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감래 [603233] · MS 2015 · 쪽지

2015-12-10 18:45:27
조회수 742

[국어-이영준T] 수능 국어에서 시간과의 싸움 전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92617

오늘 '독서, 화법, 작문 길잡이' 강좌를 오픈했습니다.

설레고 떨리기도 합니다.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는 진실된 수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각 갈래별 특징과 그에 따른 시간을 줄이는 법입니다.

[공통]

1. 정답인 줄 확실하게 알면 넘어가라.(오답인 이유까지 알 필요는 없습니다. 정확히 풀었다면 자신의 답에 자신감을 지니세요^^)

2. 지문 내용을 이해하고, 정확히 기억해서 풀어라.(이것보다 확실하게 시간을 줄이는 법은 없어요)

 

화법

(1) 특징 : 시험 문제 처음에 나오며, 내용은 쉽지만 정보량이 많은 것이 특징 그래서 심리적 부담감을 느낌.

 

(2) 대책 : 정보량이 많지만 내용은 쉽다. 그러기에 읽는 중에 풀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간다.(독서는 중간에 끊어서 문제 풀면 안 된다. 왜냐하면 지문이 어렵기 때문에 나중에 무슨 내용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올해 1번 문제는 [A], [B], [C], [D], [E] 이렇게 나았는데, 읽어 가면서 번을 보고, 또 읽어가면서 을 보고, 이런 식으로 읽는 중에 해결해 나가면 된다. 그리고 다른 문제는 다 읽은 것을 바탕으로 풀어 나가면 된다.

 

(3) 주의할 점 : 화법은 시험 처음에 나오기 때문에 너무 의욕적으로 접근해서 빨리 풀려고 하면 오히려 시험을 망칠 수 있다. 정보의 양이 많기 때문에 빨리 읽으려고 하면 정확하게 풀기 어렵다. 오히려 여유롭게 생각하면서 문제를 풀어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지문의 내용이 많이 어렵지 않기 때문에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다.

 

2. 작문

(1) 특징 : 자료를 분류하고 적용하는 논리성, 고쳐 쓰기 부분에서 문법 문제, 표현법 문제 등으로 출제 된다.

 

(2) 화법보다는 까다로울 수 있지만, 독해 부담이 적기 때문에 화법보다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작문은 문제 유형별 문제 풀이 방법을 공부해서 시간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자료 해석 및 분류 문제는 지문을 볼 필요 없이 문제와 자료를 바로 비교하면 되어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주의할 점 : 자료의 통일성, 일관성 등을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논리적 문제 풀이 능력이 필요하다. 참고) 자료 해석의 경우, 문제 자체가 복잡하기 때문에 정답이 뒤에 있을 확률이 높다.(확률이 높은 것이지 100%는 아님) 뒤 선지부터 풀면서 정답이 나오면 바로 넘어가야 한다.

 

3. 문법

(1) 특징 : 현재 B형처럼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기에 기본 개념을 바로 물어보는 문제보다는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해석하는 문제가 출제될 것이다.

 

(2) 독해로만 보면 독해의 양이 적기 때문에 기본 개념이 튼튼하게 자리잡혀 있으면 문제 풀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주의할 점 : 기본 개념이 빈약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4. 독서(비문학)

(1) 특징 : 지문이 길고, 내용이 난해하여 수험생들이 주로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다.

 

(2) 자신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1등급을 노리는 학생이라면 독서 4지문이라면 적어도 1지문 정도는 지문 이해와 기억을 바탕으로 한번에 문제를 풀어야 한다. 그래야 고난도 지문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 만약 3등급 이하의 학생이라면 현실적으로 1지문 정도는 버리고 가야 한다. 만약 시간이 남는다면 그 다음에 공략해야 한다.

 

(3) 주의할 점 : 모든 지문을 같은 시간에 풀 거라는 생각은 하지 말아야 한다. 지문과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시간은 달리 소요된다. , 어려운 지문과 문제에는 쉬운 지문과 문제에 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당황하지 마라.

 

5. 문학

(1) 현대시, 고전시가, 현대소설, 고전소설, (수필, 극갈래) 등이 출제되며, EBS 연계를 피부로 느낄 수 있다.

 

(2) 현대시에서 시간을 최대한 절약해야 한다. 현대시는 내용 자체가 많지 않아서 독해의 부담이 적어서 문제 풀이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현대시 해석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은 현대시 해석 공부를 화자의 상황과 정서 파악 중심으로 공부하면 쉽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3) 고전시가는 <보기>를 통해 내용을 파악하여 상황을 판단하고, 또한, 평소에 상춘곡’, ‘면앙정가’, ‘관동별곡등 필수 가사와 EBS 수록 고전 시가 작품을 공부한 친구들이라면 낯선 작품이 나오더라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4) 현대소설, 고전소설은 다른 갈래에 비해 독해의 부담이 많이 있는 갈래이다. EBS 연계가 되더라도 EBS 교재에 실려 있지 않는 장면이 출제될 가능이 높다. 하지만, 산문 문학은 이해가 되면 기억이 나는 속성이 있다.(우리가 드라마를 보면서 내용을 이해하면 기억이 나듯이) 등장 인물 중심으로 갈등을 파악하면 이해하면 기억을 통해서 쉽게 문제를 풀 수 있다.

 

(5) 수필은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으나, 극 갈래는 해석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평소에 극 갈래 해석 공부를 해야 한다. 인물의 대화는 소설에서 보여주기라고 여기며 읽고, 지문 내용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읽어야 한다.

 

 

산술적으로만 보았을 때, 화작문(25) + 독서(25) + 문학(25) +여유시간(3) + 답안지 작성(2) 이렇게 나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화작문에서 2~3분 정도, 독서 1~2지문에서 1~2분 정도, 현대시에서 1분 정도, 여유시간 3분까지 합치면 최대 9분정도 여유 시간이 생기면 그 때 어려운 지문과 문제에 집중 투입을 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