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인호.. 6
나마에와
-
얼버기 4
-
공리는 참이라는 증명이 없다 이말은 귀류법 증명이 없다는 말 이말은 공리를 부정하면...
-
Step 1 넘 쉬운 것 같은딩 2-쉬3정도인가
-
님수학못하죠? 8
-
이러고 (2n-1)(2n)(2n-1)(2n) 마셨는데 있었네… ㅠㅠ
-
하 나도 4
형 누나 있으면 좋겠다..
-
효림아 미안해 사실 나 헤일리랑 썸타다 늦엇어.
-
콘서타 품귀 시발 27
좇같네
-
내가 귀가안좋은건가 정답선지 고를때마다 70%확률로 외치시는데 뭐지
-
지금 손에 땀이 나.....긴장이 되.
-
여러분 아래에 다 있잖아요
-
적분상수에게 공감해줘ㅜㅜ
-
개발자모드를 켜도 왜 터미널이 없지? 탈옥해야하나
-
어느정도로 맞아야 함? 그리고 생1 지1로 갈 수 있음? 요즘 정시 메타를 몰라서 물어봄
예아 자이스토리 풀면 좋아요
수분감만 풀어도 충분해요
의견이 다르시네 흠.. 혹시 님도 수분감만 하심? 그것만해도 기출에서 뽑아가는거랑 분석 충분히 많이 되셨나여?
저는 수분감만 했어요. 솔직히 수분감만 완전히 소화할 수 있으면 왠만한 문제들은 다 풀 수 있는 실력이 되요. 수분감에 유형별로 대표할만한 기출문제들이 대부분 수록되어 있어서 그 이상 기출문제를 분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요.
다만, 문제풀이 속도와 발상력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문제를 풀어볼 필요가 있어요.. 저는 이를 위해서 여러 문제를 풀어볼 필요는 느꼈으나, 이는 자이스토리 등 기출문제로는 채울 수 없다고 판단하고(이미 수분감을 분석한 상태에서는 다른 기출문제들이 전혀 새롭지 않고 익숙한 상태가 됩니다) n제를 통해 매웠어요.
그런데, 수분감을 회독하면서 '문제 풀이'에 대한 익숙함 아니라 '문제 그 자체'에 익숙해진 경우(문제를 그냥 외워버린 경우 등), 다른 기출 문제집을 통한 공부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될거 같아요 나중에도 찾아올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