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오이카와가 말아주는 기출문제 - 2006 MD 언어추론 <「국가」, 플라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736556
2006학년도 MD 언어추론 플라톤 국가.pdf
비정기 컨텐츠 <오이카와가 말아주는 기출문제>를 시작합니다.
기본적으로 기출 분석 컨텐츠는 많습니다. 하지만 이 중 정작 도움이 되는 컨텐츠는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한 문장에 달라붙는 한 문단이 넘어가는 해설, 논리적이지도 깔끔하지도 않은 선지판단...
그리하여 제가 직접 기출분석 컨텐츠를 연재해 보고자 합니다.
오늘 살펴보고자 하는 기출문제는 2006 MD 언어추론 11~13번 기출 문항입니다.
개인적으로 정말 좋아하는 기출이며 문학 학습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2024수능 당시 장안의 화제였던 '잊음을 논함' 지문의 경우, 비록 고전 수필이라는 text를 출제하였음에도 전형적으로 비문학에 가까운 독해(이중부정 및 트리 구조, 함수 관계)를 요구하는 문항이었습니다.
이처럼 변화된 문학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수능 평가원 기출만으로는 대비가 힘듭니다. 문학은 비문학화되고 있습니다. 이 사실을 빨리 catch할수록 성적은 빨리 오른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문학 시험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과거 MD 언어추론이나 LEET 언어이해에 출제된 고문국역 및 수필 텍스트를 풀어보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 지문 수능 2일전에 풀고 백분위 100 받았습니다.
특히 난해한 서술과, 비유적인 설명이 결이 비슷합니다.
물론 이 지문은 그보다 어렵고, 기본적인 존재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존재는 실재와 관념으로, 실재는 현상과 본체로 구분합니다.
이 정도로만 언급하고, 존재론이나 철학적으로 지문 외의 설명은 최대한 배제하며 지문을 분석해 봅시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첨부드린 자료를 먼저 풀어보시고 칼럼을 읽으시면 효과가 더 좋을 것입니다.
시작부터 난해합니다. 사실, 선분의 비유는 이 지문에서 핵심이 아닙니다. 핵심은 '존재'를 나누는 방식에 있습니다. 즉, 이 문단을 읽고 다음과 같은 구조도를 그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 빨간 화살표는 인과 관계입니다. 실제는 영상의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다음 부분입니다. 난해하기가 잊잊잊을 선녀처럼 보이게 만듭니다. 지문의 상대방도 "무슨 말씀이신지요?"라고 물어볼 정도입니다. 이에 보충 설명이 들어갑니다.
사실, 이 부분만 읽고도 앞서 구조도의 빈칸을 채울 수는 있습니다. 이 이후의 부분은 아래의 예시를 읽으며 채우기로 하겠습니다.
이 부류의 한 부분은 '가정에서 ~ 결론으로 나아가는 식으로 탐구'하는 반면, 다른 부분에서는 무가정의 원리로 나아간다고 합니다. 가정과 무가정은 A와 ~A이므로 이항대립적이며 MECE합니다.
가정해야 하는 것에 있어서, 혼은 결론을 도출할 뿐 일반적인 원리로는 나아가지 못합니다. 즉, 가정된 것 만으로는 일반적인 원리를 도출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아래 문단까지 읽어 줘야 비로소 가정과 무가정의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둘은 이항대립적이라는 것에 주목하여 보충도식과 보충도식의 이항대립으로 나타내 보겠습니다.
즉, 그 인식에 있어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이죠.
여기서 '인식하기 위해 꼭 가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는 얼핏 보기에 지문의 내용과 상충하는 것 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지문에 따르면 이성은 가정을 원리로서 대하는 것이 아닌 문자 그대로의 기반으로만 대한다고 하였습니다. 또, 이데아만을 이용하며 이데아에서 끝을 내린다고 하였으므로 그 부분에 주목한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탐구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관계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원리를 탐구하는 데에 있어 가정된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었습니다. 무가정의 것이 필요합니다.
우리 불쌍한 제자는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 같은데, 화자는 말을 끝내 버립니다. 그리고 이 4가지 분류에 대해 명칭을 부여하고, 이에 대해 '진리에 관여하는 만큼 명확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하고, 비례에 따라 차례대로 배열하라'고 주문합니다.
즉, 위와 같이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것입니다. 직관과 추론적 사고를 매칭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만, 확신과 상상을 매칭하는 것이 다소 tricky합니다.
지문에 따르면 셋째 것에 대하여는 확신을, 가장 하위의 것에 대하여는 상상을 배당하라고 합니다. 눈에 보이는 부류 중 닮음의 대상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고, 닮은 것은 실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저 눈에 보일 뿐이죠. 이 부분에 입각해 생각해 보면, 실제하는 대상이 영상에 비해 조금이나마 더 '명확성'을 갖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언어적 맥락에 따른 추론에 해당하겠습니다.
이제 문제로 가 보겠습니다.
ㄱ. 호수에 비친 달은 '상상'의 대상이다. (O)
: 호수에 비친 달은'닮은 것'의 정의에 부합합니다. 즉, 상상의 대상입니다.
ㄴ. 내가 앉아 있는 의자는 '확신'의 대상이다. (O)
: 내가 앉아 있는 의자는 실제하는 대상입니다. 따라서 확신입니다.
ㄷ. 열매 속의 씨앗은 '추론적 사고'의 대상이다. (X)
: 추론적 사고의 대상은 지성에 의해서야 인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열매 속의 씨앗은 눈으로 볼 수 있는 대상입니다.
ㄹ. 칠판에 그려진 직선은 '직관'의 대상이다. (X)
: 필자는 기하학의 대상은 추론의 대상이지 직관의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11번의 정답은 ①입니다.
① '선분'이 나뉘는 기준은 명확성 혹은 진리에 관여하는 정도이다. (O)
: 지문에 그대로 나와 있는 선지입니다. 필자는 선분을 명확성 또는 진리에 관여하는 정도를 근거로 나누려 하고 있습니다.
② 존재하는 것들을 네 가지 부류로 나누는 이면에는 가치의 서열이 개재되어 있다. (O)
: 이 선지를 정오판단하기 위해서는 '가치의 서열'이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지문의 '진리에 관여하는 정도'라는 부분을 가치의 서열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 본문에서 '최상위', '하위'라는 워딩을 사용한 것도 판단의 근거가 됩니다.
③ 존재하는 것들의 단계와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은 일대일 대응 관계에 있다. (O)
: 직관, 확신, 추론적 사고, 상상 모두 인식의 능력에 해당합니다. 일대일 대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④ 기하학이나 산술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그 어떤 감각적인 것도 이용하지 않고 도형이나 수 자체를 누구나 안다고 가정하고서 탐구한다. (X)
: 적어도 그들이 감각적인 것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그들은 이를테면 칠판에 그림을 그리는 것과 같이, 감각적으로 눈에 보이는 도형을 사용하기는 합니다.
⑤ '눈에 보이는 부류'가 '지성에 의해 알 수 있는 부류'에 대해 갖는 관계는, '의견의 대상'이 '인식의 대상'에 대해 갖는 관계와 같다. (O)
: 지문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온 선지입니다.
따라서 12번의 정답은 ④번입니다.
지성에 의해 알 수 있는 부분을 나누는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라는 문항입니다.
① '추론적 사고'와 '직관'이 갈리는 지점에서 나눈다. (O)
: 지문 내용 그대로입니다.
② 이데아만을 이용하여 탐구하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기준으로 나눈다. (O)
: 역시 지문 내용 그대로입니다.
③ 변증술적 논변의 힘에 의해 파악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으로 구별하여 나눈다. (O)
: 역시 지문 내용 그대로입니다.
④ 눈에 보이는 도형을 탐구하느냐, 이 도형이 닮아 보이는 사물을 탐구하느냐를 기준으로 나눈다. (X)
: '눈에 보이는' 부분이 우선 잘못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눈에 보이는 것을 탐구하지 않습니다. 또, '이 도형이 닮이 보이는 사물'도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 선지의 서술 대상은 눈에 보이는 부류와 지성에 의해 알 수 있는 부류를 나누는 기준으로 보는 것이 적당합니다.
⑤ 가정에서 출발하여 결론으로 나아가는 부분과 가정에서 출발하여 '무가정의 것'으로 나아가는 부분을 구별하여 나눈다. (O)
: 지문 내용 그대로입니다.
따라서 13번의 정답은 ④번입니다.
처음 써 본 본격 지문 분석 칼럼입니다. 여러 건의와 평가, 덕코는 저에게 힘이 됩니다.
다음번에는 2015 LEET <레비의 회색 지대> 지문 분석으로 돌아와 보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애옹 2
냐옹
-
젖지대머리문어 0
-
다음 주 부터 기숙들어가서 공부하려고합니다. 전년도 수능 33222 88 88 2...
-
범바오 필기노트 3
꼼꼼해서 좋긴한데 왜이렇게 가독성이 떨어지는거 같지...나만 그런가
-
그러면 이완용처럼 교과서에 내 이름 실려서 다같이 배우겠지
-
시나 소설 전 지문 싹 분석,해설 해주는 강좌 있나요? 물론 교재에도 전 지문 다...
-
애쓰지않을래
-
실모 도파민에 중독됩니다
-
1권당 20~25라던데 그럼 한 시즌마다 60~70인거 맞나요? 양 엄청 많네요
-
오늘 하루두 좋은 하루 되시기 ㄹ !
-
비데가 따로 필요 없네요
-
고2 부터 과외 한 학생인데 뭘 시키면 좋을 지 감 잡기가 어렵네 그렇다고 마스터...
-
뭘로 먹음
-
퀄리티 왤케 좋나요. 특히 14번 풀면서 감탄했네요. 난이도는 좀 높긴한데 안...
-
저격합니다 1
저, 격해요
-
진짜 너무너무 재밌어서 ㅈ같은 곳에서도 시간이 달달하게 녹을만한 책이어야 함 시발 암튼알려줘
-
저격한번 하겟음 4
저격
-
하려고해고백 4
난니가조아
-
여동생 예쁜편인데 12
내동생 나안닮아서 이쁜편인데 아 동생이학교친구들한테자랑하지말래서...
-
-입니다. 네. 이렇게 풀면- 이런식으로 말투하면은 가끔 별 4개 주고 이거는...
-
한완수 심특 2
나는 다해버려
-
이대로 살다간 수능 조지겠다 진짜..
-
휴 막차 겨우탐 3
다행이다
-
지금 중국에서 넘어오는 중국간첩들이 중국인인척 하는 북한인임? 개무서운데 ㄹㅇ
-
^필터샤워기^ 방향제 디퓨저 이런건 남들 다 카톡 선물하기로 많이 해줘서 개별로임...
-
수학 하방 1
어떻게 다져요...? 작년부터 계속 문제 잘못 읽거나 계산실수하거나 해서 점수 폭이...
-
수능대비용으로 괜찮나요? 문제 안거르고 싹 다 푸는거 연습중이기도 하고 피지컬...
-
다대기 붂딲 넣어서 밥말아먹으니 천국그자체였음
-
기대했는데 그냥 마라향 첨가한 육개장이었음
-
그냥 쌀밥만 먹어도 술술들어감
-
지킬때마다 기록
-
이상형 1
상대방을 자신의 기준에 맞추려 하지 않고 그 사람 있는 그대로 존중해 줄 수 있는...
-
쪽지 봐줘 오빠들
-
맛이 없기가 힘든 수준이지 않나여
-
두개 난이도 차이 어떤가요?
-
ㅇㄴ 4
작년 3덮 빌보드 기준 메디컬스카이는 생각보다 적네…? 난 올해 3덮 빌보드도 못 들었는데
-
갑자기 좋은(좋다고 생각하는) 국어 강사 생각나서 올림 글만읽어도 도움됨...
-
이매진 푸는중이고 다른건 괜찮은데 과학 기술에서 보기문제 이상한게 많네... 원래...
-
여친이랑 데이트할 때도 안 드시나요?
-
이런칼럼없나 1
오르비에서 분쟁에 휘말리지 않는 법 언급하지 말아야할 주제들 정리 저격회피하는법...
-
일단 독서는 새기분 이미 사서 하고 있는데 문학 강기분 거의 다 끝나가는데 3모...
-
현 제 상황이고요... 상황상 수능에 올인할 수 있는 건 8~9월부터 가능해요...
-
4등급 탈출하는 방법 이런거 될려나 아니면 김범준 필기노트 한수지 ver 이런거가능한가
-
https://orbi.kr/00072744760 제출 기간 : 4/7(월)...
-
갈수록안함. 학교수업안듣고 자습하긔
-
신난다!!!!!٩(^ᗜ^ )و
-
친구한테 풀어준다고 배짱 부렸는데 도저히 안 풀려요 살려주세요
-
게시글 정리하고 다시 가신 듯
-
말씀 드려야 할까요? 고3 담임쌤이요
일단 개추박고 감상

뭐야 내 칼럼은 칼럼도 아니였잖아원준쌤 존재 실존 관념 도식으로 허휘문제 말아주시던데
한문장당 양이 많아진 해설 ㅠㅜ
사실 쓰다보니 수업에서 못다한 말
하고픈 말을 다 쓰다보니 길어지더라구요

님저격아니에요 ㅜ그 부분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보니...
요새 고민이죠
개인적으로 해설은 짧게 끝내고, 별개의 보충설명이나 배경지식 설명을 곁들이는 구성이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 지문도 배경지식 넣을려면 한참 넣을 수 있어요(애초에 저 발화자가 소크라테스인거로 알아요)
와진짜개어렵긴하네요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