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와 7(2025)년 시행 대학입학공통테스트 수학Ⅱ·수학B·수학C 번역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582611
레이와 7년 공테 수학II수학B수학C.pdf
레이와 7년 공테 수학II수학B수학C 정답표.pdf
지난 1월 20일 일요일 일본의 수능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입학공통테스트]가 실시되었습니다.
대학입학공통테스트의 수학 영역은 [수학Ⅰ], [수학Ⅰ·수학A]중 한 과목을 고르고, 다음 교시에 [수학Ⅱ·B·C]를 응시합니다. 즉, 수학 시험이 두 교시에 나눠져 있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한국 수능과는 그 형태가 상당히 다릅니다. 풀이 과정 사이에 빈칸이 뚫려 있고, 기본적으로는 빈칸을 채우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풀이 과정을 중시하는 일본 수학 교육의 형태라고 합니다. 수능에 익숙한 우리 기준으로 난이도는 쉽습니다만 문제 호흡이 긴 편입니다. 일본 입시에서 공테는 예비고사일 뿐이고, 실질적 당락은 본고사에서 결정됩니다.
올해는 신 학습지도요령(개정 교육과정) 첫 해였고, 이에 따라 구 교육과정에 따른 문제도 따로 시행되었습니다. 한국의 상황에 비유하면 2021수능에서는 15개정에 따른 문제와 09개정에 따른 문제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도록 제시한 것입니다. 일부 문제는 겹치지만 교육과정 범위의 변경으로 일부 문제에 차이가 있습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다항함수의 미적분을 수학Ⅱ에서 배우고, 극한과 초월함수의 미분 적분을 수학Ⅲ에서 배우는데, 수학Ⅲ은 공테 미출제범위입니다. 이는 이전 학습지도요령 하에서도 동일했습니다. 물론, 대학별 본고사에서는 여전히 미분과 적분이 중요한 주제입니다.
또, 개정 학습지도요령에서 행렬이 수학C의 3단원에 복귀했습니다만, 이는 공통테스트 출제범위 밖입니다. 또, 대학별 본고사에서도 이 부분은 출제범위로 하지 않은 대학이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참고서에도 3단원은 빠져 있습니다. 결국 한국과 일본 모두 행렬이 교육과정에 복귀만 했을 뿐, 대학 입시에서는 부활하지 못한 셈입니다.
총 7개 문제로 구성되어 있는데, 1~3번 문제는 필수로 풀어야 하는 문제이고, 4~7번의 4개 문제중 3개 문제를 선택하여 해답하면 됩니다. 즉, 학생들이 풀어야 하는 문제는 6문제인 셈입니다.
문항에 대한 간단한 comment와 함께 수능 대비로도 풀기 좋은 문항이 있다면 소개하겠습니다.
제 1문은 삼각방정식입니다. 수능 대비로도 한번쯤 풀어볼 만 합니다. 특히 삼각방정식과 삼각부등식 부분에서 단위원을 이용한 접근은 중위권 이하 학생들은 낯설어하는데, 이 기회에 한번 접해보면 좋겠습니다. 또, 마지막 부분에 함정이 하나 있습니다.(계속 sin 이야기 하다가 마지막에 cos을 물어봄)
문제지에서 계속 타로랑 하나코가 이야기합니다. 이름 장난치려다가 참았습니다.
제 2문은 지수함수 로그함수 활용 문항입니다. 과거 한국에서도 출제되던 실생활 활용 문항과 비슷하지만, 공통테스트답게 풀이 힌트를 통해 식과 값을 스스로 유도하게 하고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상용로그표 전체를 두 페이지에 걸쳐 제시했다는 것입니다. 찾다가 눈 빠질것 같습니다.
제 3문은 다항함수의 미적분입니다. 한국 수2의 정신나간 다항함수 추론 문제로 단련된 한국 학생들 입장에선 너무 쉬운 난이도입니다.
제 4문은 격자점 수열입니다. 격자점이라는 워딩 때문에 짜증날 수도 있습니다만, 풀이과정 빈칸 채우기라 그렇게 더럽지는 않습니다. 단, 마지막 소문항은 격자점의 수가 ~의 식을 만족하기 위한 함수를 추론시킨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수1 대비로 한번쯤 풀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제 5문은 통계 단원에서 나왔습니다. 소문항에서 각각 정규분포, 모평균 추정, 가설검정을 물어봤습니다. 가설 검정을 빼면 확통 대비로도 나쁘지 않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6문은 공간벡터입니다. 수능 대비보단 공도벡 해보신 분들이 지적유희로 가볍게 풀어보면 재밌습니다. 유도 과정이 상세히 적혀 있어 계산량은 적지만, 발문이나 구하라는 조건이 한국인 입장에서는 낯설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이라면 이 시험지는 문이과 구분이 없다는 것입니다. 일본은 문과생들도 공간벡터와 이차곡선을 전부 배웁니다. 이게 정상이긴 합니다.
제 7문은 복소평면(일본식 표현으로는 복소수평면)입니다. 수능 대비로는 풀지 마세요.
단순히 복소수 연산 뿐 아니라, 복소평면 상에서의 기하적 특징을 수식으로 계산하는 방법과 함께,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소수를 복소평면에 도시하도록 하고 있어 한국 고교 교육과정상으로는 접근이 안 되는 문제입니다.(자사고에서 고급수학1 했으면 풀 수 있긴 하겠네요)
파일 중 오타, 오역 등은 지적 주시면 반영하여 파일 수정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끝 6
그만하께여
-
언제부터 재수 삼수를 쾌적하게 트라이하는걸 제도가 보장해주는게 당연했음? 하고...
-
오르비 안녕히주무세요 25
해 뜨고 봐요!
-
나 어디살지 9
속초?안산? 수원? 당진? 어디 사는거지;;
-
-
인증하려면 옯만추해야함
-
안미안해
-
사진도 없고 얼굴도 없는데에
-
가보실까?! 8
자살하러. 왜 잘생겼지 흠..
-
공벡을 공간도형 2
좌표를 잡기
-
1교시는 수면이고, 음 2교시는 수면 7교시까지 다 같네
-
으음 내일 시험이니 이보다 좋은 글이 있을까 음음
-
어제도 5시반에 잤단 말이에요
-
여러모로
-
구채적으로 뭐가 다른가여?
-
고3 3모 국어 1
아니 나만 그런건가 모의고사 그냥 A4용지에 뽑아서 풀다가 모고 종이 실제로 받아서...
-
다 모르겠고 일정짜는 거 처음인데 지켜질려나 모르겠음 7
그냥 갑자기 생각난 곳 갈 것 같음..
-
그건바로 나
-
누구는 금머갈 딸깍으로 서울대 가고 누구는 머리가 나빠서 아무리 해도 인서울조차 못하는건 공정한건가
-
함부로 생각하면 안 되긴 함 딱 하나의 사건만으로도 사람 자체가 급변할 수 잇는건데...
-
공부 진도가 넘 안나가서 6모전까지 계획세운거 다 끝내야하는데 으.. ㅜㅜ
-
메인글 가겠네 5
댓글로 싸움 나려나..
-
이미 시작한거같긴한데 qedn 몇주차부터 시작했나요
-
바운스볼 사이터스 디모 오버워치(출시때부터 20년도쯤까지...옵2 나오면서 접음)...
-
눈부신~ 0
햇살이~
-
무식해서 그런가 4
피해의식이 없음 이 임티가 적절
-
남이 날 무시한다=>좆까 씨발 내가 너보다 잘살거야 이 사고 순서가 습관화되다보니...
-
읽으며 자연스레 재진술 함의추론 ㄱㄴ
-
붉은바다거부기는 4
남적도해류를 타고다닌다
-
이미햇는데 다시가야하나요
-
미루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내일 10일차랑 같이 함
-
오르비잘자요 6
저는 수행준비하다가 자렵니다
-
저 엄마한테 피해의식 있냐 소리 들어봄
-
경희대 정시 3
경희대 정시로 미디어과 가려면 몇등급 정도 받아야함??;;; ㅜㅜㅜ
-
농어촌의 존재 자체를 안 좋게 보는 분들이 계시는데 67
우리가 기본으로 깔고 가는 것들부터 접하지 못하는 환경일 수 있습니다. 일단...
-
무물보 19
안달리면 어쩔 수 없지 뭐
-
https://orbi.kr/00072754118/(수학)-이거-계산-깔끔하게-하는-...
-
옛날엔 이 시간에도 사람 많았는데
-
A부터 보면 조건에서 A최고점 높이가 수평면에서 9/16H 그럼 a시간은 최고점...
-
뭐지 0
주머니에 핸드포닝 잇는줄 알앗는데 주머니엔 아무것도 없엇음 사실 핸드폰은 저 멀리 잇엇음
-
영어 인강 추천 1
영어 90초중으로 안정 1등급이 아닌데, 평가원 지문에서 긴 문장과 문장구조가...
-
무물보 68
댓글 안달리면 좀 슬플듯
-
대도시와의 거리, 실질적 이동시간 이런거까지 전부 고려해서 ㅇㅇ 와부읍 이런데는 진짜 말도 안되고
-
대학가고싶다 0
작년이맘때인서울만시켜달라고생각했었는데 과거처럼 불안하지만 목표는 더 커진 듯
-
왜 하늘대학교는 없는가 20
진정한 스카이 이름 예뻐서 인기 많을거 같은..
-
너희들 때문에 경쟁률 170 찍고 컷 미쳐날뛰고있잖아
-
놀 사람이 없는데
-
과탐 나머지 하나를 사탐으로 바꿔서 사탐만 2개 하면 지원가능한 의치한약수 풀이...
저희도 자사고였는데 이름만 고급수학이고 자습시간이었던
그게 정상...
개빡세네
당연히 수능보다 쉬워요
그래도 대학별고사는 어려울듯...
수능수학이 더 재밌음뇨
저기도 나름 점수별 도수분포표랑 누적 구간별 등급 이런것도 있더라고요. 국어 등급컷이 보통 지랄나있음

대학입시센터 홈페이지에서 봤어요국어 번역해보려했는데
현대문은 어찌저찌 한다 쳐도 소설문, 고전문, 한문은 엄두가 안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