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난 어원 이야기: "언니=형님"의 가능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866534
'언니'라는 단어는 사실 19세기 말에야 문증되기 시작하는, 친족 어휘 중에서는 비교적 따끈따끈한 어휘이다. 이 갑자기 튀어나온 어휘의 어원을 다루는 기존 설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고유어 형태소의 결합설. 母을 뜻하는 어근 '*엇('어ᅀᅵ'에 보이는 그 어근)에 모종의 접미사 '-니'가 결합해 '언니'가 되었다는 주장. 그렇지만 만약 그랬다면 어째서 중세국어나 근대국어 문헌에서는 보이지 않는지 설명하기 어렵다. 어근 '*엇(母)'은 근대국어에는 쓰이지 않았으므로 만약 '언니'가 파생되었다면 고대 아무리 늦어도 중세국어에선 '언니'의 선대형이 형성되었어야 한다.
- 일본어 ‘ani(あに)’ 유래설. 형태가 유사한 다른 고유어가 없다는 점에서 다른 언어에서 차용됐다는 주장. 그렇지만 19세기에 차용되었다기에는 하필 기초어휘 중의 기초어휘인 친족어휘가 차용됐다는 점이 문제이다. 신문물의 명칭도 아니고 '동성의 손위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이 차용되기는 어렵다.
그래서 다카요시(2020)에서는 '언니'는 사실 한국어 내적 변화에 의해 형성됐다고 보고 그 변화를 육아어에서 찾았다. 육아어란 성인이 유아를 대상으로 말을 할 때 유아가 발음하기 쉽도록 변형된 단어를 얘기한다.
우선 '어니'가 먼저 등장하긴 하지만 '언니'보다 고작 30년 일찍 문증되기 때문에 문헌만으로 무엇이 선대형이라고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그렇지만 지리적으로 ‘어니’의 사용 지역이 서울에서 떨어진 해안 지역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어니'가 고형일 가능성이 있다. 또 유아어에선 단비음보다 장비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엄마', '맘마', '맴매' 등이 그러하다. 이미 육아어가 된 후의 변화라고 본다면 '언니>어니'보다 '어니>언니'가 자연스럽다. 그렇지만 '형님'에서 바로 '언니'가 나왔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언니'의 기원을
- 형님>어니>언니
- 형님>언니
이렇게 두 가지로 본다. 다카요시는 육아어 연구 내용을 인용하면서 '형님>언니/어니'라는 과정은 한국어 음운사에서는 드물지만 육아어의 특징에는 부합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 /hj/ 탈락: 충청 방언에서 ‘형아’가 ‘엉아’로 변한 사례가 존재한다. 유아가 /h/나 /j/ 같은 음소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형님'의 제1 음절의 초성이 탈락하였을 개연성은 충분하다.
- /ŋ/ 탈락 및 ‘ŋ > n’ 변화: ‘형님’의 중간 자음 /ŋ/이 사라지거나 /n/으로 대체된 것은 유아 언어에서 조음 위치 동화와 자음 탈락 경향과 일치한다. 자음 연쇄 /ŋn/에 포함되어 있는 두 자음은 서로 조음 위치가 다른데 18개월 이후 유아 언어에서는 조음 위치가 다른 자음 연쇄에서 한 자음을 탈락시킨다고 한다. 그렇다면 '형님>엉님>어님'이라는 변화를 상정할 수 있다. 또, 유아어에서는 /ŋ/ 이 치경음 앞에서 [n]으로 발음되기도 하는데 ‘깡총깡총 → [kʼɑnʨʰoŋkʼɑnʨʰ oŋ]’이 있음. /ŋn/을 기피하기 위해 /ŋn/이 /nn/이 됐을 수도 있다.
- /m/ 탈락: ‘-님’이 ‘-니’로 변화한 것은 유아가 /m/ 같은 자음을 발음하기 어렵다는 육아어의 성격을 반영한다. ‘어마니, 아바니, 할아바니, 할마니, 아주바니, 아주마니, 조부니, 누니’와 같은 친족어의 ‘-니’는 사실 '-님'에서 왔다. ‘-니’형에는 꼭 선행하는 시기에 대응하는 ‘-님’형이 존재한다는 점과 ‘-니’형과 ‘-님’형 사이에는 의미적인 연결이 존재한다는 게 그 근거로, ‘형님>언니/어니’에서 상정되는 ‘-님>-니’의 변화를 ‘어마님 > 어마니’ 등의 변화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임금님’을 나타내는 ‘임금니’, ‘선생님’을 나타내는 ‘선생니’라는 육아어가 없는 것처럼, ‘-님 > -니’ 변화는 친족어에 한정된다. 이는 친족어가 유아 생활에 매우 중요하고, 아직 발음에 대한 제약이 많은 시기부터 사용해야 하는 어휘기 때문이다.
이 '-님'이 다소 이상하게 보일지도 모르지만 다카요시는 ‘형님’의 ‘-님’이 격식과 존경의 의미뿐 아니라 친근함을 나타낼 수 있다고 봤다. ‘해님, 달님’과 같은 예에서 보이듯이, 유아와의 소통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언니'는 현재 여성 사이에서만 쓰이는 말로 여겨지지만 원래는 남성 사이에도 쓰이던 말이었다. 한영자전(1897)에서 '어니'를 동성이기만 하면 쓴다고 뜻풀이하였다.
그니까 19세기 말 문헌에서 ‘언니’와 ‘형님’은 연상의 동성 동기를 나타내는 유의어였다는 거다. 당시 ‘언니’는 남녀 구분 없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현대의 ‘언니’와는 다른 '언니/어니'가 사실은 ‘형님’에서 출발해 어린아이에게 친숙한 육아어로 변형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나 더 중요한 점은 경상도 방언에서는 ‘형님’과 ‘언니’의 성조가 일치한다는 사실이다. 韓國精神文化硏究院(1989: 141, 1993: 130)에 따르면 경상도 방언에서 ‘형님’도 ‘언니’도 성조가 [HM/高中]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어 기원설보다 '형님'의 변화에서 '언니'가 형성되었다는 설이 훨씬 개연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 문헌
다카요시 (2020), "‘언니’ 어원고(語源攷)", 국어학 93, 국어학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80퍼는 돼야지 임마 ㅋㅋ
-
전 정말 단순한 인간임 11
공부 하기싫다고 찡찡대다가 치즈와퍼 입에 물리니까 갑자기 진정되고 행복해짐
-
22구거 현장응시하신분 17
제일 멘탈 털렸던 비문학 지문이 뭐였음
-
6평 목표는 2
국수영1등급 탐구는 버린다
-
이차곡선 2
말썽쟁이..
-
거울을 보세요 거울 속 자신을 보며 이 샛긴 공부 아니면 답이 없겠다라는 걸 매번...
-
배경지식 없어도 논리적으로 해결 가능한건 맞는데 저처럼 평소에 관심 많음+경제...
-
너네 무관대잖아 ㅋ
-
요즘 글들이나 댓글 보니까 빡치진 않고 걍 웃기거나 귀여운게 많음
-
경@마식보도 못참는데;;;
-
별내면 기존 별내면에서 별내신도시(구 광전리 일부, 덕송리, 화접리) 부분을 제외한...
-
의학적으로 이새끼한테 kfc랑 빅맥이면 건강식인듯 나머진 다 당폭탄이네 ㅅㅂㅋㅋ
-
하루면 뭐.. 내신 공부에 차질 없어서 다행인 듯
-
수능 6모·학평, 대선 일정 따라 6월 4일로 하루 연기 5
오는 6월 3일이 대통령 선거일로 결정됨에 따라 당초 이날 예정됐던 고교...
-
며ㅛ태메챠며ㅔㅊㅁ퍄ㅔㄹ ㅕㅐㅁㅁ
-
점심 우동먹을까 짜장면먹을까
-
유전은 스킬이라도 쓸수있는데 신경전도는 어떤 논리를 써서 풀어야하고 어떻게...
-
선정기준이 뭐지 별내는 신도시라 인프라 좋고 와부읍은 강남까지 30분일텐데 ㅋㅋㅋㅋㅋ
-
존나 어렵네... 와... ㅋㅋㅋㅋ
-
아
-
처음엔 ㅈ밥이네 했는데 30번대 문제는 무슨 한 문제 빼고 안보이니깐 푸는데...
-
수업듣기싫어요 2
졸려요
-
한 학년당 수십명인 시골 학교는 1등급이 없나 그럼
-
오늘 학교에 6모 접수하러 오기 전에 함
-
가능한가요 궁금합니다
-
찐 농어촌 <<< 애들 없어서 수시내신도 못땀 (한학교 한학년 인원이 두자리수;;)...
-
생1 화2 1
어떤 게 났나요? 생1 개념은 끝내놨는데 화2도 염두 해두고 있습니다. 작수 화1...
-
와씨 해결했다 3
한 번 이걸로 칼럼 써볼까... 원래 쓸 생각 없었는데...
-
6평
-
6평 연기? 0
확정이겠지?
-
그냥선거를하루일찍하면안됏던건가...
-
고2이고 정시까지 준비중입니다 쎈 풀었고(C단계까지 잘 풀려요) 고2자이는 학원에서...
-
비독원 어드 끝나면 이원준 독서 들어보고 싶은데 Rnp 건너뛰고 브크부터 들어도...
-
지쳤따..
-
저는 현역 수험생이고 평소에 집이나 스카에서 공부하고 있었는데 강제성이 없어서 계속...
-
23국어 만점자랑 수학 만점자 비슷하게 내고 싶다고? 0
https://m.cafe.naver.com/pnmath/3811771 재앙을 알려주겠다
-
(오피셜) 수능 모의평가 6월 3→4일로 순연 조기 대선일이 6월 3일로 확정됨에...
-
학교 내신 원과목 안하고 투과목 선택이 가능한가요? 0
이런거를 교과 위계에 따라 결정된다 하던데 경기도 교육청은 어떤가요? 혹시...
-
확통 과탐 받아주나요
-
내 방에 진짜 영원히 안 쓰는 물건들이 쌓여 있는데 1
왜 버리지 못할까 오늘 저녁에 2년 이내로 안 쓴 것들은 가격이나 용도 뒤도 안...
-
읔ㅠ 나도 리밋알파
-
자매품으로 기균메타도 있음
-
거 화력 되게 오래가네
-
수도권쪽은 아직 시작도 안했나요
-
그냥 농어촌에 대한 건설적인 토론 하면 좋을거 같은데 3
그냥 n수생이라 배배 꼬여서 이해당사자 아니라고 감정배설하며 저주 퍼붙는거 같은...
-
기초개념,기출학습 완료했는데,실전개념 강의를 지금부터 모두 듣긴 부담스러워서 한완수...
-
https://youtube.com/shorts/KnK18jxz0G0?si=IVDVs...
-
섹스 6
잘 잤니
어 이거 재업인가요 비슷한 글을 봤던 기억이
네 재업입니다. 그때 생략한 내용이 많아서 좀 더 자세히 썼습니다
일본어기원설은 국립국어원이 좋아할듯한 학설이군..
국립국어원은 대부분 인정 안할걸요
아 예외적으로 기억나는건 닭도리탕 같은건 있지만요
어원고의 '고' 한자 저거 맞아요??
네 생각할 고 攷 맞습니다
보통 考 쓰지 않나... 신기하네요
오 생각해 보니 그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