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독서 왜 어려울까? 약간의 국어 교육학 개론을 곁들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719031
국어 점수를 잘 받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잘 푸는 것이죠.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잘 읽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잘 읽고 잘 푼다. 언뜻 쉬워 보이지만 우리는 이 ‘잘 읽고 잘 푸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그렇다면 잘 읽고 잘 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수능국어의 정수인 ‘기출’을 푸는 것입니다.
국어는 기출로 시작해서 기출로 끝나는 과목입니다.
하지만 시중의 수많은 기출문제집에도 우리는 모두 1등급이 아닙니다.
분명 기출을 풀고 해설을 잘 읽으면 성적이 오를 것 같지만 성적은 쉽게 오르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 이유는 기출을 풀고 해설을 읽은 뒤 그냥 끝내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냥 끝내지 않는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답을 드리기에 앞서 우리가 기출 지문을 읽는 습관을 되돌아봅시다.
우리는 글을 ‘단어 → 문장 → 문단 → 글 전체’로 차근차근 확대시키며 읽어 나갑니다.
단어에서 다음 단어로 문장에서 다음 문장으로 문단에서 다음 문단으로 흐름에 따라 읽어가는 것입니다.
작은 단위에서 큰 단위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이러한 모델을 ‘상향식 모델’이라고 합니다.
이는 주로 글의 이해를 목적으로 하며 어린아이나 언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훈련 방법입니다.
반면, ‘하향식 읽기 모형’은 머리에 글 전체의 구조를 먼저 잡고, 글을 읽어나가는 방식입니다.
추리 문제를 풀 때 우리는 가끔 표를 그리거나 구조를 먼저 잡고 풀고는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그렇게 배웠기 때문입니다.
많은 추리 문제를 풀어보면서 스스로 익혔든, 아니면 누군가의 해설을 보았든 말이죠.
수능 지문도 마찬가지입니다.
숫자가 많은 경제 지문을 읽을 때 표로 시각화를 하게 되면 더 쉽게 이해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시를 읽기에 앞서 연을 구분하거나 <보기>를 참조하면 더 쉽게 이해가 될 때가 있겠지요.
이렇듯 주어진 지문에서 얻은 내용 뿐만 아니라 나의 경험이나 지식, 정보 등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한 인지적 틀 혹은 개념적 구조를 먼저 잡아두고 글을 읽으며 그 틀을 채워나가는 방법을 ‘하향식 읽기 모형’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인지적 틀 혹은 개념적 구조를 우리는 ‘스키마(Scheme)’라고 부릅니다.
자 그러면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서, 우리가 국어 기출을 풀고 해설을 보고 나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바로 이 ‘하향식 읽기 모형’을 활용하기 위한 구조 혹은 틀을 만들어야 합니다.
여기서 바로 1등급과 1등급 아닌 학생이 갈리게 되는 것입니다.
평가원은 지난 수십 년간 일관되게 ‘지문 서술 방식’과 ‘선지 구성 방식’을 사용해 왔습니다.
1등급의 학생들은 이 방식들을 구조 혹은 틀로 만들어 머리 속에 넣어두고 글을 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문을 읽은 후 문제를 풀 때 그때그때 꺼내서 판단하거나 확인이 필요한 부분으로 돌아갑니다.
이러한 방식은 문제를 푸는 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글을 여러 번 읽으면서 오는 혼란을 줄여줍니다.
하지만 1등급이 아닌 학생들은 이러한 틀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문을 그저 읽은 후 문제로 가서 마구잡이로 왔다 갔다하며 시간을 낭비합니다.
결국 이러한 독해 방식의 차이가 성적의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수능 기출문제를 통해 이 패턴을 학습하고 체득하여 수능 국어 공부의 기틀을 다져야 합니다.
EBS 연계나 실전 모의고사도 중요하지만, 결국 수능 국어는 기출에서 발견되는 두 방식들을 체화해야 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수능 국어 기출 분석은 이러한 사고와 태도를 얻어가는 과정입니다.
상향식 읽기와 하향식 읽기의 비교
과정 영역 | 상향식 읽기 | 하향식 읽기 |
글의 의미 소재 | 글에 내재 | 글에서 독자가 구성 |
단어와 이해의 관계 | 단어 인지는 이해에 필수 | 단어를 몰라도 이해 가능 |
정보 파악의 단서 | 단어, 음성-문자 단서 사용 | 의미, 문법적 단서 사용 |
읽기 진행 방향 | 해독→어휘→통사→담화 | 담화, 통사, 어휘지식→해독 |
읽기 구성 방식 | 문자를 소리로, 소리를 의미로 | 의미의 예상과 확인 |
강조하는 언어 단위 | 문자, 문자와 음성의 연결, 단어 | 문장, 문단, 글 |
읽기 학습 | 단어인지 기능을 숙달하여 학습 | 유의미한 활동을 통해 학습 |
지도의 중점 | 단어의 정확한 인지 | 글의 의미 이해 |
학생 평가의 중점 | 하위기능의 숙달 | 글에서 얻은 정보의 종류와 양 |
출처 : 노명완 외(2012), <국어교육학개론>, 심지원, 283
비문학 교재의 서론파트를 뜯어왔습니다...
가볍게 읽어보셨으면해요
국어교육학 개론의 일부에서 착안한 내용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운그레이드에 다운그레이드를 거친..
-
수학 성적 향상에 벽 느껴서 과외라도 받고싶은데 좋운 과외 선생님 구하는 팁좀
-
ㅇㅇ
-
오늘학교에서 설맞이 수원20개풀고 매월승리두개하고 사문강케이하나풀엇음… 학교에서...
-
영어도 상평에 수학도 미기확 서울대 투 필수.. 도대체 어떤 싸움을 해오신거임..
-
코쿠시보 서사도 상당히 길기 때문에..
-
옛날옛적 4
고1때 장래희망에 해녀(남) 적었다가 학년부장 센세랑 면담햇던 기억이 나네요..
-
겁쟁이들이 만든 규칙 우린 안 따라줘~
-
미필사수 0
하.. 한의대 가면 괜찮다 괜찮은거야 하
-
10월 25일? 0
콘서트 가야겠지?
-
화작 확통 영어 생윤 사문입니다 대학 라인 어디까지 볼 수 있나요? 저는 국숭세단까지면 만족합니다
-
님들은 왜 공부함? 나는 의사되고싶어서 공부시작했는데 이젠 내가 왜 의사가...
-
수학기출… 1
수분감 풀다가 현타와서 15개정 이후만 풀려는데 얘네 풀고나서 시대인재기출 코어...
-
사문 공부 0
개념 기출 돌리고 성적이 계속 괜찮길래 공부를 안했는데 이번 8덮때 40점...
-
야싣은 수육 으하하하ㅏ하
-
설맞이 시즌 1,2 난이도 차이가 어떤가요?
-
자기 게이라고 커밍아웃한 지인만 3명인 걸 보면 안 친한 애들 중에는 더 많다는 얘기잖아
-
코유키가 지옥을 따라옴에 있음..
-
이거좀 줍줍해야지
-
듣기하면서 14문제 정도 풀어서인지 보통 15-20분 남음 근데 파멸적인 빈칸고자임...
-
아 걍 지하첳레서 시켜도되었자나 아사할것같자나
-
난 1년동안 매일 같이 샤워했는데
-
방금 제 앞에 1
이만한 나뭇가지가 우지끈 끊어져서 맞을뻔 ㄷㄷ
-
자이 마더텅 기출은 뭔가뭔가 꼴뵈기 싫음
-
상평이었다면 서울대 꿈도 못꿨을듯
-
질문을 하다보면 0
질문하다가 "하씨 생각해보니 이게 답이네" 싶은 경우가 있어요 그래서 글 취소하고...
-
헬스하면 몸 좋아지는게 확실히 보이긴 하나보다 싶은게 13
친구 집 화장실 좀 빌려서 씻는데 몸 왤케 좋아졌냐고 그러더라
-
시발..
-
23111 화작확통 생윤사문이면 어디까지 갈수있나요?공과대학 희망 0
시뮬 돌려보는거에요 확통 2까지 올리는것도 생각해보긴 함
-
돈없어서 6
츄파춥스 6개월할부로 삿어.,.,
-
지스트 재학생임. 극히 일부 아웃라이어들(그냥 카이 떨어졌다고 지스트 온 놈...
-
쒸불련들아 5
크아아악 이 개애미뒤진좆병신재명석열같은좆반도앰창유사국가씹발련들아 쒸벌 계좌계설도...
-
쌤이 대놓고 자기는 gpt로 쓴다고 하시던데
-
누구 커리 타거나 독학서 뭐 풀었거나 이런것좀 알려주세요
-
김밥라면
-
나보다 더 빠르게 움직이네
-
6평 당일 날에 그냥 국어 포기하고 화장실 갔다올걸 그랬음 0
그럼 국어 아예 등급 안 찍히고 나머지도 잘 나왔을 텐데... 아이러니하게도 생윤은...
-
대통령 지지하는 내가 봐도 mbc는 너무 심함 좌편향 언론이면 국민의 힘에 적대적일...
-
1컷 47ㅋㅋㅋ 고이긴 했다
-
뭐 풀까용?
-
88이나 92 나올거같은데 이정도면 백분위 몇이지
-
배고프다 9
5킬로그램 더 빼야해..
-
행복하자 12
좋은일만 가득하자
-
호서대 순천향대 서울신대 공주대 영남대 용인대 한신대 증에 고르자면 어디가는게...
-
표본이 많은거 자체가 표본 수준 변동 정도는 낮지 않을까 라는 희망사항
-
Ebs 파이널 실모로 마무리한다.
-
독서 공부방향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문학 화작 다맞고 독서에서만 7틀로...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 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이거그냥이원준인데
근데 결국 이게 교육학적으로 독서를 다루는 방법임...
물론 이견은 많지만...
그 매번 국어강사들은 지가 해보고 이래서 좋더라~ 라는식으로 가르치는게 문제라는 의견이 있어서 써봄요
제가 생각하는 것과 좀 다르지만 흥미롭네용
저도 뭐 저게 맞다곤 생각안하는데 고명한 학자들이 이론화해뒀다하니 그런것들 이거저거 섞어서 재해석해봤어요
독해를 위한 뇌구조를 미리 구축한 상태로
수험생이 되는 분들이 바로
어릴 때 책 많이 읽은 부류…
글에서 설명하는 그런 독해의 틀을
숨쉬듯 자연스럽게 익힌거죠
맞습니다.....
하향식 읽기 잘하고 시퍼ㅇ ㅛ ㅠㅠ
그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