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어의 음운 현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038776
C:모종의 자음(여기선 평음/예사소리에 한정)
V:모종의 모음
*: 문증되지 않는, 가정상의 언어
1. 몇몇 이중모음은 본래 없었던 것으로 추정됨
ㅏCㅣ>ㅐ(ay)
ㅗCㅣ>ㅚ(oy)
나리>내(川)
*고니>괴(猫)
*모리>뫼(山)
등등 (중세 국어 시절 ㅐ, ㅚ, ㅔ 등은 이중모음이었음 )
2. 격음(Ch)은 본래 없었던 것으로 추정됨
ㄱVC > Ch
CVㄱ > Ch
*흐그다 > 크다
*브드겨 > 부텨
그러나 이러한 음운 현상은 고대뿐 아니라, 중세, 근대국어에서도 발견됨(ex. 식브다>싶다)
3. 여러 ㄹ이 ㄷ으로 소급됨
*바ᄃᆞᆯ>바ᄅᆞᆯ
*누드다>누르다
*마디/머디>마리/머리
*노독>*노록>노로
4. 여러 ㅎ이 ㄱ으로 소급됨
등등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강강사 커리를 따라가다보면 굳이 실전개념말고도 기출 해설해줄때 그 문제에서...
-
산와머니 될까봐 말을 아끼겠
-
길이 수축할 때 지구하고 목성 사이 거리는 왜 축소되는지는 알겠는데, 왜 우주선...
-
수학 도와주세요 1
수학 회독하려는데 책에 풀까요? 연습장에 풀까요?
-
눈은 ㅈㄴ높은데 면상은…
-
공대는 어디까지 가능해여?? 서성한도 붙나욮??
-
자야지 슬슬
-
어쩌면 같은과였던사람이 오르비언일수도 있음 내가해봄
-
올해 교대 어케보심 10
부산교대 서울교대는 경쟁률이 1:2.3이네..
-
재외국민이나 농어촌같은 전형은 은연중에 차별하는 분위기가 있다고 들어서요 요즘 그런...
어누드다

언어학은 정말 신비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