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붐비는 시간 대가 있을까요? 저 때에 비해서 글이 리젠되는 속도가 많이 죽은 것 같네요
-
금테까지 1명남아서 기부니가 조쿤
-
민트테를 달려면 차원이 다른 퍼포먼스를 보여줘야 역시 인방을 해야하나 음음
-
백분위 96 91 1 99 100 문이과 둘다 궁금해요
-
24학년도 제외
-
고양이 8
-
히히 11
-
거의 풀엇가 7
아닌가
-
개빡치네..
-
근데 기하얘기가 주제일때만임
-
되냐고 시발
-
저녁ㅇㅈ 8
-
근데 내가 보기엔 노베이스는 딱 두가지 부류로 나뉘는 듯 6
개념 노베vs 사고력 노베 전자는 어릴때 책을 많이 읽는다거나, 시험 어려운...
-
확통 어렵게 내려고 하면 미적보다 어렵게 할 수 있지 않나 9
KMO스럽게 나온다면..
-
진짜 편의점 야간 알바하고 불쌍한 소년가장 체험해볼까 사고 싶은 펜이 있는데 얘기...
-
안그래도 유리 4세트 구워서 죽을뻔했는데 사슬구한다고 겁나 죽었는데 왜 아무도 이런...
-
트럼프의 무차별 관세폭탄으로 버크셔도 이틀새에 마15퍼 떨어졌을 정도로 개박살난...
공대라고 다 사회성 없는건 아닐텐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프다 해원아
어디든 사회성 없으면 혼자죠…….
제 말은 문과직업 특성상 실력 외로 사회성이 유의미하게 크게 작용을 하는지 질문입니다…
직무상
사회성이 더 많이 필요한 직렬이
문과관련 직렬인건 틀림없습니다
다만 이과도 기본은 필요하죠
특정 직렬이나 직급상 사회성이 많이 발휘되어야할
경우 많아용
사회성이 있으면 플러스같긴 하더라고요..
그치만 모든 직종이 그렇진 않은듯도
저도 일개 수험생이라 모르지만 누나한테 들은바론그럼
사회성 없으면 어딜 가도 힘들어요
비슷한 고민 했었는데,
그 이유만으로 문이과 정하는건 비추합니다
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대학 가서 사회성이 길러지기도 하고
인싸 성격이 아니어도 기본만 하면
버틸수 있는 문과 직무도 많고
공대 공부가 적성에 맞는지도 중요하고..
이유는 많습니다. 쪽지 주시면 좀 더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