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세특 작성]세특 작성 노하우 2 - 학생의 어떤 모습에 집중해야 하는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747217
안녕하세요. AI 모델 기반 세특 작성 서비스 aifolio(에이아이 폴리오)팀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대입에서 세특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입시에 도움 되는 세특은 어떤 모습인지 함께 살펴보았는데요. 오늘은 한 걸음 더 나아가 학생의 어떤 면모를 세특에 기록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흔히들 세특은 '상위권 학생을 위한 스펙 쌓기'쯤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물론 교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이 눈에 띌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세특은 그들만을 위한 무대가 아닙니다. 오히려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도전하는 자세로 성장해 가는 학생이라면, 성적에 관계없이 누구나 세특의 주인공이 될 자격이 있습니다.
<자기주도적 탐구의 힘>
우리 반에 이런 학생 없나요?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에서 호기심이 생겨 스스로 책을 찾아 읽고, 그 배움을 바탕으로 또 다른 질문을 던지는 학생 말입니다. 때로는 수업 자료 외에 선생님께 추천 도서를 문의하거나, 궁금한 점을 질문하며 교사와 활발히 소통하곤 하는 학생도 있습니다. 이렇듯 지적 자극에 반응하고 깊이 탐구하려는 태도에서 학생의 발전 가능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가령 생명과학 수업에서 유전 개념을 배우며 DNA에 흥미를 느낀 학생이 있다고 칩시다. 방과 후에도 관련 다큐멘터리를 찾아보고, 스스로 관련 주제를 정해 심화학습한 보고서를 작성해왔다면 ‘수업시간에 배운 DNA에 흥미를 가지고 텔로미어의 역할에 대한 심화학습 보고서를 작성함. 노화에 대한 최신 이론과 연결지어 건강한 삶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제시함. 생물학적 지식을 실생활과 연결 짓고, 과학적 소양을 쌓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임.’ 이라고 강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듯 평범한 수업 속에서도 학생의 도전 정신과 탐구력이 빛날 수 있습니다. 입시에서도 단순 암기형 인재보다는 스스로 문제를 찾아 해결해 나가는 창의적 인재를 원하는 만큼, 교사의 눈에 포착된 이런 장면들은 합격의 예고편이 될 수 있습니다.
<교과를 넘나드는 융합적 사고, 차별화된 강점으로!>
요즘 대학에서는 여러 학문을 아우르며 통섭할 줄 아는 인재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따라서 한 교과에 갇히지 않고 폭넓은 시야를 보여주는 학생이 있다면 그 모습을 강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국어 시간에 문학 작품을 감상한 학생이 사회 교과서에 등장하는 역사적 사건과 연결 지어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다고 합시다. 이를 위해 역사 선생님을 찾아가 문의하고, 관련 사료를 찾아보는 열정을 보였다면 이는 분명 의미 있는 기록이 될 겁니다.
세특에는 이렇게 남겨 볼 수 있겠습니다. ‘국어와 사회 교과를 넘나드는 통합적 사고력이 돋보임. 작품 이해에 그치지 않고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시대 상황을 재구성해 보는 태도가 인상 깊음.’ 이처럼 타 교과와의 연계성을 적극적으로 파고든 노력은 학업 적성을 명확히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인성과 태도, 언제나 세특의 주요 항목>
굳이 화려한 활동만이 세특의 전부는 아닙니다.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고 과제에 성실히 임하는 모습 그 자체로도 충분히 좋은 소재입니다. 모둠활동에서 모둠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서로 격려하는 리더십, 벽에 부딪혀도 끝까지 해법을 모색하는 문제해결력 등은 세특에 담기 손색없는 성장의 기록입니다.
실제로 대학에서는 전공 적합성 못지않게 얼마나 바람직한 인성과 학습태도를 갖추었는지 꼼꼼히 평가하고 있습니다. 봉사활동이나 동아리 경험 등이 중요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어요. 따라서 수업 태도나 생활 습관의 변화, 성숙한 공동체 의식 등을 짚어 주는 것도 놓치지 말아야 할 부분입니다.
세특은 결코 일부 학생들만을 위한 전유물이 아닙니다. 지적 호기심으로 학습에 도전하고, 인성적으로 발전해 가는 모든 학생이 그 주역이 될 수 있습니다. 학생의 가능성과 우수성을 매끄러운 언어로 녹여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계시다면 aifolio가 작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정말 많은 분들께서 aifolio를 사용해주시고 계신데, 많은 관심 감사합니다. aifolio 소개는 이전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관찰한 학생의 성장을 어떻게 하면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게 표현할 수 있을지, 실전 사례와 함께 작성 요령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50개 완벽하게 외우는데 한시간 넘게걸림 ㅜㅜ
-
격리다 격리 1
역시 독감이야
-
다시마 2개 입갤 ㅋㅋㅋ
-
레전드레전드 여돌 원탑
-
23,24 백분위 80후반으로 3등급 정도 됐었는데요 25 9모 ,수능 풀어보니까...
-
아흥 4
-
안녕하세요! 11
이번에 오르비 시작했어요 드디어 10일 지나서 첫글씁니다
-
뇨뇨뇨
-
더 늦게 가면 어케 되나요
-
야 이거 살까 0
공교롭게도 예산이 38만원임 근데ㅜ별로 안이쁜거 같기도하고
-
반수 연애.. 2
반수 할건데 4살차이 과선배가 좋아졌어요ㅜ 어떡해요? 왜 자꾸 마주치는...
-
제주 방언으로 갈까요 언어학 개론(형태론, 통사론)으로 갈까요 아니면 흠...
-
해보고 싶었는데
-
재수생 기코 0
기코 끝내고 입문n코 들으려고 하는데 수특 풀긴 풀어야겠죠?..... 아 수특은...
-
퉁퉁퉁퉁퉁퉁퉁 사후르가 세다는 사람이랑은 대화 안함 5
그거 다 바이럴 가짜뉴슨데 그거에 속는거 보면 하;;
-
국어 화작런 2
언매로 백분위 현역 64 재수 39 나왔는데 현실적으로 백분위 68정도만 나와도...
-
지금?
-
토론할 분 구함
-
회사가 달라서 여쭤봄 컴맹이라 양해좀
-
강기원 시즌2 6
장재원t 시즌2부터 듣고 있었는데 저랑 좀 안 맞는 느낌이라 지금 뒤늦게 강기원t...
-
봄바르딜로 크로코딜로 이거 ㅈㄴ ㅂㅅ 같다고 생각했는데 13
계속 보다 보니까 재밌노 ㅋㅋㅋㅋ 에라이
-
D-8 7
30문제 남았다 오후에 실모할지 복습부터할지 봐야겠군
-
그러합니다...
-
여백에 회음후 열전 만년필로 필사했음 불려가는거 아니겠지 ㅋㅋ..
-
럭키 77 0
https://orbi.kr/00072740989/ 좋아요 77 캬 좀 더 글을...
-
어디갈까요 성적 최우선 다녀보신분들 장단점도 기술해주심 갬사하겠습니다..!
-
친척형이 준 국어의기술책인데, 친척형은 오래전에 수능봤어요 전 언어와매체 선택자인데...
-
아오오오오오오오 5
오니
-
모교 6모정원 60명이면 모집개시당일 마감일까요?? 0
그렇겠죠...?? 학교 특성상 학교응시n수생 60명 훨씬 넘을 것 같은데...
-
지금 페이스면 6모전에 딱 개념기출 1회독 할꺼같은데 속도 올릴까요?
-
현역 공부 효율 0
3모보고 멘탈 나간 이후로 공부가 잘 안되고,,, 원래 이정도로 수학이 안풀리진...
-
같은 문제라도 풀이가 ㄹㅇ 눈에 띄게 좋아졋군 상당히 좋군
-
난이도 어떤거같나요? 전반적으로 드릴345보단 쉬운거같은데
-
둗옹
-
독서 고1 기출 3
손실 보상 청구권, 실어증 얘네 풀어 보셨나요 하... 정보도 많고 용어도...
-
휴강인지 모르고 학교 갔네 카톡에도 동기가 톡 했는데 못 보고 도서관에 가서 중간 준비나 할까
-
요즘 독감이 유행이래요
-
운문은 나름 치고 현대소설까지는 어떻게 어떻게 하는데 고전소설을 진짜 못 해 먹겠음...
-
사문 개념강의 다들었는데 다음 커리인 임팩트를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그냥 기출푸는게 좋을까요?
-
열 바로 내림 근데 열은 내려도 아직 힘드네
-
재수로 약대에 들어간 사람입니다. 현재 2학년인데 약대를 다닐수록 한번더...
-
깨달은거 3
학교서 눈마주치면 어색하게 지나쳐야되는 사람들이 꽤 잇다는거 학교생활하지도 않았는데...
-
뭐지진짜
-
생1이 탐구 17개 과목중에 3등급 맞기 제일 쉬움 그 이상은 근데 존나 어려움...
-
평상시에 속으로 혼잣말 많이하고 뭐 생각할때도 속으로 혼잣말 많이하고 공부할때도...
-
시모노세키 끝 11
이제 히로시마로
-
0.999...는 1이 아니다 135
0.999... = lim(x->inf),(1-1/10^x)...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