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 실전개념이라는게 뭐라고 생각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329880

답지풀이말고 천재적인 풀이같은거 있잔아
굳이 n축같은 교육과정 외 스킬 안 가져오고도 그래프로 푼다거나...그런거
실전개념? 뭐라그럴까 이런걸
예를들어서 저 밑에 문제 조건을 보고 y=sin(k/6)선대칭이구나 바로 알아내는...그런거
이런거는 어디서 배우는거임? 이런게 재능차이인가 기출 풀어도 저런 능력은 안키워질 것 같음
저런 직관은 어떻게 키우는걸까
저런거에 집착 안하고 정석풀이 위주로 공부하는 편이었는데 3등급 벽이 안뚫려서 고민이 많아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선방송 보지 말라는거임?
-
진짜냐구우우웃;;
-
https://m.ytn.co.kr/news_view.php?key=202504081...
-
ㅈㄱㄴ
-
3모4떳고 지금 새기분 듣는데 등교하는 날은 강의 듣기 버거워서 강기분 독서에서...
-
저 아이린 닮고 싶어서 맨날 내가 아이린이라고 상상하니까 아이린보다 이뻐진듯ㅋ
-
백날천날 오르비 거주중인 N수 반수생들 떡밥을 학교에 있는 현역이 어떻게 따라감?...
-
여름 아닌가
-
다른 분들 의견도 궁금해서 써봅니다 교육부는 본과 3·4학년생을 중심으로 수업...
-
딱 한 번 깸
-
국어에서 무슨지문 풀었고 뭐배웠고 수학에서 뭘 몰랐고 이런거
-
꼬우면 돈많게 태어나라 ㅋㅋ
-
피드백 해주시나요 고민이 많음 실전
-
어떻게 모든지방 자세한사정까지 다알고 하겠음 객관적인 기준이란게 있을수가있나...
-
물론 사람이 항상 생산적인 일만 해야하는 건 아니긴 해
-
또 전통놀이구나 1
-
돈많다고 공부잘하는게아니라 잘할 사람은 어떻게서든 열심히해서 성적 올리료고 함 이걸...
-
ㅈㄱㄴ
-
개꿀잼이네 학교 푸로구래밍 시간인데 개재밋노
-
본인 사는 곳애서 농어촌 지역으로 다 버리고 이사가서 중고등학교 6년 지내셈 쉽다...
-
청소 너무 싫다
-
세상은 허구한날 수학문제 벅벅 풀고 과탐 숫자퍼즐이나 맞추며 놀고 허구한날...
-
일단 홈페이지에 전화주라고 써있는데 전화하고 접수하러 학교 가야하나요? 학교 가는데...
-
언론 분위기를 보면 2026 의대정원은 3058이라고 곧 발표할거같긴 한데요 5
교육부는 본과 3·4학년생을 중심으로 수업 참여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
학교생활이 개바쁘니까 반수생각이 사라짐 찍먹은 마혀운데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음... 1
어떻게해서든 지각이니까 오히려 마음이 편하네 ㅎㅎ
-
지역별로 수준차이가 너무 심하다고요? 네 수시 처방해드리겠습니다~~ 그래도...
-
[잡담] 티처스에서 조정식T께서 하신말이 좀 사이다였던게 16
그 시골사는 여자애 나온 편에서 대치동 학원가 고집하고 주위에서 공부할게 없다고...
-
좋은아침 9
천원아침 흡입하기 오늘은 특식이래요
-
안알랴주면 난 어떡해
-
안녕하세요 현역때 17수능 봤던 틀딱입니다 가고싶은곳이 생겨서 내년까지 바라보고...
-
젖지대머리 2
젖지대머리
-
수학help 5
지금 미적분 이해원 하는중이에요,,수학 어느정도 한다고 스스로 생각하는데 항상...
-
학비땜에 알바 풀로 뛰는거라 했다.. 눈치보이네
-
9시간도 안남음 0
대성의 첫 앨범이 나옵니다
-
서울 강북 동네 내에서 형성된 분위기 자체가 피튀기게 공부하는게 아니라 적당히...
-
4/8 공부목표 0
근월승리 2일차 주간 키스 2일차 김승리 선택 언매 1장 끝내기 브릿지 전국브릿지...
-
모닝 4
-
메가스터디가 뭔지도 모르고 실모는 듣도 못했고 점심으로 우렁쌈밥나오는...
-
휘문평균 1
ㄷㄷㄷ
-
아 오늘 부산 가는데 계속 아프니까 열받네
-
그치만 20년이넘도록 해본적이 없는걸요ㅡㅡ 밉다
-
정부, 오늘 국무회의서 차기 대선일 6월 3일로 확정 11
대선 입후보 희망 공직자 내달 4일까지 물러나야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
수학적 중간x 모든 행위에 중용x 맞죠? 윤사 때 배워서 기억이 잘 안나네요
-
안녕하세요. 이투스 다니는 재수생입니다.. 제가 코 훌쩍이는 소리라던지 목 큼큼하는...
-
어~ 맞죠? 0
네 존나 맞아요~
-
개체 정의 관련된 지문이 출제된 적이 있었구나 사바컴이라니 ㄷㄷ
-
[다시 간다]목동 30분 거리가 농촌?…농어촌 전형 취지 무색 2
[앵커] 교육환경이 열악한 농어촌 학생들의 입시를 돕기 위해 만들어진 농어촌...
-
요새 잠을 잘 못 자서 그런가....다들 건강 챙기셔요
한 문제 한 문제를 소중히 여겨야댐
찌찌뽕
근데 문제 하나 무작정 처다본다고 그런게 떠오르지는 않음 나는....
이제 저 문제에서 선대칭 아이디어를 알앗으니 비슷한 조건이 나왓을 때 이 문제를 공상하듯이 풀 수 잇으면 정말 빠르게 실력상승이 가능함미다
저건 실전개념보단 짬바임
저런거 기출 풀다보면 보입니다
단 재능 있는 사람은 개념만 해도 보여요
재능 없으면 기출 5회독은 해야 그제서야 보이고요
그냥 4점짜리 벅벅 회독 돌리면 감이 오는걸까용...? 어떤 생각을 해야하는건지 궁금해용... 수분감 이런거 들어봤는데 걍 현우짐풀이 외우기 느낌이라 손절햇어요
다른 사람의 풀이에는 사고과정이 안 들어있어요. 물론 해설지가 아니라 강의같은 경우에는 그 사고과정을 어느정도 설명해주지만, 그럼에도 본인 스스로 어떻게 사고해서 이 문제가 풀린건지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문제를 열심히 시도를 해보고 해설을 봐야하는 이유도 이때문입니다. 그냥 보면 사고과정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거든요. 어느정도 부딪혀보고 해설을 보면 여기서 왜 그 생각을 햇어야 햇는지를 파악하기가 수월해지죠. (또 왜 내가 못 풀엇는지 등등..)
강사가 가르칠 법한, 혹은 널리 퍼져 있는 실전개념과 공식들을 우선 숙지하고 있어야 함. n제나 기출을 풀 때 우선은 푸는 것 자체에 집중하되, 그 풀이가 덜 다듬어져 있다면 혼자서 끙끙대보는 거임. 여기서 적용 가능한 개념이나 공식이 없을까? 필요하다면 해설지나 강사의 풀이과정을 참고해서라도 이런 풀이를 많이 접해야 함. 이런 식으로 문제를 충분히(충분히의 기준은 사람의 재능에 따라 갈림) 접하다 보면 새로운 문제를 볼 때 기시감이나, 말로 표현 못할 직감이 들 때가 있음. 이 직감은 문제를 많이 풀수록 더 자주, 더 뚜렷하게 나타남. 이게 쌓이고 쌓여서 풀이도 다듬어지고, 빨라지는 거
+번외로, 위의 문제는 선대칭을 꺼낼 필요 없이 그냥 y=sinx와 y=sin(kπ/6)의 교점의 개수로 생각해도 무방함. 어차피 교점의 위치를 알 필요 없이 개수만 구해도 된다면, 구간에 관계없이 sinx=sin(kπ/6)일 때 교점이 생기므로 굳이 그래프를 희한하게 안 그려도 됨. 당연히 이런 아이디어도 다양한 문제를 많이, 아주 많이 풀다 보면 자연스레 떠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