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제 풀 때 원래 이런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033034
수학을 예로 들면 정답으로 나오는 값이 딱 정해져 있어서 '아 이 문제 답은 ~~~겠네~' 하는 그런 안정적인 느낌이 있는데
국어(특히 문학)문제를 풀 때는 그렇게 확신이 서지 않고 결국에는 선지를 하나씩 소거해서 풀거나 남은 두 선지 중에서 더 그럴듯한 걸로 찍어서 맞추게 돼요... 이게 원래 국어라는 과목의 특성인지, 제 기량 부족인지 혹은 둘 다인지 잘 모르겠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올해는 많이 돌아줘...
-
Sm여신상 ㅋㅋㅋ
-
생윤사문 하고있어요 개념기출 단계에서 하루 적정 공부시간이 대략 어느정도일까요?...
-
나도가능하지않을까라는 이상한 자신감이 생겨
-
이번에 한강의흐름 알파 컨설팅을 받은 학생입니다. 앞서, 다른 업체 후기글에서...
-
평가원 모고 사설 모고 암튼 종류가 엄청 많자너 잇올에서 그 모고 치고싶으면 잇올...
-
외대 자전 0
점공 119/180등에 계산기 돌려보니까 예비 140쯤 나오는데 추합...
-
왜냐하면 아니니까
-
한완수 하 3
이번 수능 2등급 나왔는데 굳이 한완수 상중도 해야할까요? 일단 대학가고서 반수할...
-
진학사 표본 수보다 최종 경쟁률 나온 후 실제 지원자 수가 더 적으면 무조건 합격...
-
안정 = 최초합 적정 = 추합 소신 = 불합이나 진학사 4칸 대략 이런 거 맞나요?
-
보통 마지막날 등수는 거의 그대로간다고 보나요? 대부분 넣은 그대로 다들 쓰나요?
보통그렇게푸는경우는없긴함
강기분 들으면 됨
진짜임
강기분듣고
어 이거 문제에 나오겠다
하는 경우가 꽤 생김
뭐 선지 반정도는 여전히 소거하긴 하지만
오 인강 추천 감사합니다
강민철덕에 문학만점
(언매랑 독서는 다른사람 커리타서,,,,,읍읍)
전 그런거 정석민듣고 해결했음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