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사설에 의존하면 뇌 오염되는 단적인 예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249335
A는 B라는 것에서 B`는 C함을 알 수 있다
이런 형식의 선지를 만들 때 평가원 문제는 A는 B라는 것(조건부)가 틀리게 출제하지 않지만
사설은 심심찮게 조건부를 틀리게 출제한 오답선지를 만든다
이런 출제 방식에 길들여지면 글의 주제를 중심으로 문장들을 연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지엽적인 정보를 기억하는 방식으로 글을 읽게 된다
-반박 절찬 참조 중-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작년에 수시로 대학갔어서 정시는 어케하는지 몰름
-
덕코드림다
-
내신 시험 칼춤 출 수 있는데 저만 그런가요? 학교별 스타일에 따라 다른건가
-
시판 문제집은 거의 본 적 없는데 지금 푸는 인강교재가 유독 많네요 생각보다 꽤...
-
돈 너무 많이 썻다 15
텅장 예정이다
-
멋있어
-
들어도 되는거 아님? 나같은 사람은 공부 안하는것보다 음악이라도 들으면서 문풀량...
-
PVC와 석유 5
요약해서 말하면 석유 정제 및 증류 과정에서 걸러져 나온 탄화수소 화합물을 이용해...
-
중앙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중앙대25][최애맛집 공유]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중앙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중앙대학생, 중앙대...
-
개념강좌랑 실전개념강좌만 들은뒤에 스스로 시중기출문제집사서 기출 1회독 하고 엔제...
-
다 제가 좋아하는 분들이에요
-
원서영역 1등급 달성
-
캬
-
냥붙!! 9
우와 한양대!
내가 평가원 비문학은 잘푸는데 사설을 못푸는 이유
잘품(3개틀림)
강민철모의고사는평가원스럽겟지?
아오강평시치
아
원래 선지가 ‘P이면 -> Q이다‘에서 전건은 안건드리는게 기본인데 그걸 안지키죠 사설은
그런거 파악하는 과정 자체가 학습에 도움이 된다 생각합니다.
또한 전건이 잘못될 수도 있다는걸 경험하고 간 학생과 경험하지 못한 학생이 그런 식의 문제가 수능에서 출제된다면 엄청난 차이가 존재할듯합니다.
그리고 당장 올해 수능 2025 고전소설 21번 문제에서도 조건절이 틀린게 출제되지 않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