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28수능에 내신 반영 변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834595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28수능 범위가
미/기/확+ 과탐 선택 -> 고1 수과학+ 확통으로 변해서
미적과 과학 과목를 평가하지 못하여 수시의 영향력이 증가한다는 주장이 많고 실제로 서울대도
수시 40% 수능 60%라는 ㅁㅊ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내신반영 기조가 그렇게 번질것 같지 않습니다.
1. 서울대/고려대 일부/부산대 의치 와 같이 내신반영을 했더니대학의 입결이 다른 학과대비 확연히 떨어졌습니다
-> 입결 상승을 위해서 내신 반영을 없애고 수능 100%로 가는 학교가 많을 것이다.
2. 면접으로 평가 가능
수시는 학교마다 다 다르고 현재의 실력을 측정 불가능 하지만
면접은 현재의 실력을 가장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3. 변별력 있음
평가원은 초등수학으로도 변별력 있는 시험을 낼 수 있는 출제기관입니다.
출제 범위가 줄어들어 문제가 더 괴랄해 지더라도 변별력 있는 출제는 가능할 것입니다.
4. 현재 일부 대학에서 사탐 공대가 가능
그것보다는 넓은 범위(통사+ 통과)로는 대학능력을 평가하기에 적합
5. 일반고에서 수능에 안나오는 미적분/기하+ 심화 과학 수업을 확실히 할지 불투명
개인적으로는 수능 100%면 좋겠고 차선책으로 정시+ 학교별 고사 반영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그 외 참고하는 좋을 사이트
시대인재 이민하 입시평가이사님의 분석(유튜브에 공개로 올라와 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08년생 정시파이터 였습니다.
많은 반박 부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과탐 하지므ㅏ 0
유경험자들이 하지 말라는 데는 다 이유가 있는 거야...
-
1컷 한 10점씩 내려갈듯..
-
돈이 곧 사회적 계급을 나타내는 사회에서 노블리스 오블리주가 요구되는 것은 어쩌면...
-
총 몇권정도 푸시나요???
-
공부시작 1
이얍
-
공부가 잘풀리고 뭘해야할지 명확하게 보이면 하루가 즐겁고 나의 표정도 밝다. 이...
-
찍맞 없어짐 + 실수 = 컷 내려감 따라서 문제 난이도 좀 낮춰도 괜찮을 거 같은ㄷㅣ
-
오네쇼타 0
요망한 년
-
사문 빠르게 돌릴 건데 개념이랑 검더텅 평행 ㄱㅊ? 0
다른 거 아예 안 하고 개념 인강 한 단원->검더텅 풀기 이런식으로 할 건데 ㄱㅊ?...
-
미적분도 확통런 영향 많이 큰가요
-
화1 선택하는 재수생인데 김준 문풀 따라가려면 개념 강의부터 들어야하나요..?...
-
이번 3모도 그렇고 꼭 한끗이 어긋나서 시간을 와장창 쓰거나 틀려버림ㅠ 미치겠다...
-
2028학년도 경희대 자연계열 이수 권장 과목(의예, 치의예, 한의예, 약학 포함) 0
https://blog.naver.com/analysis_81/223816650762
-
강남하이퍼 본관 0
강하 다녔거나 다니는 사람들 중에 장/단점 얘기해줄 분 계신가요?? 교재나...
-
서초 메가스터디 재종 다니려 하는데 다녔거나 다니는 사람들 중에 장/단점 얘기해줄...
-
배민 2만원 쿠폰 줄 사람 있냐
-
N제일지 #4 0
VORTEX(볼텍스) 수1 시간 안 재고 풀었어요(대충 8시간 정도 걸린듯)...
-
으흐흐 퇴근함 0
놀아주세요
-
6모 0
학원 신청이면 학원이 주소지,출신 고등학교랑 멀어도 상관없음? 글고 6,9모는 사진 필요없지?
1. 성대 중앙대 같은 학교도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상위권 대학은 정시 입결에 그리 민감하지 않습니다
특히 서울대는 더더욱요
2. 대학의 생각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100% 의견만 적어놓으셔서...
3. 대학은 수능의 변별력 여부보다는 출제범위 축소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역시 서울대는 더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고1수학 범위만으로 출제된 1컷 76점 수능보다, 과거 B형~가형 범위에서 출제된 1컷 92점짜리 시험지가 더 대입선발고사로써 의미 있는 평가라고 보는 거죠.
4. 우선 사탐공대 확대와 내신반영 확대 시기가 겹치기 때문에 설득력이 떨어지고,
사탐이나 통사통과나... 공대 입학에 그게 그거 같습니다
5. 하지만 불투명한 것이 미적분/기하/과학 심화를 100% 절대 안 다루는 수능보다는 매력적일 수 있겠죠.
1. 에는 동의합니다
SKY 라인에서는 내신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2,5,
전 불투명한걸 면접으로 해결할 수 있고 면접이 가장 정확한 평가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대학의 선호는 나오기 전까지 아무도 모른다는 점은 동의합니다
3
3도 의견에 어느 정도 동의하지만
변별력이 없기 때문에 대학에서 수능 비중을 축소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5. 영과고/외고 수시 학생과 (내신+ 일반고에서 특정 분야 괴물들)들
의 유입으로 (대학입장에서) 수시 출신이 가르치기에 더 수월할 것입니다.
하지만 sky 밑으로는 이러한 장점이 줄어들어서
밑 공대 입장에서는 수능잘 내신망 들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