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영어 1등급 보내주는 기출공부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025534
직접 공부해보고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만든
시간표 입니다. 기출에 나와있는 단어와
구문들만 정확히 알고 있어도 수능시험을
준비하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습니다. 대신
여기에는 "기출에 나와있는 문장을 정확히
읽고 해석이 가능해야한다"는 전제조건이
존재합니다. 8개월에 가까운 시간을 '문장
해석력 향상'을 위해 투자합니다. 동시에
공부대상을 '3개년 평가원 기출'(올해 6모
포함 총 10개)로 최소화하여 최고의 효율을
뽑아 낼 수 있게 만들어 보았습니다.
1. 기출의 모든 내용을 공부하는가?
기출 내 20~24번, 29~42번
총 18문제만 공부합니다.
이 18문제를 통해서 영어의 문장순서와 구조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고 계신다면 듣기, 장문,
도표 문제들은 굳이 따로 공부를 하지 않아도
푸는데 큰 지장이 없게 됩니다. 그래도 불안
하시다면 6회독을 하고도 남는 73일에 추가적인
준비가 가능합니다.
2. 정답풀이는 왜 안하는가?
정답풀이 관련 논리구조는 고등학교 수업에서
이미 많이 학습이 되어있으며 그 논리구조도
국어 수학에 비하면 단순한 편입니다. 영어
문장의 정확한 해석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수험
기간동안 정리해놓는것이 답을 내는것보다
더 중요하는것이 제 생각입니다.
3. 이정도만 공부해서 고득점이 가능한가?
1회독에는 1주일 총 18문제만을 공부합니다.
어떻게 보면 적어보이지만 처음에 정리하는
시간이 좀 많이 소요됩니다. 그리고 2회독에서
다시 해석을 해보면 의외로 많은 부분들이
생각이 나지 않는다는 점을 깨닫고 놀라게
됩니다. 이런 것들을 반복학습을 통하여 체화시켜
다른 문장(수능포함)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게
만드는 공부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부량이
절대적인 요소를 차지하지 않습니다. 수능 문제
풀이방법은 다양하게 존재 할 수 있지만 지문
해석은 오직 하나만 존재합니다. 우리는 그
지문해석을 정확하게 해내기위한 연습을
8개월간 진행하는 겁니다.
4. 단어량이 부족한 거 아닌가?
수능영어에서 어려운 전문용어가 문제의 키를
쥐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단어들이 우리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경우가 더 큽니다. (Artificial
Intelligence = AI, individual-person,
And-But-Yet-However, -ize vs -fy...) 단어를 얕게
많이 아는 것보다 좁지만 깊게 이해하고 있는게
수능시험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능력이며
그것은 기출에 나와있는 단어만 공부해도 해결이
가능합니다. 단어장 사지마세요. 기출로 만들어
가면 됩니다.
5. 73일은 무엇을 해야하는가?
231일간의 3개년 기출 6회독을 통해 얻어진
능력으로 26학년도 평가원 모의고사, 사설
모의고사, 기타 평가원 기출들에 적용시켜보며
범용성을 확장시키고 동시에 수능에 대한 전략을
세우는 과정으로 활용가능 합니다. ("듣기시간에
몇 문제를 더 풀 것인가", "문제 풀이 순서"...)
저는 인강이나 과외없이 독학으로 위 학습법을 활용
하면서 공부한 결과 이제는 문제를 틀려도 스스로
틀린 원인을 찾아내 다음 시험에 활용 가능한
100% 자가학습이 가능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수능에서 영어의 중요도가 이전보다 많이 떨어졌다고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공부를 하지않으면 큰 하락폭을
보여줄 수있는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부담을
최소화 하면서도 저와 같은 경험을 할 수있는
계획표를 짜보게 되었습니다. 질문 환영합니다.
올해 꼭 원하는 성적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미용실가서 생애처음 펌도 해봤고 무신사에서 옷도 사봤고 다이어트도 많이 해봤고 그냥...
-
행복하지마요 2
행복하려면 사랑한 날 잊어야 하잖아 가시가 박힌듯 숨쉴때마다 눈물이 흘러와 사는게 사는것이 아니죠
-
친구 만들까
-
눈물이 2
주르르
-
사1 과1 하시는 분들이 많이 보이시는데 사1 과1의 장점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잠은 짜피 못 잔다리
-
ㄹㅇ 성형 어쩌고 하는것도 막 엄청 잘생겨지고 싶어서 그런게 아니라 최대한...
-
뛸 준비하기
-
오마이갓 5
불끄고 폰하니까 눈에 피로감이 으읔
-
나답군
-
행복한 상상 하자
-
잘거야 4
7시에 기상해야해 짜증도 자고일어나면 풀리겠지?...
-
달리살기. 1
누울 때 일어나고 일어날 때 걷고 걸을 때 뛰고 뛸 때 날기
-
센츄 다신분들 0
저도 이번 3덮 국수 표점으로 신청하고 싶은데 계열기준에선 1% 넘어기고...
-
3옥레 성공. 5
하나레 바나레에테모 토키메에쿠모노오
-
ㅈㄱㄴ
-
내 스크랩은 6
90%는 컨텐츠 리뷰 글나머지는 탐구 칼럼
-
사실 새디스트임 2
ㄷㄷ
-
내 성적 취향. 7
...
-
저는 성적 취향 모름요 24
생각해본적 없어요 아물론 저번학기 성적 주면 절하고 받슴니다
-
24수능 언미영생지 백분위로 98 99 1 98 95였음 24 수능 이후로 국어랑...
-
스카 다니면서 독재했는데 공부 시간은 어느 정도 나오면서도 너무 생활패턴이...
-
우는거랑 치마 조아함
-
뭐가더낳냐
-
욕심 ㄴㄴ
-
맘에 안 드는 부분이 하나 잇음
-
머리가 안 되겟다
-
아무도 없는데에
-
조까튼 월요일 5
축구도 비겨서 짜증나
-
아 아니다, 지금이 낫다
-
ㄹㅇ 부럽네, 고2인데 이상한거 관심 안 들이고, 수능에 관심 잇어서 온거자늠 난...
-
좀 니글거리네 2
빵이 남았어... 야식의 부작용인가
-
히 이이 히 이이 이이 히 이이
-
그건 있다 학문적 적성을 판별하는데는 꽤 유용함 개념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적응이 잘...
-
쇼타 투척 0
음 역시 귀엽군요
-
어차피 내일 학교 안가는데
-
뭔잠이여 ㅋㅋ 10
내가 와따 잠 안옴 낼그냥 커피마시고 저녁까지 버틴다
-
여러분 잘 자요 4
난 안 잡니다 당연히
-
어지러워요
-
담에봐 내일올려나 오겠지 내일봐
-
올해 설수만 가면 자살은 안할듯
-
새벽팟 어디갓는데 당황스럽네 공부하다 왓더니 아무도 없음 설마사카
-
맛있게 와구와구 먹는중
-
현실에서도 어떻게 보일지 모르겟습니다
-
경기력 병신어휴 0
이딴경기력으로 무슨 챔스를 나가겠다고 이 시발아
-
이기지 않은것. 그런거에요
-
이거 진짜라는 거임
-
5달동안 똑같앗는데
-
방구석 여포임 단점은 현실노잼이라는거임...
선생님 감사합니다 요긴하게 잘써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