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브
오르비
아톰
내 태그 설정
짱수생 [487766] · MS 2014 · 쪽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54845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쪽지 보내기
알림
스크랩
신고
서울대학교 실망입니다.. 가지않겠습니다
저는 가고 실망하겠습니다 .
ㅋㅋㅋㅋ
실망할지 안할지 모르겠지만 일단 보내주시면 바로 평가해보겠습니다
창의성은 개나줘버리는 게 고등학교때부터 편하죠 괜히 질문하면 시험에 안나오니까 알필요 없다는 식이니까
제가 이래서 서울대를 가지 않았습니다.
이것도 이해가 가는 게 한 학기에 한두 과목만 듣는 것도 아니고 18~21학점 듣습니다. 전과목을 창의적으로 들으려면 과부하 걸립니다. 카이스트는 어떨지 모르겠는데 다른 종합대학 다 비슷할 것 같네요.
근데 사실 이건 서울대말고 다른대학들도 마찬가지.. 서울데생님말처럼 많은학점 이수시 곤란함이 있을순있겠지만 전공과목에서까지 저런식으로 학점을 메기니 문제죠..
서울대만 그럴까ㅋㅋ..
뭐 물론 다른대학들도 다르진 않을거라 생각하지만.. 대학은 진리를 추구하고 배우는곳이지 외워서 시험보라는데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모든 대학이 이러지 않을까요..ㅠㅠ아아 대학을 들어가면 좀더 비판적인 사고와 자유롭고 창의적인 사고를 하면서 학문에 대해 깊이 공부할 수 있을거라는 기대와 로망이 있었는데..수능공부의 연장선 같은 공부라면 정말 싫네요
화질 안보영 ㅠ
근데 이공계는 이미 다 밝혀진 사실을 창의적으로 생각하기도 힘들지 않나요? 문과라 생각하면 좀 그렇긴 하네요
저게 사실이라면 암울하다..
이건 사실 인문대나 사회대 같은 문과 한정입니다. 특히 심리학과 등등이요. 그리고 교양도 좀 그렇습니다. 솔직히 문제라면 문제인데 요즘같이 학점 중요한 시대에 저들을 단지 암기기계라고 뭐라 할 수 있을까요ㅠㅠ 그래도 이과인 자연대나 공대는 절대 이럴 수 없고 이래서도 안 됩니다. 애초에 이과 과목 특히 전공과목은 시험문제가 언터쳐블로 나오는 편이라 더더욱 그래요 ㅠㅠ
이거 채널돌리다 봤는데 보고 되게 씁쓸..
우리나라에서 이런 교육 풍토가 언제 고쳐질지도 의문
이러니까 지규너들이 학점이 잘 나오지... 에휴...., 정시러들이 지규너보다 대학가서 못한다? 개나 줘버리삼. 이따구 대학시스템이 정시러들의 비판적 수학 사고 능력을 망치고 있거늘...이게 무슨 대학공부야.. 그냥 내신따기지...
정시러들의비판적사고능력ㅋㅋㅋㅋ개웃기네
정시러긴 하지만 비판적 사고능력은 이미 준비하면서 버린듯...
정시라해서 비판적생각이있는건 절대아닌데 대학공부는 그냥닥치고 생각없이외우기임 공대쪽은모르지만 의치한은 최소한 생각없이외우기.. 그나마 수능이 응용이라도하는편같네요
중복이다!!중복!
3줄요약좀해주세요 ㅋㅋㅋ
서울대 안가길 잘했네^^
교수들도 정말 오랫동안 공부해서 자기 입맛이 있는데 그걸 맞춰주는 애들을 높게 평가할것 같네요. 무의식적으로 그럴 것 같네요.
이 과 는 ?
2026 수능D - 176
화2 50 카의생
[연세대 수학과] 24수능 수학 백분위100
중 고등학생 (+과고 준비생) 과외 구합니다
(중하위권전문) 모든학생 성적 드라마틱하게 향상! 프로필에서 확인하세요!
과학 | 물리 | 정교사
#수능 영어 #목동, 대치동 출강 이력 #성균관대 졸업 #1등급 6개월 단기 완성 #내신 1등급 완벽 대비 #문법 노베이스 환영 #서울 상위 10위권 대학 합격자 다수 배출(설카포
서울대학교 실망입니다.. 가지않겠습니다
저는 가고 실망하겠습니다 .
ㅋㅋㅋㅋ
실망할지 안할지 모르겠지만 일단 보내주시면 바로 평가해보겠습니다
창의성은 개나줘버리는 게 고등학교때부터 편하죠 괜히 질문하면 시험에 안나오니까 알필요 없다는 식이니까
제가 이래서 서울대를 가지 않았습니다.
이것도 이해가 가는 게 한 학기에 한두 과목만 듣는 것도 아니고 18~21학점 듣습니다. 전과목을 창의적으로 들으려면 과부하 걸립니다. 카이스트는 어떨지 모르겠는데 다른 종합대학 다 비슷할 것 같네요.
근데 사실 이건 서울대말고 다른대학들도 마찬가지..
서울데생님말처럼 많은학점 이수시 곤란함이 있을순있겠지만
전공과목에서까지 저런식으로 학점을 메기니 문제죠..
서울대만 그럴까ㅋㅋ..
뭐 물론 다른대학들도 다르진 않을거라 생각하지만..
대학은 진리를 추구하고 배우는곳이지
외워서 시험보라는데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모든 대학이 이러지 않을까요..ㅠㅠ아아 대학을 들어가면 좀더 비판적인 사고와 자유롭고 창의적인 사고를 하면서 학문에 대해 깊이 공부할 수 있을거라는 기대와 로망이 있었는데..수능공부의 연장선 같은 공부라면 정말 싫네요
화질 안보영 ㅠ
근데 이공계는 이미 다 밝혀진 사실을 창의적으로 생각하기도 힘들지 않나요?
문과라 생각하면 좀 그렇긴 하네요
저게 사실이라면 암울하다..
이건 사실 인문대나 사회대 같은 문과 한정입니다. 특히 심리학과 등등이요. 그리고 교양도 좀 그렇습니다. 솔직히 문제라면 문제인데 요즘같이 학점 중요한 시대에 저들을 단지 암기기계라고 뭐라 할 수 있을까요ㅠㅠ
그래도 이과인 자연대나 공대는 절대 이럴 수 없고 이래서도 안 됩니다. 애초에 이과 과목 특히 전공과목은 시험문제가 언터쳐블로 나오는 편이라 더더욱 그래요 ㅠㅠ
이거 채널돌리다 봤는데 보고 되게 씁쓸..
우리나라에서 이런 교육 풍토가 언제 고쳐질지도 의문
이러니까 지규너들이 학점이 잘 나오지...
에휴...., 정시러들이 지규너보다 대학가서 못한다? 개나 줘버리삼. 이따구 대학시스템이 정시러들의 비판적 수학 사고 능력을 망치고 있거늘...이게 무슨 대학공부야.. 그냥 내신따기지...
정시러들의비판적사고능력ㅋㅋㅋㅋ개웃기네
정시러긴 하지만 비판적 사고능력은 이미 준비하면서 버린듯...
정시라해서 비판적생각이있는건 절대아닌데 대학공부는 그냥닥치고 생각없이외우기임 공대쪽은모르지만 의치한은 최소한 생각없이외우기.. 그나마 수능이 응용이라도하는편같네요
중복이다!!중복!
3줄요약좀해주세요 ㅋㅋㅋ
서울대 안가길 잘했네^^
교수들도 정말 오랫동안 공부해서 자기 입맛이 있는데 그걸 맞춰주는 애들을 높게 평가할것 같네요. 무의식적으로 그럴 것 같네요.
이 과 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