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대일대응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534667
일대일 대응이 일대일함수이면서, 치역=공역인거잖아요. 문제에서 두 일차식이 둘다 기울기가 양수거나 둘다 음수면 일대일 함수가 되는건 이네했는데, 치역=공역인건 치역은 실수전체인데, 공역은 알수없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옯스타가뭐에요? 5
-
새피 아니구요 2
새헬 새벽헬스장!
-
나도 ㅇㅈ 2
왜 클릭
-
조기발표 3
토요일이나 휴무일에 했던 경우는 없었었죠..?
-
기하 마더텅 1
별 2개짜리부터 못풀겠는데 어떻게해야조
-
차원 낮추니까 10명이랑 사귀어도 아내가 아무말안한다고
-
알려줘요 인생선배님들
-
무휴삼반 조언 1
24현역 언미영생지 42224 25재수 언미영생윤사문 31221 (88 97 93...
-
안아줘요 레어 샀는데 ㅜ
-
아아 한잔 0
반의 반도 안 마셨는데 카페인 때문에 어지럽고 토할 것 같음.. 전엔 그래도...
-
걷고 있는 그대
-
고딩때 연애가 가능한지부터 물어봐야지 하..
-
그래야 세상 보는 식견이 넓어지지
-
야로나 크아아악
치역은 공역의 부분집합입니다
치역이 공역의 부분집합인거는 이해했는데, 치역=공역인지 어떻게 아나요? 공역이 더 넓을수도 있잖아요
치역이 실수 전체인데 공역이 더 넓을 수가 있나요?
공역은 실수전체다, 라고 문제에서 말을 안해줘도 당연히 전제하고 있어야 하나보군요..
네 웬만하면 그냥 실수 전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근데 공역=치역까지 고려해야 하는 문제는 거의 안 나오는걸로 알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