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독서 왜 어려울까? 약간의 국어 교육학 개론을 곁들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719031
국어 점수를 잘 받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잘 푸는 것이죠.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잘 읽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잘 읽고 잘 푼다. 언뜻 쉬워 보이지만 우리는 이 ‘잘 읽고 잘 푸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그렇다면 잘 읽고 잘 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수능국어의 정수인 ‘기출’을 푸는 것입니다.
국어는 기출로 시작해서 기출로 끝나는 과목입니다.
하지만 시중의 수많은 기출문제집에도 우리는 모두 1등급이 아닙니다.
분명 기출을 풀고 해설을 잘 읽으면 성적이 오를 것 같지만 성적은 쉽게 오르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 이유는 기출을 풀고 해설을 읽은 뒤 그냥 끝내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냥 끝내지 않는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답을 드리기에 앞서 우리가 기출 지문을 읽는 습관을 되돌아봅시다.
우리는 글을 ‘단어 → 문장 → 문단 → 글 전체’로 차근차근 확대시키며 읽어 나갑니다.
단어에서 다음 단어로 문장에서 다음 문장으로 문단에서 다음 문단으로 흐름에 따라 읽어가는 것입니다.
작은 단위에서 큰 단위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이러한 모델을 ‘상향식 모델’이라고 합니다.
이는 주로 글의 이해를 목적으로 하며 어린아이나 언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훈련 방법입니다.
반면, ‘하향식 읽기 모형’은 머리에 글 전체의 구조를 먼저 잡고, 글을 읽어나가는 방식입니다.
추리 문제를 풀 때 우리는 가끔 표를 그리거나 구조를 먼저 잡고 풀고는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그렇게 배웠기 때문입니다.
많은 추리 문제를 풀어보면서 스스로 익혔든, 아니면 누군가의 해설을 보았든 말이죠.
수능 지문도 마찬가지입니다.
숫자가 많은 경제 지문을 읽을 때 표로 시각화를 하게 되면 더 쉽게 이해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시를 읽기에 앞서 연을 구분하거나 <보기>를 참조하면 더 쉽게 이해가 될 때가 있겠지요.
이렇듯 주어진 지문에서 얻은 내용 뿐만 아니라 나의 경험이나 지식, 정보 등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한 인지적 틀 혹은 개념적 구조를 먼저 잡아두고 글을 읽으며 그 틀을 채워나가는 방법을 ‘하향식 읽기 모형’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인지적 틀 혹은 개념적 구조를 우리는 ‘스키마(Scheme)’라고 부릅니다.
자 그러면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서, 우리가 국어 기출을 풀고 해설을 보고 나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바로 이 ‘하향식 읽기 모형’을 활용하기 위한 구조 혹은 틀을 만들어야 합니다.
여기서 바로 1등급과 1등급 아닌 학생이 갈리게 되는 것입니다.
평가원은 지난 수십 년간 일관되게 ‘지문 서술 방식’과 ‘선지 구성 방식’을 사용해 왔습니다.
1등급의 학생들은 이 방식들을 구조 혹은 틀로 만들어 머리 속에 넣어두고 글을 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문을 읽은 후 문제를 풀 때 그때그때 꺼내서 판단하거나 확인이 필요한 부분으로 돌아갑니다.
이러한 방식은 문제를 푸는 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글을 여러 번 읽으면서 오는 혼란을 줄여줍니다.
하지만 1등급이 아닌 학생들은 이러한 틀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문을 그저 읽은 후 문제로 가서 마구잡이로 왔다 갔다하며 시간을 낭비합니다.
결국 이러한 독해 방식의 차이가 성적의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수능 기출문제를 통해 이 패턴을 학습하고 체득하여 수능 국어 공부의 기틀을 다져야 합니다.
EBS 연계나 실전 모의고사도 중요하지만, 결국 수능 국어는 기출에서 발견되는 두 방식들을 체화해야 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수능 국어 기출 분석은 이러한 사고와 태도를 얻어가는 과정입니다.
상향식 읽기와 하향식 읽기의 비교
과정 영역 | 상향식 읽기 | 하향식 읽기 |
글의 의미 소재 | 글에 내재 | 글에서 독자가 구성 |
단어와 이해의 관계 | 단어 인지는 이해에 필수 | 단어를 몰라도 이해 가능 |
정보 파악의 단서 | 단어, 음성-문자 단서 사용 | 의미, 문법적 단서 사용 |
읽기 진행 방향 | 해독→어휘→통사→담화 | 담화, 통사, 어휘지식→해독 |
읽기 구성 방식 | 문자를 소리로, 소리를 의미로 | 의미의 예상과 확인 |
강조하는 언어 단위 | 문자, 문자와 음성의 연결, 단어 | 문장, 문단, 글 |
읽기 학습 | 단어인지 기능을 숙달하여 학습 | 유의미한 활동을 통해 학습 |
지도의 중점 | 단어의 정확한 인지 | 글의 의미 이해 |
학생 평가의 중점 | 하위기능의 숙달 | 글에서 얻은 정보의 종류와 양 |
출처 : 노명완 외(2012), <국어교육학개론>, 심지원, 283
비문학 교재의 서론파트를 뜯어왔습니다...
가볍게 읽어보셨으면해요
국어교육학 개론의 일부에서 착안한 내용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근데 난 새벽에만 깨어있다 ?
-
이젠진짜잔다 2
-
잘자라 15
좀자라
-
개 찝찝하겠네. 꼭 아이스크림을 비치하도록
-
무지 5
개같다
-
기분좋게 자러갑니다. 다들 안녕히 주무시길
-
집에서 하니까 생각이 많아지고 생각이 많아지니까 공부가 안되고 공부가 안되니까...
-
버스 안에서 는 2
웹툰인디
-
그니까 와서 사줘
-
재밌었다 18
다시 현생으로
-
자자 13
자자
-
다르다고 1
보고있나
-
밸런스 조절을 위해 오르비를 계속 하겟습니다
-
진짜 모름
-
인초상 탈릅 예상 반응 13
.
-
다 어디갓니
-
아오 물2평
-
사탐으로 가버렸 뉴비만 받음
-
집에서 집중이 하나도 안됨
-
헬스터디 2
근데 헬스터디 국어는 왜 어떻게 공부하는지 안알려주냐 짜치게
-
사탐런 ㄱㄱ? 43
ㄱㄱ?
-
옯스타 1
1년전에 계정 잃어버림 흑흑
-
밝지는 않은듯
-
옯스타 맞팔해요 1
댓에 아이디 남겨주심 팔 하러 갈게용 *゜ (\ (\ c(⌒(_*´ㅅ`)_ 쪽지도 ㄱㄴ
-
덕코는 어케얻고 어케주고 어케쓰는거임…? 뭔지 모르겠어요 현질해여하나
-
오오 비애! 너의 불사조 나의 눈물이여!
-
ㅇㅈ 14
휴우우
-
똥마려워 6
참아봄
-
많이 바뀌었더라 그리고 같은 동 살던 친구 있었는데 까먹고 살았었네 옛날 기억 많이 사라짐
-
물리 12
7모 47 9모 50 10모 47 하고 수능 3등급으로 박음 ㅋ.ㅋ 수능은 44
-
내신기간에 안쉬고 정시파이터 위한 특강 함. 심지어 내신휴강기강도 가장 쨟은 2주...
-
고3 수학 쎈 2
이번 3모 51점 4등급 받았는데 쎈 c단계만 풀어도 되나요 4점위주로 다틀리는거 같은데
-
가끔 눈이 안떠지는 게 너무나도 스트레스임
-
오늘도 오르비를 한번 더 알아갑니다
-
이미지? 궁금해요 넵
-
잘자요 8
-
쓸 글이 없네 3
ㅈ됐다
-
방법을 바꾸니까 정답률이 확 좋아졋는데 생각해보니까 이게 내가 원래 글을 ㅈㄴ...
-
효신이형 중간에 눈까뒤집고 흰자보여서 노래에 감상이 잘안되요 0
심상이 너무나도 잘보이는 청년
-
너무 안했나보다 오르비 33
거의다 모르겠네
-
사실 저번에 휴릅한다고 했을때 탈릅할려고 했긴 했음 8
근데 하기전에 갑자기 생각나서 찾아보니까 심찬우패스가 사라진다더라고 바로 취소하고...
-
자야겠다 1
현생탈출 ㅅㅅ
-
일단 우리 지역 근처 일반고는 다 수업때 자습해도 풀어주는 분위기. 물론 모학교...
-
전 왜 열심히 해도 안될까요백분위입니다ㅠㅠ
-
오르비에서 글 많이 읽는데..
-
내신용으로 샀는데 너무 많아서 그냥 고쟁이 풀려고 팔아요ㅠ
-
질렀다 14
-
지금 20일정도 남았는데 화학도 노베고 수학도 공부를 거의 안해서 시간이 없어요ㅠ...
-
옷 사고 보니까 2
내가 좋아하던 애가 작년에 입은 옷이었어 아니 시발;
이거그냥이원준인데
근데 결국 이게 교육학적으로 독서를 다루는 방법임...
물론 이견은 많지만...
그 매번 국어강사들은 지가 해보고 이래서 좋더라~ 라는식으로 가르치는게 문제라는 의견이 있어서 써봄요
제가 생각하는 것과 좀 다르지만 흥미롭네용
저도 뭐 저게 맞다곤 생각안하는데 고명한 학자들이 이론화해뒀다하니 그런것들 이거저거 섞어서 재해석해봤어요
독해를 위한 뇌구조를 미리 구축한 상태로
수험생이 되는 분들이 바로
어릴 때 책 많이 읽은 부류…
글에서 설명하는 그런 독해의 틀을
숨쉬듯 자연스럽게 익힌거죠
맞습니다.....
하향식 읽기 잘하고 시퍼ㅇ ㅛ ㅠㅠ
그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