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165578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평가원은 학생이 새로 미지수 잡는거를 3개 이상 못하게 함 이게 수능 출제 매뉴얼에...
-
따라와 일루와잇
-
그 말을 기다려주는게 참 어렵구나
-
휴릅이 하고싶네 11
덕코 줄까
-
우우..
-
무언가 잘못됨
-
감정이입됨 슬픔
-
근데 웹툰에다가 순애 어필 엄청하다가 마지막에 ntr하면 캬... 7
독자도 ntr하는 ntr장인 작가 그는 도대체.. 딱 그냥 태그에 #그녀석...
-
친구가 없다 9
아는 사람은 늘어나지만 친구는 줄어드는 느낌
-
369수능 몰아서 해도 되나요 아님 시험 끝나고 기간제한이 있나여
-
사실 잘하는 사람들은 다 자연스러울 듯요유동적으로 다항식을 세팅하자예제)f는...
-
옯붕이들 잘자츄 11
내 꿈 꼬츄 굿나잇츄
-
ㅈㄱㄴ
-
아 거울봤는데 12
ㅈ빻았다 의대가야겠노 갈수있나
-
따흐흑
-
공부 못하던 시절에 스카이 이상 다니는 사람은 진짜 다른세상 사람인 줄 알았는대...
-
수학 N제 3
높3정도가 풀기 좋은 N제 추천해주세요 지인선 N제 풀만한가요
시계가 어디있냐가 고유시간이에요
네
근데 만약에 만약에 특수상대성이론을 무시한다면 지구와 목성 사이 거리가 안 짧아지는데 그럼 그럴 때보다 특수상대성이론을 반영했을 때 거리가 짧아지니까 무시할 때보다 시간이 덜 걸리나요?
그쵸
오 감사합니다
특수상대론에서 고유시간이나 팽창시간은 두 사건 사이의 시간차로 계산해요
두 사건이 같은 장소에서 발생했을 때 두 사건 사이의 시간차를 고유시간이라고 정의하기 때문에 두 사건 사이에서 고유시간은 단 하나로 존재하고 팽창시간은 수없이 많이 정의돼요
그리고 관찰자가 두 사건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로 보면 편해요
예를 들어 S’가 볼 때 우주선이 출발하는 사건과 도착하는 사건 모두 같은 장소이기 때문에 그냥 S’가 관측하는 시간 변화량이 바로 고유시간으로 정의돼요
반대로 지구에서 두 사건을 보면 두 사건의 장소가 다르기 때문에 고유시간이 되지 못하고 팽창시간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