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928 해설(외국어) - 자세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256051
우리는 여러 강사 분들에게 논리 독해 기법을 배웠습니다.
저는 그 중에서, 가장 독특했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을 제시했던
은선진 선생님의 방법을 기반으로 독해할 것입니다.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각 문장은 주제를 설명(반복/추가/비교/대조)
2) 반복되는 어휘/내용은 핵심 내용/주제 내용을 구성함
3) 논리 전개 패턴(반복/나열/예시/비교/대조/질문과 대답/인용/역접/당위/명령/결론)은
핵심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의식하고 연결할 수 있어야 함.
4) 선택지는 핵심 내용 또는 그것과 관련있는 세부 사항을 포괄할 수 있어야 함
평가원이 제시하는 평가 목표와 행동 방법, 학습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평가 목표
* 본 문항 유형은 글의 핵심적인 내용(주제문이나 주요 세부 내용)과 글의 논리적 흐름을 고려하여 문맥상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추론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본 문항 유형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12영Ⅰ/Ⅱ03-03]일반적/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와 연관된다.
2) 행동 방법
- 본 유형의 정답을 찾기 위해서는 지문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으면서 지문의 중심소재 및 주제문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빈칸 추론 문항의 빈칸은 일반적으로 해당 지문의 중심적인 내용 혹은 그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부 정보와 관련이 있다.
3) 학습 방향
- 빈칸 추론 문항은 일반적으로 학술적 지문이 주로 사용되므로 단순하고 기계적인 문제 풀이 요령만으로는 정답을 찾기 어려우며, 평상시 지문 전체의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어 나가면서 지문의 핵심 소재와 그와 관련된 주제 및 요지를 파악하는 연습을 충실히 해야만 해결할 수 있다.
- 더불어, 빈칸이 되는 부분은 해당 지문에서 정답과 밀접하게 관련된 단서 또는 근거가 되는 부분일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글을 읽어 나가면서 빈칸의 단서 또는 근거가 되는 부분을 찾아 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빈칸에 들어갈 말을 추론해 보는 연습도 효과적이다.
시작합시다.
1분 40초를 줄테니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시작.
28. Guys lost on unfamiliar streets often avoid asking for directions from locals. We try to tough it out with map and compass. Admitting being lost feels like admitting stupidity. This is a stereotype, but it has a large grain of truth. It’s also a good metaphor for a big overlooked problem in the human sciences. We’re trying to find our way around the dark continent of human nature. We scientists are being paid to be the bus-driving tour guides for the rest of humanity. They expect us to know our way around the human mind, but we don’t. So we try to fake it, without asking the locals for directions. We try to find our way from first principles of geography (‘theory’), and from maps of our own making (‘empirical research’). The roadside is crowded with locals, and their brains are crowded with local knowledge, but we are too arrogant and embarrassed to ask the way. So we drive around in circles, _______________________ about where to find the scenic vistas that would entertain and enlighten the tourists. [3점]
① waiting for the local brains to inquire
② accumulating and examining the locals’ knowledge
③ going against the findings of our empirical research
④ relying on passengers’ knowledge and experience
⑤ inventing and rejecting successive hypotheses
1) Guys lost on unfamiliar streets often avoid asking for directions from locals. We try to tough it out with map and compass. Admitting being lost feels like admitting stupidity.
: 길을 잃어버린 친구들은 남들한테 안 물어보고, 혼자서 해결하려고 듭니다.
왜? 길 잃은걸 인정하는 건 멍청함을 인정하는 것처럼 느껴지니까요.
-> 이때 생각해야 할 것: 모든 문장은 주제를 부연 설명한다.
각 문장간에는 서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 했어야 할 것: 'Admitting being lost feels like admitting stupidity.'가
앞 짓거리의 이유라는 거 캐치.
2) This is a stereotype, but it has a large grain of truth.
: 이건 고정관념이지만, 진실을 담고 있죠.
-> 이때 생각해야 할 것: but 앞 뒤 둘다 fact지만 뒤가 더 핵심에 가깝다.
-> 했어야 할 것: 이건 진짜다... 에 밑줄 긋고 넘어가기.
3) It’s also a good metaphor for a big overlooked problem in the human sciences.
: 앞 내용은 과학에서 간과되는 문제에 대한 비유이기도 합니다.
-> 이때 생각해야 할 것: 아 앞 내용이 과학에도 적용되는구나.
-> 했어야 할 것: 비유의 원관념(과학), 보조관념(길찾기) 잡고, 둘의 특징이 유사한지 파악하기.
4) We’re trying to find our way around the dark continent of human nature. We scientists are being paid to be the bus-driving tour guides for the rest of humanity.
-> 이때 생각해야 할 것: 비유의 시작이구나. 길을 찾고 계시는구나. 그러면 과학자들도 길 잃은 친구들 마냥 혼자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끙끙댈까?
-> 했어야 할 것: 두 문장 인과인거 파악하기. (길을 찾으려 노력해 왜? - 임무가 그거거든 ㅇㅇ)
5) They expect us to know our way around the human mind, but we don’t. So we try to fake it, without asking the locals for directions.
-> 이때 생각해야 할 것: 알 거라고 생각했는데 몰라. 아 그래서 속였다고? ㅋㅋ 반복어구는 핵심내용
의 일부니까 얘를 중심으로 글을 읽어야겠다.
-> 했어야 할 것: 각 문장을 인과로 묶어내기.
6) We try to find our way from first principles of geography (‘theory’), and from maps of our own making (‘empirical research’). The roadside is crowded with locals, and their brains are crowded with local knowledge, but we are too arrogant and embarrassed to ask the way.
-> 이때 생각해야 할 것:
1) 이론과 연구? 응 앞 맥락에 집어넣을거야~. 앞에서 뭐라 했었지?
아 길을 혼자 찾으려 한다고 했었지. 이론과 연구는 혼자 길을 찾기 위한 방법
(사실 with map and compass죠) 일 뿐이구나. 야호!
2) 여러 사람들이 있지만, 너무 거만하고 부끄러워서? 아 앞에 나왔던 멍청함 ㅇㅈ?
또 엮였구나. 그냥 똑같은 이야기를 반복하는군.
-> 했어야 할 것: 무 한 인 과.
7) So we drive around in circles, _______________________ about where to find the scenic vistas that would entertain and enlighten the tourists.
-> 이때 생각해야 할 것: 아 길을 못 찾으셨구나(drive around in circles), 그리고 뒤에는 길찾기
관련 내용이 나왔네. 그러면 빈칸에 안 나왔지만, 본문에 나왔던 건? 길 찾는 방법이었지.
과학자들은 '이론'과 '경험적 연구'를 통해서 길을 찾는다고 했으니까 빈칸에는 비슷비슷한 말,
아니라면 최소 맥락(과학자들은 혼자서 길을 찾으려고 한다)에 맞는 말이 들어가야겠네.
-> 했어야 할 것: 반복어구 연결하기.
① waiting for the local brains to inquire
-> 혼자서 일을 해결한다고 했는데... 정반대죠...
② accumulating and examining the locals’ knowledge
-> 또 반대네...
③ going against the findings of our empirical research
-> 언뜻 보면 맞는 것처럼 보이지만, 'going against'라서 정반대임. 앙 ㅋㅋ
④ relying on passengers’ knowledge and experience
-> 또 반대네...
⑤ inventing and rejecting successive hypotheses
-> 이론을 기반으로 가설을 만들고, 연구를 진행하면서 가설을 폐기하고... 정답이겠네
(비현실적인 생각에 가까우나, 이런 정당화 과정을 여러번 거쳐야 실전에서 추론형 고난도
문항을 어렵지 않게 풀어낼 확률이 올라갑니다. 방법에만 안주하지 마시길.)
아 대충 과학하고 맞는 얘기니까 정답이겠지. 나머지는 다 반대야(현실)
아래는 평가원 양식의 해설입니다. 제가 썼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주어진 지문은 길을 잃은 사람들이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상황에 주목한다. 길을 잃은 사람은 자신의 멍청함을 인정하기 싫어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최대한 스스로 길을 찾으려 드는데, 이러한 사실을 고정관념이지만 진실을 담고 있고, 과학의 문제점과 관련이 있다는 내용을 추가하며 논의의 범위를 확장한다. 이어 과학에서도 역시 과학자들은 소명에 의해 길을 찾아야 하는데, 그 길을 찾지 못해 남들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서 길을 찾기 위해 이론과 경험적 연구를 통해 노력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그것은 성공적이지 못하고, 인류의 나머지를 위한 과학적 선을 혼자서 찾으려 노력하는 과정을 계속 반복한다는 것인데, 이것이 바로 빈칸의 문장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따라서 문장의 빈칸에는 과학의 이론을 기반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그 가설을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폐기한다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따라서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선택지 ⑤번 “inventing and rejecting successive hypotheses(지속적인 가설을 발명하고 폐기하면서)”이다.
===========================================================================
시간이 날 때마다 고난도 문항에 대한 해설과 학습 방향에 관한 글을 들고 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강사들 국어기출 해설 맘에 안드는거 많아서+내가 원하는 지문만 찾기 힘들어서 5
유튜브에 틈틈히 기출해설 올리는 중인데 보고싶은 지문 있나요?
-
설 : 서울 내셔널 고 : 코리아 인데 연 : 욘세이. 어쩌다 이래됐을까
-
지금 뉴런 수12는 완강했고 미적은 시발점 완강+뉴런 진도 나가는중입니다 4년만에...
-
저희 학교가 졸업 때까지 이과생의 경우, 서울대에서 최소 사탐은 몇 과목 들어야...
-
코!
-
8학군 학군지 학교인 사람중에 열품타 할 사람 ㄱㄱ 2
정시파이터 ㄹㅊㄱ
-
인문논술질문 1
좀 받아주실 분…
-
수특 1
사탐 수특 안제쯤 푸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풀고 꼼꼼히ㅡ복습도 해야하나요 아님 그냥...
-
대입 논술 기출까지 참고해서 문제내는데 강남에는 이런 학교 더더욱 많겠죠?
-
강민철 김승리 2
강민철 안맞으면 김승리도 안 맞겠죠? 국어3모스블6모3덮강민철김승리새기분올오카
-
공부해야지 0
해야지
-
저는 (t-a)^2 날린다음에 판별식썼는데 다들 어떻게 푸셨나요? 그래프 풀이 말고요
-
전세계가 놀랄만한 구름같은데
-
과연 비갤에는 5
정말 오르비 하는 사람(즉 그 비판의 대상자)가 한명도, 아무도 없을까 굳이...
-
어휴 수학을벅벅
-
뉴런 안듣고 수분감 풀었는데 개념적으로 부족한점은 없는것같아서 뉴런같음 개념인강 꼭...
-
공부하고옴 3
-
독재에선 잠시 물리만 하고 집와서 자기전에 지구과학 좀 ㅎ해야겠어 물리 먼저 개념기출 끝낼래
-
이번에 현역 정시로 들어와서 연대 경영 재학중입니다. 원래는 그냥 수능판 떠날...
-
난 앱으로 하는디
-
물리 먼저 개념기출 끝내는게 좋을꺼같은데 상담해주실분
-
유빈이한테 빌려달라고 할까
-
러셀 여기지점만 그런건가...
-
국어 3등급 0
KBS 들어야할까요?
-
ㅇ 1
-
헥헥헥헥헥헥헥헥 강윤구만 보면 꼬리를 살랑살랑 흔들고 싶고 강윤구만 보면 그냥...
-
ㅆㅂ
-
강e분 수특 3
강e분 지문이랑 수특 지문이랑 같나요? 강e분 교재 안사고 수특으로 강의들어도되나요?
-
방가 2
공부하다 좀 자고 와씀 밥머거야해 이제 일요일이라고 진짜 지멋대로하네 나;;
-
인생의 전부도 아닌 공부도 못하면 뭘 해낼 수 있냐는 말 0
그거에 대해 사유하다 든 생각 인생 전체가 100이라고 했을때 공부가 그 전부가...
-
영재였지
-
근데 딱 한 명이랑 한번밖에 옯만추 안 했는데 이것도 동그라미 쳐야됨?
-
3등급에서 벗어나질 못하는디 기출을 계속봐야할까여 아님 엔제를 풀어봐야할까여
-
3빙고밖에 안되노
-
옯창빙고 하… 2
-
학벌 무용론 2
학벌 댄스론
-
문학,수학,탐구는 풀 예정인데 독서랑 화작을 풀어야할지..
-
미적 기출 다 했는데 n제 추천 좀 ㄱㄱ 설맞이 2024 미적은 안사놔서 ㅜ 이거 빼거
-
1빙고도 안 나올듯 그래서 안 할래
-
미적 백분위 97이상 목표입니다 늦은편이면 시간 늘릴 생각도 있어요! 하루에 수학 6시간 박을거라
-
날씨 춥던데 서너명 팟 꾸려서 가볼까
-
그런 느낌 어캐해야 낼 수 있을까
-
반성ing....
-
일차함수는 기울기가 높을수록 x값이 커짐에 따라 함숫값이 더 빠른 속도로 커지죠...
-
https://orbi.kr/00072651243 묻혀서 안 올려주시는건지…
-
어싸 모르는문제 2
어싸 모르는문제는 어떻게 처리하시나요.. 아예 발상을 못 떠올리는 경우같이 시작을...
-
아주대 로스쿨생은 입시 때 교대생보다 성적이 낮았다? 21
전 잘 모르겠음 설마 통계를 부정하시는 건 아니겠죠?
-
기숙학원이나 재수학원 아님 관리형독서실인데 점심 저녁 나오는 곳 중에 가성비...
-
뉴스 상황실들어가서 그냥 끄아악 제귀에도청장치가리게토레이븐하게 구워졌군요 고기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