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251089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싸우자 8
지금이라도 용서를 빌면 살려줌
-
ㅇㅈ 4
사귀자
-
국어 3모 89 6모 84 9모 92인데 25수능 독서 10틀 문학 1틀 언매 1틀...
-
너무나도 무서워
-
주석님 2분 오실거같은데
-
평범하게 물건 보다가도 갑자기 눈돌아가서 어머 이건 꼭 사야돼! 이러는데 이거 고치고 싶음..
-
[칼럼] '수능을 수능답게, 수학을 쉽게 보는 방법.' - '수학1 - (1) 지수와 로그' 6
‘수능을 수능답게, 수학을 쉽게 보는 방법,’ - 수학Ⅰ- (1) ‘지수와 로그’...
-
ㅇㅋㅇㅋ
-
재수생이고 작수 통통이 원점수 93인데 안가람 시즌2 듣고 잇는데 뭔가 수학실력이...
-
지듣노 7
집가면서 듣는중인데 노래 ㄹㅇ좋은듯요
-
계엄령 터질 때 오르비에서 모 오르비언이 "그냥 계엄 버튼 한번 눌러 본 거...
-
다들 오랜만이야 3
작년에 그래도 자주 왔는데 난 변한게 없네 그나마 변했다고 차면 감정선이 무뎌진만큼...
-
다들 전 닉좀 알려줘요
-
4규 시즌 1 수2 고작 한 권 푸는데 12시간이나 걸림요. 한문제당 약...
-
돈달라고? 으이구
-
기대할게요♡
-
고2 정시파이터입니다 수업시간에 수학을 풀어도 개인시간에서 하는것 보다는 속도도...
-
맞팔구함!! 6
파릇파릇한 뉴비랑 맞팔할사람??
-
나도 덕코줘 4
잉잉
사실 저도 그 생각햇는데
머지 싶음 지금
오...과외 준비하시는건가요?
양변 미분해보세요
아닌가
맞내요 이거
g'(0)=0이면 g(x)가 왜 상수인지 알려주실수잇으신가요
g'(0)=0인데
그 외에는 미분계수가 0이 아니라면요??
아 헷갈리네..
충분조건이지 필요조건은 아닌거같은데,,,
아니네 맞네,,,씹
아니네 아닌데
원본 문제 보여주실 수 있나요?
오른쪽항이 0부터 2X까지라 N파이인거 아닌가요'
g(0)이 N파이가 아니면 g(x)-g(0)=2x라고 해도 좌변 우변이 같다는 보장이 없어요
사인제곱을 0부터 2X까지 적분한거랑 0.5파이부터 2X까지 적분한게 다르자나요
g가 1차함수라는 보장이 없어서
시작점이 달라도 얼마든지 적분 결과는 같게 만들 수 있긴 해요
위끝 아래끝 기준으로 좌변은 미지수, 우변은 상수가 나오게 두면 g가 2x+C 꼴로 나와야 함이 보이고, 우변의 한쪽 끝이 0으로 고정이니까 좌변도 f의 절편이 경계여야 함 즉 +n*pi
인 것 같네요

아 2x+C가 아니어도 되나오류 맞는 것 같네요
함수 h(x)=1/2(x-sinx*cosx)에 대해 h'(x)=sin^2(x)니까
h(g(x))-h(g(0)) = h(2x)-h(0)이 성립하고, 이때 h(x)는 일대일대응이니 역함수가 존재해서 임의의 g(0)에 대해 g(x)=h-1(h(2x)+h(g(0)))과 같이 g(x)를 정의할 수 있어요
물론 g(0)=npi가 아니면 g'(0)=0이고요
사진은 g(0)=pi/2인 케이스에서 g(x)의 그래프에요
생각해보니 원본 문제에서는 g'(x)가 나타나는데, 이런 식으로 정의되면 특정 점에서 약간 x^1/3 그래프랑 비슷한 형식으로 미분계수가 발산하는 문제가 있긴 하네요
그렇다고 미분가능이라 명시된 건 아니라서, 여러모로 애매하긴 해요
검토가 안된 문제같네여...
선생님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뭔가 이상한건 느꼈는데
현우진 쌤 교재라서 해설이 무조건 맞을 줄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의문이 드는 것은
제가 애초에 질문한 이유가 g(0)=0이 아닐 경우에도 성립하는지 궁금해서 였는데,
선생님의 증명에서는
f(g(x))=0 이면 f(2x)=0 인것을 이용하셨네요.
물론 맞는 말이긴 하지만,
g’(x)=0이어도 f(2x)=0이 됩니다.
그렇다면 f(g(x))=0과 f(2x)=0은 필요충분조건이 될 수 없지 않나요?
g'(x)f(g(x))=2f(2x)이므로, f(g(x))=0이면 f(2x)=0이지만, f(2x)=0이면, f(g(x))=0일 수도 있고, g'(x)=0일 수도 있기에, 필자는 f(g(x))=0의 해와 f(2x)=0의 해가 일치한다는 걸 증명함. f(g(x))=0→f(2x)=0과 f(2x)=0→f(g(x))=0을 각각 증명해 f(g(x))=0⇔f(2x)=0을 도출한 게 아니라, f(g(x))=0→f(2x)=0와 추가적인 증명을 이용해 f(g(x))=0의 해와 f(2x)=0의 해를 구했고, 두 해가 일치했기에 f(g(x))=0⇔f(2x)=0이 도출된 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