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무언가를 컨트롤할 수 있다는 생각은 버리는게 좋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663031
예를 들면,
나는 수시로 sky서성한은 못가니까 다 때려치고, 하루에 정시 공부만 12시간씩 해서 뚫어야지.
라는 전형적인 정시파이터의 생각에는
1) 수시로 sky서성한 갈 실력도 안됨.
2) 안정적인 수시를 버림.
3) 지가 하루에 12시간씩 공부할 수 있을거라고 착각함.
이 포함되어 있음.
자신의 하루를 정직하게 성찰해보면 느끼겠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매일 12시간씩 공부하겠다는 다짐을 절대로 못지킴. 아침에 8시에 기상하기로 했는데 8시3분에 일어나면 폰질 좀 하다가 8시30분, 일어나서 세수하고 책상에 앉으면 9시... 12시~13시까지 밥먹기로 했으면 앉아서 정신차리고, 잠도 깨고 공부 시작하면 13시30분... 사소한 핑계를 만들고, 자기를 쉴드치게됨.
대부분이라는건 0%라는게 아님. 다만 자신이 순수하게 '의지'로 모든걸 컨트롤할 수 있는 극소수라는 믿음은 버려야함. 우리가 그 극소수면 애초에 수시로 sky서성한도 못갈 점수가 나왔을 리가 없음. 1)을 충족시킨다는건 이미 평범한 사람이라는걸 인정해야된다는거임. (그럼 또 핑계를 만들어내기 시작함. 아 저는 수시형 인재가 아니라서... 수행이 저랑 안맞아서... 저는 공부를 늦게 시작해서... 내신 스타일은 저랑 안맞아서...)
그럼 우리는 스스로를 나약한 평균의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계획을 짜야함.
'의지'에 뭔가를 맡겨서는 안됨.
위 케이스에서는 통제할 수 있는 수시를 챙기면서 하루에 12시간을 정해놓지 말고, 할 수 있는대로 최대한 공부를 한다고 생각해야하고, 기상 시간이 8시라고하면, 7시30분에 알람을 맞춰서 준비할 생각을 해야되고, 못일어날 것 같으면 부모님께 부탁드리고, 식사 시간을 1시간으로 잡았으면 30분동안 밥먹고, 30분동안 양치하고, 오후 공부시간에 졸릴 거 같으면 편의점 가서 에너지 드링크 사다 마시고... 집에서 공부 안되면 이동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서 스터디카페에 무조건 가고(돈과 시간을 쓰면 아까워서라도 공부를 하게 되는 효과도 있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정도로 접전일줄 몰랐다..
-
능력없으면 일본이민 ㄱㄱ
-
이새끼만 아니었어도 재판 받고 감빵 갈 사람은 감빵가고 5년 적당히 채우고...
-
하필 또 이재명 표네
-
"내 안의 두뇌혁명" "필연태와 가능태를 구분해야 합니다." "허위적 인과죠."...
-
지금 6평 기념으로 대성 34 메가 39인데 (반수 10만원+6모 10만원 세일)...
-
중어중문학과?
-
졸리다
-
국어 고점 높1(고1 3모) 저점 높3 (고2 3모) 수학 고점 높1(고1 10모)...
-
오피셜임
-
시원한 이유 0
강아지는 귀엽기 때문에라고 말할 수 있는 비공식적 수의대생 ㅋㅋㅋ.
-
이재명되라고 판 깔아준격
-
작년 수능 국어 독서지문 중에 뭐가 제일 어려웠나요? 7
원래 평가원이 쉬운 독서 지문일수록 앞에 배치했던거 같은데 요즘도 그러나요?
-
질꺼 알지만 희망회로가 `띠용`한 2찍들은 개추 ㅋㅋ 2
나부터 일단 ㅋㅋㅋㅋ
123전부다 나네 ㅁㅊ
좋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