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 이 정도면 난이도 어느정도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234738

김기현 파데 미적 3주하고 킥오프로 복습하는데 개념할 때는 개쉬워서 별거 없는 줄 알았는데 유형서 오니까 대가리 깨질 거 같네 평소에 머리 나쁘다고 생각한 적은 없었는데..
사람들말로 이정도 책이면 기초라는데 이 문제가 노베 개넘으로 풀리는 문제냐? 한 70프로 접근하고 그 뒤에는 못 풀겠다 요즘들어 깨닫는다 빡대가리라는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피해망상 오지네 33
댓글 달았더니 반가워서 "오 준x씨 오랜만" 이렇게 댓글로 장난 한번 쳤는데...
-
5일차 ㅇㅈ) 2
3,4일차의 행방은 물어보지 마십쇼...
-
신고 완료 4
동일 뱃지 신상인지 확인 부탁드렸음.
-
확통 한완수를 하다
-
씹덕 지듣노 9
-
낼아침 4시간 과외
-
야 9
야 그냥 불러봤어 ㅎㅇ
-
하 시발 ㅈ됐다 진짜로 어카냐 나 반수해야하나
-
이대 교대 외대 여기 세개는 수시 선호도 높고 정시 선호도는 낮은듯 먼가 신기함
-
안되겟지
-
나보다 점수높은사람 오셈
-
무한n수드가자 0
학교통 개심해서 못견디겠음
-
파동끄읕 1
이제 전반사!
-
오야스미 7
코낸코내
-
진짠데.
-
내신 생명 2
서술형이 50%던데 그냥 달달 외워야 하려나요..?
-
한종철쌤 철두철미로 개념 돌렸는데 유전때문에 홍준용쌤 커리 탈려고합니다.. 개념서...
-
취미가 꽃꽂이라 하면 어떨 것 같나요?
-
미적분 빼고 하등 쓸데 없음 화학 물리 선택자 일반물리 일반화학 정도
-
메인 점령이야~ 0
다 합쳐서 좋아요 450개!!!
-
셔츠가 배꼽주변이 갈색이 되서 배꼽에서 피랑 진물나는거 확인함... ㅅㅂ 이제 감기...
-
한양대생들인줄 ㄷㄷ 과잠이 똑같네
-
아파서 시험공부 못하는게 힘들다고 하니깐 돌아오는 말이 애낳는게 더 힘들다는거라니…
-
라온힐조 얘임?? 13
재르비한거임?
-
아직도 서울 ㅡㅡ
-
plz
-
손
-
리젠이 멈췄다 2
-
11시 22분.
-
근데 이제 좀 일감이 많아서 피곤해짐 =_=.... 그래도 좋아하는 일과 공부를 할...
-
반으로 갈라져서 시네
-
50점 맞으면 되는 거 아닌가?
-
주변에 몸매 상당한 친구 있으면 저런 애랑 자보고 싶다거나 만지고싶다거나 벗겨보고...
-
기술적취침 0
-
현우진쌤 카르텔 얘기한거때문에 못쓰겠다.. 리바이벌 제본할까 생각했는데 중고나라가서 찾아야겠다
-
사관 86점, 경찰 87점 사관은 뭔가 안어려운 느낌이였는데 4개나 나가고 경찰대는...
-
물리 고정에 화생지중 뭐할지 모르겠노 화학은 일단 ㅂㅅ과목이니까 거르고 생명 아니면...
-
학벌은 1
중경외시가 컷인거 같아
-
소주 7병 3
맥주 1.6L ㅎ
-
고3들 3모 보고 충격먹엇나봐
-
아..
-
대체뭐지
-
과외생을 위한 필기노트 10
교재에 개드립치는걸 좋아하는편
-
아쉽네 ㅠㅠ
-
있음? 진지함.
-
진로과목에서 다른 과목들은 다 A인데 체육만 전 학년 다 B거든요 이러면 고대...
26번 정도
26 27 사이
ㅇㅇ
어려운 3점
학평에서는 저것보다 쉬운 4점 봤어요
27 or 29
기출에 비슷한거있지않나?
29번같은데;; 또나만어렵지
29급이긴한데 내가 어렵게 푼건가
개념 이후 단계에서 갑자기 어렵데 느끼신 건
아마 이 문제의 핵심이 급수 개념이라기보다 이차방정식의 실근에 있어서 그런 것 같아요!
이차방정식의 실근이요? 혹시 어떻게 푸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용
주어진 곡선의 방정식은 이차식이므로 이 곡선과 직선의 교점을 구하는 방정식은 2차방정식입니다.
따라서
어느 한 교점의 좌표가 주어졌을 때(A_n)
나머지 하나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는 것(A_n+1)
은
이차방정식의 어느 한 실근이 주어졌을 때
나머지 하나의 실근을 구하는 것
과 같고,
이는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의 관계라는 개념을 끌고 왔을 때 가장 간결한 풀이를 낼 수 있게 해줍니다.
여기까지를 풀이의 전반부라고 합시다.
그러면 후반부는 선분의 길이를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는 것이겠죠.
저의 의견:
1.
전반부의 결론을 내리기만 하면
후반부는 특별한 사고과정이 필요없다.
(두 점의 좌표가 주어졌을 때 선분의 길이를 작성하는 과정일 뿐이므로)
따라서 전반부를 쉽다고 인식한다면 이 문제가 쉽게 느껴질 것이고, 어렵다고 인식하면 이 문제가 어렵게 느껴질 것이다.
위 답글에서 보였다시피 전반부를 쉽게 해주는 것은 이차방정식의 구조를 인식하고 이차방정식의 근계관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심지어 후반부의 계산을 짧게 해주는 데에도 근계관을 이용할 수 있다.
두 점은 모두 곡선 y=x^2 위의 점이므로
두 점의 x좌표의 합과 차만 얻는다면
선분의 길이를 구하는 과정이 편해질 것이다.
곧, 풀이의 전반부는 물론 후반부까지
이차방정식의 실근을 다루는 경험이 다분하다면 쉽게 접근하고 작성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