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물리학I 에서 치환과 조건활용의 중요성 (with 251120, 수학 아님. 물리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206035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역학, 특히 에너지 보존 파트에서 치환 활용의 편리성에 대해 논해보고자 합니다.
2025학년도 수능 물리 20번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다른 문제도 많지만 이 문제가 본질을 잘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유형은 문제가 일단 많이 깁니다만 키포인트만 찝어봅시다.
1. B의 운동에 주목하라. A는 그저 깍두기일 뿐이다.
2. 마찰구간에서 등속운동한다. 이게 존ㄴ...아니 완전 중요합니다.
3. 용수철 상수(탄성 계수)가 같다. - 부가조건입니다.
문제는 긴데 생각보다 별 것 없죠? 물리 안하시는 분들도 이해할 수 있게 차근차근 해봅시다.
첫 째) 각종 에너지들을 치환합시다. KEY 1.에서 보았듯이 B의 운동에 주목해야합니다. 그러므로 B의 질량을 m이라 놓고 mgh=P라고 치환합시다. (사실 h, d2만 치환해서 풀어도 됩니다). 또한 탄성퍼텐셜 에너지 0.5kd2 를 E라고 치환합시다.
(가)에서 (나) 상황으로 갈 때, A+B 가 총 탄성에너지를 4E, 즉 (2d)2만큼 갖고 있다가 A는 E만큼 갖고 있는 상황으로 바뀌니까 B의 역학적 에너지는 4P+3E가 됩니다. (위치에너지 + 운동에너지)
다음으로, 마찰구간에서 손실된 에너지를 어떻게 표현할까 봤더니 KEY2 에서 보았듯이 마찰구간에서 등속운동합니다. 따라서 속도변화량이 0이므로 운동에너지 변화량도 0입니다. 그러므로 역학적 에너지 변화량이 위치에너지 변화량하고 같죠. 이게 핵심입니다. (역E 변화=위치E 변화+운동E 변화, 운동E 변화=0) 따라서 마찰구간에서 손실된 에너지 W=mgH 입니다. 앞으로 W라 할게요.
B는 마찰구간을 내려가며 W만큼의 에너지 손실이 있습니다. 그리고 (나)의 밑에 용수철은 위랑 같은 것이므로 같은 단위인 E로 치환해도 됩니다. 따라서 4P+3E-W=9E (0.5k x 9d2)라는 식을 얻습니다. 이는 역학적 에너지 변화량을 이용해 풀이한 것입니다.
다음으로, 올라가면서도 손실량이 같기 때문에 9E-W=4P 를 얻습니다. 언덕을 올라가서 정지하기 때문에 역학적 에너지는 4mgh, 즉 4P만 남기 때문입니다.
위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W=0.8P 이므로 mgH=0.8mgh, 따라서 H=0.8h이므로 정답은 2번입니다.
역에보 유형의 핵심은 별로 없습니다.
1. 역E 변화=위치E 변화+운동E 변화+탄성E 변화
2. 마찰구간 등속운동 => 역E 변화=위치E 변화
3. 그냥 닥치고 치환해서 연립할 것.
조금 더 숙련되면 그냥 치환도 안하고 h, d2 만 가지고 풀 수도 있으니 연습하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이것만 지켜주셔도 웬만한 것들 다 먹고 들어갑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없나요? 단톡방도없고 이게뭐노??
-
자기 점수 공개좀.... 2배수 꼬리 털리면 설경제 2단계 입시판이 정말...
-
강기본 마지막지문이고 오늘 강기분 시작함 이 지문은 좀 쉬운편이라 6문제까지...
-
진짜 공부를이렇게했으면 난 대학 좋은곳 갔 음ㄹㅇ
-
메가있습니다
-
성균관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성대25][G하우스 1인실]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그냥 진학사 컷이 코미디였던걸까요? 전반적인 컷 하락으로 결론 나는 거 같기도…...
-
연고떨 설붙이 꽤많음 뭔가 서울대만의 뽑는 기준이 있나
-
개맛있었는디
-
내가 만들었으니 들어오세용
-
경뱃이나 성뱃이 눈에 더 잘띄고 이쁜듯 냥 서강은 너무 침침해요…
-
떡볶이 1
말그대로 떡볶음
-
현역이라 그런가 2
투과목 하시는 분들 ㄹㅇ 존경스러움 이젠 현역이 아니지만,,
-
오랜만에 8
다즈비 커버 나오네 미리 예습을 흐흐흐
-
고대 조발 가능성 있나 16
-
요번에는 4
범위 좀 넓혀볼까..
-
그래도 뇌절할래요 。>‿<。

진짜 대단하십니다가므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