래부터 요구하던 사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