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 일기255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728465

LIS(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최장 증가 부분 수열의 길이를
Dynamic Programming(dp) 관점에서 구할 때 짜본 코드입니다.
오랜만에 알고리즘을 다시 공부하니, 기본부터 복습하고 있네요.
예를 들면
100 2 50 60 7 8 9 12 13
이란 수열에서 최장 증가 부분 수열의 길이가 얼마가 되는가를 따지는 겁니다.
모르긴 몰라도 2, 7, 8, 9, 12, 13을 택하면 되겠군요. Length는 6인 것 같구요.
수열 내의 부분수열을 탐색해야 하는데, 이걸 “완전-탐색”하겠다고 하면 Dynamic Programming이 적법한
솔루션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개수가 더더욱 많아지게 된다면, DP로는 충분한 효율이 안나올 수 있는데, 그런 경우
이분 탐색기법을 응용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랑용+일상공유정도지 누가 남의 눈치를 봄 안 좋게 보는 사람이 있는게 신기하네
-
6점 떨궜다는게 크리긴함
-
https://orbi.kr/00070635618 위 링크에서 결론을...
-
아주의를 갈 수 있다고 으흐흐
-
메디컬은 2
메쟈의 설치 경한 설약 설수가 아닌 이상 의사 vs 치과의사 vs 한의사 vs 약사...
-
근데 ㄹㅇ 수망은 구제가 되는데 국망은 구제가 안됨 15
수망은 연대가 받아주는데 국망은 ㄹㅇ갈데가없네 국망이 갈곳은 강대 시대 뿐인가...
-
결혼하시는 남자쌤 있음? 두각이든 기숙이든 어디든
-
오르비애 등록된 실명이 진짜 이름이 아니고 괴상한걸로 되있는데ㅇ러면 뱃지 못...
-
진학사 5칸 텔그 53%...
이분탐색으로도 풀어보세요
넵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