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능국어 스타일에 떡밥에 대한 대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861935
수능 기출문제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 스타일은 지속적으로 변화해왔습니다.
특히 2024년 9월 모의평가부터 2025년 수능까지의 최근 기출을 분석해보면
'인지와 판단' 중심으로의 뚜렷한 변화가 감지됩니다.
이 부분은 대부분이 동의할 것입니다,
( 물론 에이어같은 예외가 있겠지만요
제 앞선 칼럼에서 언급했듯 수능은 결코 직전 연도의 시험을 그대로 복제하지 않습니다.
매년 변별의 기준점이 다르고 주목하는 핵심 포인트가 달라지며 낯설면서도 이전 기출과의 연결성이 명확한 특징을 보입니다.
그 결과 매년 강렬한 인상을 남기고 가지요.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경향성'의 성격입니다.
경향성은 평가원이 언제든 바꿀 수 있는 변수입니다.
( 최근 경향 중 문단의 커브틀기도 마찬가지 입니다.
최근 들어 자주 등장하는 문단의 구조 변화도 이러한 가변적 요소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전 기출들과의 연결지점이라는 '상수'입니다. 이는 변화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본질적 요소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안정적인 수능 성적을 받아내기 위해서는 이러한 상수에 주목해야 합니다.
단순히 변화하는 요소들에만 집중한다? 시험 점수 역시 불안정하게 변동할 수밖에 없습니다.
눈알굴리기 연습했는데 헤겔, 에이어, 브레턴, 어라운드뷰의 후손이 ㅎㅇ~하고 나오면 ㅎㅇ... 하고 썰리실겁니까?
평가원이라는 기관이 출제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현실이기에 우리는 그들의 출제 패턴을 면밀히 분석해야 합니다.
평가원 역시 자신들의 과거 출제 근거에 기반하여 문제를 출제하는 만큼 기출문제의 분석과 연구는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결국 현재의 평가원도 과거의 평가원에게 목줄을 잡혀 끌려다니는 형국이라고 봐야겠습니다.
현재의 평가원은 미래의 평가원의 목줄을 쥐고 있겠구요...
이처럼 수능 기출문제는 변화와 일관성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진화해왔습니다.
점수를 안정적으로 받아내기 위해서는 일관적인 상수를 분석하여 학습하시고나서
더 높은 상방을 위해 변화하는 변수를 분석하시기 바랍니다.
또 기출경향 떡밥이 돌아 써봤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베,디시 드립 치는 애들 많이 봤고 얼마 전에 여시 사건도 학교에서...
-
수업하는데 뻐꾸기 소리 존나 나고 까치가 산에서 날아와서 카미카제하고 맹금류...
-
다 푸는데 5시간 정도 걸림용 벡터에서 두 문제 정도 좀 어렵고 나머진 어삼쉬사...
-
3등급 이하 학생들은 노베다 이 등급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단어이다 단어를...
-
강매당한 이투스 모의고사 환불 신청하는 게 나을까요? 3
제가 더프, 이투스 모의고사 2개를 한 달에 2번 볼 것 같은데 지금 이 시기, 제...
-
남정네들이랑 꽃 잠깐 보고 다시 들어와서 우렀어
-
참가비 걷기
-
일단 말도 안되는 굇수들이 수학 문제를 촤라락 풀고 자랑질을 할 것 이다 이때 너는...
-
아오 환율시치 3
아.
-
백분위 98이란 말이죠… (고2땐 1~2 진동이었음) 이게 제 실력이 상승한 건지...
-
바로 나였음 ㅎㄷㄷ
-
오 5
밥맛있다
-
방사능인가요?
-
헛소리하길래 뒤질래?라고 했더니 이러는데 사귈까요?ㅇㅇ
-
13 14 21 28 29 계속 틀리는데 뭘 해야좋을까요 21 29은 그렇다 처도...
-
정답률 파악을 위해 문항마다 투표 올립니다. +국어 해설 작성에 능한 야인을 찾고자...
-
추천해주세용
-
자사고 내신 7 시작해서 전교1등 마무리 했는데 하위권학생들 과외 엄청 잘잡히네...
-
안녕하세요, 오르비클래스 영어강사 김지훈입니다. 3월 모의고사가 끝나고, 여러면에서...
눈알굴리기를 중심으로 두고 공부해도 썰리는건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수능 국어에서 눈알굴리기로 풀리는 문제가 45문제 중에 몇문제나 될까요?? 20문제가 그리 풀린다 하더라도 나머지 25문제는 어떡할건지요...? 사고력,독해력을 올리는게 기본이 된 후에 눈알굴리기도 다른 툴로써 가지고 있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이라 생각되네요 전.
좋은 글 감사합니다!
둘 다 하자가 제가 하고픈 말이었습니다
'점수를 안정적으로 받아내기 위해서는 일관적인 상수를 분석하여 학습하시고나서
더 높은 상방을 위해 변화하는 변수를 분석하시기 바랍니다.'
다시 읽어보시면 아실듯
이해와 감상으로 풀린적이있었나요??
언제나 인지와 판단이었다고봐서..
04이전은또모르겠네요
예 뭐 그쵸
글을 급하게 써서 뒷부분 하고픈 말하고 앞부분하고 딴말써놨네요
이해와 감상부분 수정해놨습니다.
막상 수업때 저도 그소릴하는데 글을 한번에 쓸라고 하니까 논탈이....
쓰고 수정을 해야하는데 올리고 수정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