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원의 침, 혈자리는 나름 직관적이에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153467
한의원, 한의학이 생각보다 마법같은 존재가 아니에요
혈자리가 무협지처럼 뭔가 독특한.. 마법같은 느낌이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겠죠
빈용 혈자리들을 해부학, 기능학적으로 분석해보니
자율신경반응을 잘 유발하는 지점, 신경포착이 잘 생기는 지점이었다~~라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침의 과학적 접근과 이해>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2603619
다만 이러한 지점을 매번 이런식(ex, 근위 경비관절 근처 움푹들어간 지점)으로 부르기 어렵잖아요?
--> 양릉천
이런식으로 함축해서 정의하는게 요즘 혈자리의 과학적 해석 중 하나이죠
양릉천은 무릎관절통증에도 자주쓰이는 혈자리에요. 관절보다 아래쪽에 있는 곳인데 왜 자주쓰였을까?하고 해부학적으로 분석해보니
무릎 관절 일부의 감각의 신경을 지배하는 peroneal nerve의 recurrent branch가 지나가던 지점이었던거죠
<양릉천 위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20160216_150%2Fmpslayer_1455592436092bFsBh_PNG%2FGB34_1.png&type=sc960_832
<peroneal nerve의 recurrent branch의 위치>
https://images.app.goo.gl/HG4c4AF6q8YwWDdL7
귀에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전통한의학과 해부학을 아우르는 재밌는 해석 아닌가요?
비염환자들에게 슈도에페드린, 항히스타민제 조합군들을 처방하는것 마냥
소청룡탕이라는 한약에는 마황(에페드린), 반하(항히스타민유사), 오미자(기관지면역) 등등... 효능이 있는 약재들이 조합된거죠
지망생 분들은 제가 이전에 썼던 글들 + 댓글도 한번 읽어보시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 병신은 뭐노 4
촌놈들 봉기운동 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생각하는 꼬라지 부모 머리끄댕이끌고 와서 연소득...
-
다른 분들 의견도 궁금해서 써봅니다 교육부는 본과 3·4학년생을 중심으로 수업...
-
이름에 딱 걸맞게 살고 싶은데
-
Play on you and me set on the legacy! 2
もう一回もう一回 はじめから始められたら もう一回もう一回 あの時セーブしたままの僕らは
-
주어진 영어 지문을 읽고 난 후 해석 안되는 부분만 파악하고 세부해석본만 보면서...
-
진짜냐구우우웃;;
-
6평 목표는 2
국수영1등급 탐구는 버린다
-
이차곡선 2
말썽쟁이..
-
요즘 글들이나 댓글 보니까 빡치진 않고 걍 웃기거나 귀여운게 많음
-
별내면 기존 별내면에서 별내신도시(구 광전리 일부, 덕송리, 화접리) 부분을 제외한...
-
그냥 농어촌에 대한 건설적인 토론 하면 좋을거 같은데 3
그냥 n수생이라 배배 꼬여서 이해당사자 아니라고 감정배설하며 저주 퍼붙는거 같은...
-
앞으로는 새르비에만 출몰할 예정
-
수업듣기싫어요 2
졸려요
-
오늘 학교에 6모 접수하러 오기 전에 함
-
아오
-
기균 차상위 1
일반 한부모는 대학 미취학시 성인되고 끊겨서 쌩재수시 기균 사용못하는거로 아는데...
-
6평
-
220628 3
개인적으로 저 침의 과학적 접근의 이해라는 책 너무 재밌게 읽었습니다
비전공자도 읽는데 아마 엄청 크게 어렵진 않을거에요
학부생 때 저 책이 나왔다면 공부에 도움이 많이 됐을텐데 제가 졸업하고 나니 좋은 컨텐츠들이 많이 쏟아지네요
fibular nerve = peroneal nerve 입니다 참
배수혈도 그런거 같아요 배우면 해부학적으로 당연한건데 배우기 전에는 조금 무당..같은..ㅎ
경혈학은 뭔가 하나의 거대한 케이스 리포트를 보는 느낌이에요
그쵸 관절 주변의 대부분 혈자리는 특히
당시엔 현대 해부학적 용어로 표현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그당시 유행하던 의학체계에서 새로운 정의를 했던거죠 ㅎㅎ
이런 책으로 경혈공부하신다면 부럽네요 ㅠㅠ 전 학생때 맨날 째고 졸업하고 뒤늦은 공부했는데
한의학도 거부감만 없으면 재밌긴해
해부학 실습 의대처럼 자세히 하나요? 필수인지도 궁금합니다
학교마다 카데바 수에서 차이 있을순 있겠지만
1년 내내 하고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