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공공 도서관에 열람실이 점점 사라지네
2025-01-22 12:50:47 원문 2025-01-22 05:01 조회수 2,14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472064
시민 위해 문화강좌실 등 탈바꿈
손해사정사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전모(33)씨는 지난 15일 서울 노원구 월계도서관을 찾았다가 깜짝 놀랐다. 공부할 수 있는 열람실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 도서관은 리모델링을 거쳐 지난 14일 재개관했는데, 4층에 170여 석 규모 열람실은 없애고 대신 음악 감상 및 휴게 공간을 만들었다. 전씨는 “원래 열람실이 자리 잡기 어려울 정도로 인기가 많았는데, 왜 없앴는지 모르겠다”면서 “책 빌리는 자료실 한쪽에서 공부해야 하나 고민”이라고 말했다.
공공 도서관에서 ‘열람실’이 사라지고 ...
-
169개월간 매달 100만원…부산대 흉부외과 교수의 '기부할 결심'
7시간 전 등록 | 원문 2025-04-27 13:43
1 0
“혹시라도 정년이 늘어나게 된다면, 매달 그만큼 더 기부하겠습니다.” 지난 23일...
-
교대 수시 합격선 내신 6등급까지 하락... MZ교사 60% “기회 있으면 이직”
12시간 전 등록 | 원문 2025-04-27 14:50
4 8
상위권 학생들이 몰렸던 교육대학 입시 합격선이 수시 모집은 내신 6등급, 정시...
-
적자 허덕이는 일본 닛산, 중 우한 공장 3년 만에 철수키로
17시간 전 등록 | 원문 2025-04-26 14:16
2 1
실적 부진으로 역대 최대 규모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본 닛산자동차가 중국...
-
[단독] 文정부, ‘북한군 GP 불능화’ 유엔사도 속였다
04/27 00:16 등록 | 원문 2025-04-24 05:01
17 9
감사원, 검찰에 6명 수사 요청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8년 9·19 군사 합의에...
-
SKT 해킹에 中해커 주특기 백도어 악성코드…"주체 단정 어려워"
04/26 19:16 등록 | 원문 2025-04-24 10:01
3 4
중국 기반 공격자 주로 쓰는 'BPF도어 기법' 확인…"오픈소스 악성코드"...
-
04/26 19:13 등록 | 원문 2025-04-26 15:00
12 10
━ [제3전선, 정보전쟁] 베트남전쟁 정보전 오는 30일은 남베트남 패망 50주년이...
-
04/26 12:35 등록 | 원문 2025-04-25 14:54
3 4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의대생 복귀 현황과 관련해 "등록 완료 이후 실제로...
-
“학식먹자”는 이준석, 가장 많이 부른 학교는 동덕여대?
04/26 00:14 등록 | 원문 2025-04-25 20:01
8 13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뉴시스] [헤럴드경제=이명수 기자]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
[속보] 서울 강남 코엑스서 화재 추정 연기…관람객 대피
04/25 12:15 등록 | 원문 2025-04-25 11:34
5 6
25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2층에 입점한 식당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
-
'해킹사고' SKT 전고객 유심 무상교체…기 교체 고객도 비용환급
04/25 11:04 등록 | 원문 2025-04-25 11:00
5 6
SKT망 사용 알뜰폰 고객 유심도 무상교체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해킹...
-
04/25 02:57 등록 | 원문 2025-04-24 19:06
1 2
[앵커] 뉴스A 시작합니다. 저는 동정민입니다. 대선이 4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
김문수 "계몽령은 센스 있는 말, 젊은층이 국회 독재 깨닫게 돼"
04/24 19:19 등록 | 원문 2025-04-24 17:18
7 12
(서울=뉴스1) 김정률 서상혁 박소은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
국가석학 1∙2호 내친 한국, 중국은 연구소 지어 모셔갔다 [인재 빨아들이는 中]
04/24 17:05 등록 | 원문 2025-04-24 05:00
7 5
한국의 국가석학 1, 2호가 중국 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 반도체·배터리·양자 등...
-
[속보] `군사시설 촬영` 10대 중국인들, 무전기도 있었다…도청여부 조사중
04/24 16:50 등록 | 원문 2025-04-24 16:45
4 2
국과수에 감정 의뢰, 용도 확인 군 기지 혹은 주요 국제공항 주변을 돌며 주요...
-
황교안 "국힘 경선도 부정선거"…이유는 '나경원 떨어져서'
04/24 16:38 등록 | 원문 2025-04-24 13:12
3 7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 1차 경선에서 부정선거가 이뤄졌다고...
-
04/24 15:50 등록 | 원문 2025-04-24 14:03
14 12
25일 안철수와 토크 간담회도 진행 제21대 대통령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이준석...
-
04/24 09:54 등록 | 원문 2025-04-24 09:47
28 20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 혐의로 기소 ▶MBC뉴스를 네이버 메인에서...
열람실이 사라지는 건 최근 수년 새 벌어진 일이다. 강조되는 도서관의 주요 기능이 ‘공부 장소’에서 ‘문화 활동’으로 바뀌면서 열람실을 없애고 문화 강좌 등 시민들이 다양한 활동을 하는 다목적실을 만드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대통령 소속 국가도서관위원회의 ‘제4차(24~28년) 도서관 발전 종합 계획’에도 ‘문화·학습·체험 프로그램 확대’ ‘지역 특화 프로그램 개발’ 등이 주요 계획으로 들어갔다.
대구시 관계자는 “열람실은 학생들 시험 기간에만 붐비고, 시민들이 동아리 활동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원하고 있다”면서 “한정된 도서관 공간을 상시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방향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학생들과 취업 준비생들은 불만이다. 열람실 규모를 177석에서 97석으로 줄인 서울 동작도서관에는 민원이 종종 접수되고 있다.
이곳은 노량진 고시촌 근처에 있어 각종 시험 준비생들이 많이 찾는다. 한 시민은 도서관 홈페이지에 “고시 공부하는 구식 도서관 탈피하고 미래형 도서관 만든다면서 (열람실) 좌석 없앤 건 심각한 문제”라면서 “좌석 수가 줄었으니 (1인당) 점유 시간을 제한하거나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람 쫓아내는 도서관으로 인식될 것”이라고 했다.
“열람실 학습 공간이 축소되어 이용자가 오히려 불편해지고 아쉽다”는 의견도 올라왔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