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929445
이차함수 넓이공식(a×(β-α)³/6) 식을
그림과 같은 넓이를 구하는데 사용할 수 있나요? 넓이공식 사용가능한 경우가 좀 헷갈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네 방금 금지어라고 떴던 그 선생님 일은 2015년에 있던 일입니다 10
그러니까 10년 된 거죠
-
기존 문디컬 탑 포지션 이화의 동아의 연치 냥의등이 잇긴하지만 제외하고..
-
도키도키
-
내일 뭐하지 1
약속도 없고 운동이나 하러 가야지
-
어그로가 1도 끌리지 않아요 2월쯤 가서 올려야되나
-
대성 확통 추천 1
대성에서 확통 하려는데 어떤 선생님이 좋을까요?
-
표본 분석할 때 수시 붙었다 생각하고 빼고 세는거 ㄱㅊ?
-
3마넌이였나 그정도 가치는 충분히 하는거같은데 음
-
자 드가자
-
나머지도 싹 내려버려라 다 조금씩 대학 올려서 가자
-
대충 성적우수자 띡 적어놓는게 열받네 지금1등인데 들어갈 때 뭐 안 주나 흠
-
에휴 옯평ㅋㅋ 1
아오
-
한국어 보리와 영어 barley가 관련이 있는 거 아시나요 2
사실 뻥이고 이런 걸 가짜동족어(false cognate)라고 함
저거는 분모가 6 대신 3임
제가 아직 시발점만 수강해서 잘 모르는데, 실전개념인가요?
밑에 자세히 설명해주셨네요
실전개념이라 할 수 있을듯요
이차함수와 한 직선이 만나서 생기는 도형의 넓이
를 구할때 사용할수있어요.
삼각형에서 이차함수 넓이 빼면되요
여기서 S1 넓이는 이차함수 넓이 공식으로 구할 수 있으니
직각삼각형에서 S1 넓이를 빼면 S2 넓이가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