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시] 이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871181
어쩌면, 또 어쩌면
지는 해를 바라보며 멈추라 절규하는
주름 그득한 노인과 같은 일일지도 모른다.
조금만 더, 외치면서도
평생 오지 않을 조금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에겐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겐
일부러 같이 밟아갈 황홀한 가시밭길만 남아
고요한 적막 속에서 구름 위를 걸어가는
무지개가 될 것이다.
우린 찬란하게 빛나진 못해서
떨어져서 추락하겠지만
그 아픔마저도 사랑할테니
추락한 곳은 낙원이 될 것이다.
그곳에서 꽃을 피워낼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치동 식당 추천받아여 23
대치키즈긴 한데 안가본 식당이 많음 ㅠ 주말 점심에 밖에서 때울거라 혼밥 하기 쉬운곳 선호함
-
새루비들 안녕!! 37
오늘 보름달은 보셨나요!!
-
기하 평면벡터 7
원래 이렇게 어렵나요 이차곡선은 그래도 재밌게 했는데 어렵네요 ㅠ.ㅠ
-
코딱지팠는데 8
딱딱한고체가아니라풀처럼끈적한거여서안떨어짐
-
이쁜이
-
좋아하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
-
은 못하겠더라 2인분 이상 먹어야해서 그래서 일식집 미친듯이 좋아했음
-
8시에 기상해야함
-
재종 솔플하기 6
기대된다 흐흐 사실 난 혼밥하는것도 좋아함
-
한양대 근처에 구경할 거 많은 곳으로 추천해줘여 이쁜 대학 산책도 좋아하고 그냥...
-
김지우가 누구임 7
333으로고자전은뭐임
-
자기전에 유튜브로 우진쌤 썰푸시는거 보다가 잘려고 딱 누웠는데 계속 우진쌤 생각...
-
미점공자 빼고 최소 19명 빠졌네
-
소신발언 2
잠
-
제발 정신차려 제발 제발 제발!!!!!
-
엔수생 좀 있는 분위기 학과긴함ㅇㅇ
-
최악의 고백법 14
1. 스스로의 감정에 북받아쳐서 울면서 고백하기 2. 말로 안하고 편지로 써서...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옯생 2번째 글이 ㅋㅋ
-
군대 짬밥에 '스테이크' 나왔다…"재입대 가능할 듯" 13
마블링이 선명한 소고기가 군 장병 식단에 등장해 부러움을 자아내고 있다. 지난달...
-
인스타 팔로우 거는거 플러팅이죠?
-
내가너무비참해 4
난 너무 한심한 사람이야
-
야스의 기분 1
잠 12시간자기
-
난 딱복보단 7
북딱 우흥❤️
-
저야 정신과 가니 군인들 자주 봤지만 생각해보니 보통은 없을거같기도해서요
-
그냥 받아들이고 넘어가야 되는데 계속 아니 이게 왜 이런데? 이러니까 진도가 잘 안나가네요..
-
딱복숭아는 좀....
-
공부잘하는놈들이 잘생긴걸로 기만하는 메타는 좀 그렇잖아
-
이번에도 못 받겠지 받아 본적도 없지만
-
서강대 경제 붙었는데 교차지원이라 막상 다니려고 하니 뭔가 아쉽네요ㅠ 뭐 복전...
-
뚜루루
-
덕코를 기부해줄 천사어디 없나
-
너무 허벌이면 좀 그럼 딱 젤리같은 식감이 베스트
-
금욜밤에 가는것도 에반가
-
딱복 vs 물복 어느파인가요
-
수1 이새끼가 진짜 개노잼 힘숨찐임
-
Bo oh o wa er
-
너무특이해서 그런 행보를 밟는 사람이 더 있나 싶음 언젠가는 정말 대단한 사람이...
-
뭔가 세상을 알게 되는 기분 수과는 신기하긴 해도 그냥 공부하는 기분 아님말고
-
지금의 순간이 0
언젠간 웃을수있는 기억으로 남았으면 좋겠다
-
남자만나서 공부를 목하겠어요.. 사귀지도않는사이임 가볍게만나는 사이인데 심심해서...
-
한번도 딴거 안먹어봄
-
선착 1분 9
저의 쓰담쓰담을 드립니다
-
78단원이 ㄹㅈㄷ개어려움 진짜 머리빠질거같아오
-
나 우럿서 5
멘탈 잡기가 힘드
-
왜 자른 사진이랑 원본 사진 둘 다 올리냐고요..? 앞머리 망한거좀 보여주고싶어서요...
-
연대 빵 1
올해 연세대 빵꾸 왤케 많냐… 사과대 썼으면 1차추합으로 될 학과가 몇개야…. 하...
-
이거 호감 있는거임? 13
놀리는거아님? 나보다 한살어림
-
주변 지인들 보면 어쩔 수 없이 초조해짐. 많이 늦은 거 같음. 늦은게 맞고.
이 시는 이상적인 세계에 대한 갈망과 현실의 한계를 인식하면서도 의지를 가지고 나아가려는 태도를 담고 있다. 시는 전반적으로 현실에 대한 고뇌와 이상을 향한 갈망이 대비되며 마지막에는 그 이상이 실현될 것이라는 의지가 강조된다.
이 시는 현실의 무력감과 한계를 인식하면서 그 속에서 희망과 의미를 찾아 나아가려는 태도를 보여준다. 인간은 끊임없이 무언가를 갈망하지만 그것이 도달할 수 없는 목표일 수도 있음을 깨닫는다. 그러나 시인은 단순히 체념하지 않고 고난을 수용하여 그 속에서 아름다운 결과를 만들어내겠다는 의지를 강조한다.
결국 이 작품은 실패와 좌절을 경험하더라도 그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태도가 중요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특히 마지막에서 '추락한 곳이 낙원이 될 것'이라는 표현은 시련을 딛고 나아가는 삶의 태도를 역설적으로 강조하며 끝내 꽃을 피워내겠다는 결의로 마무리된다.
ㅋㅋㅋㅋㅋㅋㅋㅋ 보기 잘 적으셧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