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 일기264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280638
10진수(decimal)를 2진수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주로, stack을 이용해서 구현하지요.
20을 2진수로 구현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20 / 2 = 10 …0
10 / 2 = 5 … 0
5 / 2 = 2 … 1
2 / 2 = 1 … 0
1 / 2 = 0 … 1
몫이 0이 될 때 까지 나누고, 나머지를 밑에서부터 출력하면
10100이 되지요.
이 과정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자료구조가 stack입니다.
제일 먼저 2로 나눈 수는 20이지만, 20을 2로 나눈 나머지가 제일 마지막에 출력 되어야 하죠.
말하자면, 나눈 순서와 나머지를 출력하는 순서가 거꾸로 뒤집힌 상황입니다.
그러니까, 1이 제일 마지막으로 2로 나누어졌지만, 이 결과로 얻어진 나머지가 우선적으로 출력이 되죠.
다시 말해, First in - Last out을 만족하는 stack구조가 적합하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죠.
제일 첫번째로 입력된 데이터가 마지막에 출력된다.
도출 과정을 글로 요약해보면 이렇습니다.
1. “해당 수를 나눈 몫이 0이 될 때까지 2로 나눈다”
2. “나눌 때 마다 얻게 된 나머지를 스택에 집어 넣는다”
3. “스택의 데이터가 모두 없어질 때까지 출력한다”
조금 다른 감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만, 실제 알고리즘을 구현할 때
이런 식으로 간단히 의사를 정리해두는 코드를 Pseudo code(의사 코드)라고도 합니다.
개인적인 견해로, 이런 예시로 보면 알 수 있듯이 코딩은 절차적인 글쓰기입니다.
시제를 넘나드는 OOP로 넘어가면 얘기가 조금 달라지지만, 근본이 이렇죠.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stack<char> st;
int main()
{
int num;
cin >> num;
//해당 수를 나눈 몫이 0이 될 때까지 2로 나눈다
while(num > 0)
{
int ret = num % 2;
char res = '0' + ret;
//나눌 때마다 얻게 된 나머지를 스택에 집어 넣는다
st.push(res);
num /= 2;
}
//스택의 데이터가 모두 없어질 때까지 출력한다
string result = "";
while(!st.empty())
{
result += st.top();
st.pop();
}
cout << result << endl;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중앙대학교 도시시스템공학과 25학번 신입생을 찾습니다! ? 0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도시시스템공학과 25학번 신입생 단톡방 공지?️...
-
다들 아시다시피 이번에 연대가 논술 뻘짓 크게 해서 입학처에서 크게 부담을 느꼈다고...
-
토목공 환경공 자원공 도시공같은 비인기 공대랑 화학과랑 비교하면 뭐가 더 낫나요..?
-
연대조발좀 2
송도 원룸은 비싼가요
-
어차피 팡일이 강의 좀 듣다가 심심하면 담요덮고 지영쌤 강의 구경하다가 승제찡이랑...
-
중앙대 0
중경 몇번까지 돌까요?
-
1.공익에 유익함 2.현실을 마주하는 용기를 발휘하는 경험을 하게 해줌...
-
메가 환급 8
지금 메가 환급해주는 기간이 아닌가요? 메가스터디에서 안보여서
-
수시런가보다...까비 아깝숑
-
수능 끝났을 때는 "드디어 해방이다!" 싶었는데, 정서 원서까지 내고 나니, 진짜...
-
무등비 0
쎈이랑 시발점에 무등비가 좀 많은데 일단 시발점 문제는 풀었습니다 워크북이랑 쎈에...
-
작년에 교대 점공 계산기 사용해보신 분들 정확도가 얼마나 됐는지 알수 있을까요ㅜㅜ...
-
목도리 안 하는게 더 나을듯 사진 찍어보니까 완전 리본돼지 같음
-
지금 듣는 국어 강사 12
적어주세요
-
중대경영 0
644붙을수잇나
-
최상목, '고교 무상교육 국비지원 연장' 거부권… "국민 부담 가중" 2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
오르비 어지러워요 10
피난갔다올게요..
-
중대 경영 0
606번 붙을까요 ㅋㅋ
와 이런 거 너무 좋은 거 같아요
:)
아 저도 코딩 공부하고 싶네요..나중에 원하는 학과 입학하면 이런 거 연재해보겠습니다
화이팅이에용!
님 코딩 문제 풀때 보면 바로 알고리즘짤때 뭐써야하는지 떠오르나요?
사실 난이도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시간이 걸리긴 합니다.
코딩테스트 한정해서 말씀드리면, 빈출 알고리즘(dp, greedy, knapsack, graph …)이라는 게 존재해서
유형을 반복적으로 접하다 보면 알 수 있죠.
생전 처음 보는 문제는 저도 버겁습니다.
답보면 맥락은 이해가 가는데 문제만 보고 이걸 떠올리는게 많이 빡세더라고요
경험 부족인 거죠. 그래서 가급적이면 유형 별 문제풀이가 도움이 될 때가 많아요.
오늘은 배낭문제, 내일은 dp, 모레는 greedy… 이런 식으로 유형 별로 반복을 하면서 연차가 쌓이면
“자기 주관”이 생기게 마련일 거예요.
자고로, 저도 그런 경험을 지금까지도 너무 많이 겪고 있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