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4사1에 대한 소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729412
2026 The All Preview [비유전, 241220].pdf
2026 The All Preview [유전, 241220].pdf
안녕하세요 :) 디올러 S (디올 Science, 디올 소통 계정) 입니다.
[출판한 대표 교재]
[저자 소개 및 인증]
[2025, 2026 과탐 공부법 가이드 (Ft. 사탐런)]
통합수학으로 접어들며 가4나1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접해왔는데
오늘 과4사1이라는 단어를 접하게 되었네요
이과가 응시자 25%이던 시절에 진화해가던 투과목을 응시했었고
대다수가 선택자 다수 과목의 작품을 드릴 때 투과목 작품을 드렸었으며
이제는 원과목 응시자 표본이 수학 가형 표본으로 진화해가는 현 세태를 보며 세월의 흐름을 느낍니다
사탐런이 정배로 여겨지는 현 입시 체제에서 역배의 길을 쭉 걸어온 필자가 할 수 있는 건
투과목 고점 시절에 그래왔듯 작품을 고고히 잘 빚어내
이과의 길을 택하신 분의 만점에 도움이 되길 기원하는 것뿐인 듯 합니다
올해 디올은 수식언을 다소 바꿨습니다
이제는 만점을 목표로 해야 1등급을 안정적으로 쟁취할 과목이 된 듯 하고
세 자리 수 작품을 집필하게 된 첫 해 이제는 그래도 작품으로 여겨도 될 정도의 수준이 된 듯 하여 붙이게 되었네요
생1, 생2 원고는 모두 -ed 형이고 출판사에서 편집 -ing 입니다.
(2차 편집본 퇴고본을 전송하였습니다.)
밖에 눈이 왔었다고 하는데 아직 12월에 눈을 본 적이 없네요
감기 조심하시고 아무쪼록 사탐러, 과탐러 (원과목러, 투과목러) 모든 분들을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동아리방에서 풀실모 응시 프린터로 실모 뽑아줌 ㄷㄷㄷ
-
정작 어떻게든 입결 높이려고 문과에 과탐 마구 받고 이러는건 너무 싫음 너희 붙어도 반수할거잖아..
-
수학으로치면 몇문제인가요? 질문 수준이 떨어지긴하는데 그냥 궁금해서요
-
그마저도 출제오류가 명백한 문제를 어거지로 땅땅 이상없음! 해버려서 그정도라도 나왔다는 전설이
-
표정관리 어케함 가까이 지내고 싶지는 않은데 같이 놀아야하고
-
경희한 1
경희대 한의대 교과 지균 1차 추합때 몇 명 충원됐나요??
-
사탐런 추천 6
물지 했습니다 둘다 1임( 50,47) 물리는 확실히 바꿀 거 같은데 물리 혹은...
-
거 이름도 얼굴도 모르는 사람들이랑 싸워서 감정 상하지 말고 2
따뜻하게 저녁이나 먹고 좋아하는 게임하고 애니보고 운동하고 합시다 어차피 할것도 없잖아요
-
아니 과4=사1 6
이게 님들 인생에 그렇게 중요함요..? 왜캐 싸우는거 막말로 수능장가면 1뜨던애가...
-
예비고 2인데 수12 선행 안했는데 시대인재 박종민 라이브 수12 들어도 되나요?
-
흠 5
의대 이슈도 그렇고 탄핵이슈도 있고 친구들도 슬슬 진로 설계해야할 시즌이고 군대...
-
어디 가지
-
고속 얼마임뇨 2
ㅈㄱㄴ
-
어디를지르지 0
흠…
-
어디감?

좋은 일 가득한 주말 보내시길 바라요! 주말 2번 지나면 연도가 바뀐다는 게 믿기지 않네요,,, 12월 어디 감,,,
이제부터 과6=사1 이다...
ㅇ,,,이제 과6=사1인가요;-;,,, 전수가 그러하지는 않겠지만서도,,, 과탐 8과목 중 일부와 사탐 9과목 중 일부를 1:1 대응하면 한 Set 정도는 실현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어 보이는 게,,, Scary Point네요,,,예비 생2러 와드

앞 단원 들은 사탐과 손잡고 있으나,,,극댓값 시절에 유전 단원이 수학 가형 문을 두드렸었던,,,
미래의 8학군, 수능 통합과학 친구들께 전설로 남을 과목,,,
따뜻한 주말 보내시길 바라요!
근데 제가 생각하기엔 과3=사1인거 같기도 합니다...과탐 4등급은 개념문제만 맞춰도 나오는거 아닌가요 나머지 찍어서 하나 맞추면 얼추 나올거 같은데

필자 또한 한 단어로 일반화하기엔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고,,, 어제 처음 접하여 자세히는 모르오나 정론은 Aureves님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평균 표본이 과3=사1에 가깝고, 과목에 따라 과4사1이 가능할 수도 있다인 듯으로 보여요! 누군가에겐 과2=사1일수도, 과1=사2일 수도 (이건 아닌가/-/,,,) 있는 것이니 선택 자체도 중요해진 듯 하나,,, 우직하게 한 번 선택했다는 전제 내에서는 자신의 가능성을 믿고 우직히 공부해나가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맞습니다! 강사 분이시니 일개 수험생인 저보다 더 정확하게 알고 계실거라고 생각해요 개인차가 존재하겠지만 과탐의 경우 사탐보다 추론문제가 더 많은건 사실이니 어려운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작년에 과탐응시한 사람으로써 난이도 차이에 대해서는 부정할 수 없을것 같아용

학생(수험생) 분은 펼쳐나갈 가능성이 무한하신 분이고 저자 or 강사는 1년 쳇바퀴 빙빙-ed, -ing, Will- 인걸요/-/ 일개 수험생은 너무 겸양의 표현이신 듯 하고,,, 작년을 끝으로 수능-ed 분이신지 내년 수능 응시를 생각 중이신 분인지는 잘 알지 못하오나 소망하시는 바 모두 이루시길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