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제 풀 때 원래 이런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033034
수학을 예로 들면 정답으로 나오는 값이 딱 정해져 있어서 '아 이 문제 답은 ~~~겠네~' 하는 그런 안정적인 느낌이 있는데
국어(특히 문학)문제를 풀 때는 그렇게 확신이 서지 않고 결국에는 선지를 하나씩 소거해서 풀거나 남은 두 선지 중에서 더 그럴듯한 걸로 찍어서 맞추게 돼요... 이게 원래 국어라는 과목의 특성인지, 제 기량 부족인지 혹은 둘 다인지 잘 모르겠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음음
-
잔다. 1
자라. 캬캬.
-
아
-
쓸데가 없네 내가 옛날엔 0.7 샤프를 썼었구나
-
진학사 기준 2등인데 서울이어도 직영 신청하면 될수 있을라나..
-
파이널 실모 풀다가 이상해서 문의했는데 논리로 압살~~~ '25수능언매백분위99'
-
발뻗잠 됨?.. 4
낙지 실제지원이랑 지원자수 1명 차이나고 9명 뽑는데 실제지원 5등임 걍 붙었다라고...
-
6 9평 다 50받고 수능 때 46점 맞아서 2등급 떳습니다ㅅㅂ 제...
-
과외 궁금한게 3
고1때부터 수능까지 계속 1등급 받은 사람이랑 고1땐 5등급이였다가 꾸준히 올려서...
-
정신나갈거같아정신나갈거같아정신나갈거같아
-
따흑
-
무조건 떨어지겠져 이건
보통그렇게푸는경우는없긴함
강기분 들으면 됨
진짜임
강기분듣고
어 이거 문제에 나오겠다
하는 경우가 꽤 생김
뭐 선지 반정도는 여전히 소거하긴 하지만
오 인강 추천 감사합니다
강민철덕에 문학만점
(언매랑 독서는 다른사람 커리타서,,,,,읍읍)
전 그런거 정석민듣고 해결했음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