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수시이월 vs 정시이월 어떤 단어가 옳은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881587
25수능 언매 99로서
고1때부터 다져진 언매 짬밥으로 딱 설명드림
아주 짧고 흥?미로우니 잠깐만 시간을 내어 읽어보쇼
먼저, 둘 다 쓰이는 용어가 맞음
다만 두 단어는 크게 두 가지 지점에서 차이를 보임
1) 파생 접사 ‘-되다’의 결합 가능 여부
2) 명사 ‘분‘, ’인원’의 의미론적 결합 가능 여부
먼저 1)부터 보면,
수시이월이라는 단어는 수시(에서)이월,
즉 부사격 조사가 생략된 통사적 합성어라고 볼 수 있음
하지만 ‘*수시이월되다’라는 말은 의미상으로 부적절함
왜냐, 이월되는 것은 정시로 이월되는 것이기 때문에
부사격 조사가 생략된 다른 통사적 합성어인 정시(로)이월이라는 단어를 쓰는 것이 옳음
실제 용례를 보아도 ‘*수시이월되다‘라는 표현은 쓰이지 않고,
’정시이월되다‘라는 표현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임을 알 수 있음
그러면 ‘수시이월’이라는 단어는 언제 쓰나요?
바로 2)의 방식으로 씀
’수시(에서)이월‘이라는 단어의 본래 뜻을 살려
‘수시이월분‘ ’수시이월인원‘이라는 표현을 고안하여 사용할 수 있음
이 경우 ‘*정시이월분’ ’*정시이월인원’이라는 말은 오히려 부적절함
결론을 내자면,
‘수시이월분이 정시이월되었다‘
라고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끝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은 잘 모르겠고 주변사람들 일반계정이랑도 맞팔하시나요? 인스타 계정이 없어서 잘 몰라요..
-
시대인제 문항공모 11월 초에 제출했는데 현우진 수학연구소처럼 언제까지 답장준다...
-
훈련병 총원 세병1관 단상 앞으로 집합 15분전 집합시 복장지시 전투복 상하의...
-
뭔일잇엇나
-
가군 고민)연세대 공대vs 경제vs 고대 자율 전공 6
어디 가는게 나을까요? 올해 사탐런 했고 공대는 타대학 1학기정도 다녔습니다. 딱히...
-
추합이면 그래도 ㅇㅈ 하겠는데 불합이 뜬다는건 아직도 표본이 안 찼다는 소리인가요?
-
성대 인과계로 현역 정시러 중 상위 1%타이틀 쟁취한다
-
555 추합권 3개 쓰는거는 많이 위험한가요 추합초 추합중 추합 끝자락 3개.....
-
지금 생각중인건 화작미적사문지구 할려고합니다. 근데 거의 다 4등급이나오는 노베라서...
-
신파 같은 거 없이 담백하게 역사 영화 만든 거 같은데 재밌지도 않고 재미없지도 않다는 후기를 들음
-
민주당의 소름끼치는 행동에 역겹습니다
-
성대 2
자과계 현시점 추합라인이면 가망없나요
-
예를들어 중경외시 낮과 4칸같은 경우 동라인에 쫄튀할 과가 없으면 건동홍으로 안내리고 쓰고 죽나요?
-
이원준영접함 0
우리교실와서 영상찍음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6칸 최초합이면 0
진짜 엥간하면 붙겠죠..? ㅜㅜ
-
지방한 어디가 좋아여 17
세명 대구한 원광 우석 나군에 이중 하나 쓸까 하는데.. 정보도 많이 없고 4...
-
지구 해야징 0
오지훈 vs 박선 누구듣지 흠
화작충은 조용히 뒤로나가기를..

언매가 이렇게 재밌는 놈이랍니다팩트)아무렇게나 써도 이월만 들어가면 잘 알아듣는다
ㄹㅇㅋㅋ

중심적 의미를 가지는 어근이 중요함을 알 수 있죠.님ㄹㅇ고능안가

정시삼월은 없나요?남침 북침 개념인가

오 그거랑도 연관지을 수 있겠네요이러니 언매가 재밌지
그것도 남(을) 침략하는 거니까 남침이 맞는데
이것도 정시(로) 이월되는 거니까 정시이월
오 그렇네요 논리 정당화 근거로 쓸 수 있을듯?
결국 조어법이란 통사론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기 때문에
글 잘 읽었어요 흥미로운 주제네요!!
다만 한가지 의문점이 있는데
하지만 ‘*수시이월되다’라는 말은 의미상으로 부적절함
왜냐, 이월되는 것은 정시로 이월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뒷문장이 앞문장의 근거가 될 수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정시이월되다’라는 말은 의미상으로 부적절함
왜냐, 이월되는 것은 수시에서 이월되는 것이기 때문에'
반대 상황도 마찬가지로 성립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수시에서 정시로 이월되다' 이 문장에서
'수시에서', '정시로' 두 필수적 부사어가 대등한 경쟁 관계에 놓인 상태이기 때문이 이렇게는 우열을 가릴 수 없는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