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lJ7GAuMST20B [628251] · MS 2015 · 쪽지

2015-12-14 21:11:44
조회수 885

논쟁을 일으키고 싶지는 않지만, 학벌주의의 강화가 가지는 문제점에 대해 논해보고자 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38762

물론, 저의 생각으로는 학벌주의는 필요합니다. 고등학교 시절 뼈빠지게 공부해서 명문대학교를 입학한 사람들은 응당한 보상을 받아야 함에 틀림없습니다. 이들은 분명히 큰 재원입니다.

그러나, 학벌주의가 강화되는 것은 단점이 상당히 많습니다.



첫째, 사회의 다양성이 약해질 우려가 있습니다.

학벌주의가 심화되면, "공부만이 살 길"이라는 풍조가 더 심해짐이 분명하고, 애초에 공부보다 다른 쪽에 더 재능이 있는 학생들이 자신들의 진로를 잘못 선택하고 자질을 썩힐 것입니다. 이는 국가적으로 큰 손실입니다.



둘째, 사회의 효율성이 약화됩니다.

물론, 사회적 재원들이 우대받으면 더 일의 진행이 효율적일 수는 있겠습니다만, 오늘날 한국의 강한 학벌주의 사회에서도 그렇게 효율적인 성과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옆나라 일본의 사례를 보면, B급으로 취급받는 대학교에서도 노벨상 수상자가 배출되곤 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명문 SKY에서는 아직 노벨상 배출자가 한명도 없죠.(물론 SKY는 아시아권의 명문학교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학벌주의가 강화된다면 장수생이 상당히 많아질텐데, 이는 당연히 사회적 낭비입니다,(사시 폐지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 논의된 것으로 압니다.)



고로, 학벌제도의 강화는.... 좋지만은 않아 보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설의행 · 596024 · 15/12/14 21:14

    공부보다 다른 쪽이 뭐죠..

  • 인설의행 · 596024 · 15/12/14 21:14

    그리고 한국이랑 일본을
    비교하는건 무리가있는듯;
    한국이 일본을 어떻게 이김

  • NFlJ7GAuMST20B · 628251 · 15/12/14 21:17 · MS 2015

    US News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서울대는 아시아 9위권 대학입니다. 그런데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구마모토대학교는 10위는 커녕 50위권에도 없어요ㅋㅋㅋㅋ

  • Bersebre · 304134 · 15/12/14 21:19 · MS 200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NFlJ7GAuMST20B · 628251 · 15/12/14 21:14 · MS 2015

    기술이죠 뭐

  • NFlJ7GAuMST20B · 628251 · 15/12/14 21:20 · MS 2015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에서는, 목수나 배관공, 환경미화원이라 할지라도 다른 사람들에게 열등감을 가지지 않고 떳떳하게 살아갑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그런 사람들이 SKY라고 하면 그 앞에서 설설 기면서 열등감을 가지고 살아요. 수입의 차이는 물론 있을 수 있어야 한다고 하지만, 인식마저 그런 식으로 되는 게 옳다고 보십니까?

  • 서울데생 · 624186 · 15/12/14 21:20 · MS 2015

    학벌주의를 상쇄할만큼 입결의 비대칭성이 심화된 상태죠

  • 나랏말쌈 · 535023 · 15/12/14 21:37 · MS 2014

    어리다고 하면 어리다 할 수 있는 시기의 일괄적 줄세우기로 개인의 역량을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박제하는 게 보상이라는 이름으로 정당화 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요즘 학벌주의가 강화되고 있다는 말의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 NFlJ7GAuMST20B · 628251 · 15/12/14 21:39 · MS 2015

    방금 어떤 분이 쓴 글에 대한 일종의 논의입니다

  • NFlJ7GAuMST20B · 628251 · 15/12/14 21:40 · MS 2015

    그게 보상이 되지 않으면 누가 공부를 하고, 누가 열심히 살겠습니까....;;

  • 나랏말쌈 · 535023 · 15/12/14 21:42 · MS 2014

    대학에 공부하러 가는 거지 대학이름이 벼슬은 아니지 않습니까, 요지는 더 좋은 대학에서 더 좋은 교육을 받아 그게 보상의 역할을 할 수는 있으나, 대학 자체는 보상이 아니라는 겁니다.

  • NFlJ7GAuMST20B · 628251 · 15/12/14 22:19 · MS 2015

    더 좋은 대학에서 더 좋은 교육을 받아 더 좋은 직장에 취직하게 한다.....는 것이 좋겠군요.

  • NFlJ7GAuMST20B · 628251 · 15/12/14 22:19 · MS 2015

    물론 그것이 절대적인 전제는 아니기에 님의 의견에도 어느정도 부합하는 거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