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대일대응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534667
일대일 대응이 일대일함수이면서, 치역=공역인거잖아요. 문제에서 두 일차식이 둘다 기울기가 양수거나 둘다 음수면 일대일 함수가 되는건 이네했는데, 치역=공역인건 치역은 실수전체인데, 공역은 알수없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금 ebsi랑 강남인강만 듣고 있는데 메가패스나 대성패스를 사야할지 고민이어서 여쭈어봅니다……
-
그래서 저는 잘 아는 사람아니면 댓도 잘 안달아요
-
대한 체스 연맹의 상황이 정말 심각하다고 합니다 거의 페이퍼 컴퍼니임 체스를...
-
오늘은 좀 달릴게여.
-
나는 가족이 지문에 있는줄도 몰랐다고
-
중간공인가 중앙대 중대 높공 에시공
-
맞팔 구걸하기 2
할 수 있는게 구걸밖에 없습니다...
-
담배말리노
-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에서 25학번 새내기를 찾습니다! 0
안녕, 안녕, 안녕하십니까~~ 민족 고대?강철~공대?재료~금속⭐️혁! 신소재!⚛️...
-
특정안당하겠지 4
응..
-
동국대 신입 아코들을 위한 노크 선배의 마지막 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동국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동국대생, 동대...
-
티원 승리~ 2
캬 지린다 진짜루
치역은 공역의 부분집합입니다
치역이 공역의 부분집합인거는 이해했는데, 치역=공역인지 어떻게 아나요? 공역이 더 넓을수도 있잖아요
치역이 실수 전체인데 공역이 더 넓을 수가 있나요?
공역은 실수전체다, 라고 문제에서 말을 안해줘도 당연히 전제하고 있어야 하나보군요..
네 웬만하면 그냥 실수 전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근데 공역=치역까지 고려해야 하는 문제는 거의 안 나오는걸로 알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