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7174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원래 속쌍있는거 라인을 조금 올리고 싶은데
-
공통만 풀거에여 3모 21,29,30틀 88점이고 n티켓 s1 기준 80%정도...
-
자러감 3
ㅂㅂ
-
재수하는동안은 사람사는게 아니었다싶음 원하는 대학교들어와서 하고싶은거 하는데 ㄹㅇ...
-
ㅇㅈ 3
삼김 맛 추천좀요 낼 점심임
-
현역이고 지그 수학 기출풀기 바쁜데 주변에는 기출은 커녕 수특 푸는 애들이...
-
일본 노래에는 감동이 있다 가슴이 웅장해진다 진짜
-
근데 내 물리 실력이 처참해서 맨날 쫄튀함
-
조회수가 시원찮길래 어그로성 제목 달았습니다 죄송합니다... 반수 해 보신 분들께...
-
안녕히 주무세요 1
졸려요
-
26 정시... 0
이번에 결국 의대 정원 원상복구가 될것같은데... 이렇게 되면 지금 26정시는...
-
잘자 담에보자 4
사랑해~
-
내일 어떻게든 연명하려면 지금이라도 자야하는데 그냥 자기가 싫다 누가 좀 재워죠
-
망했네온 2
난 레전드병신이야
-
명강의임 이만한 확통 강의가 없음
-
물리는 잡기 쉬운데 화학은 잡아본 적이...
-
수학 시발 1
못하겠다고 머리가 안 된다고 능지 딸린다고 ㅠㅠ 3대째 문관데 나형 왜 없앰 ㅠㅠ
-
좋아하는애 1
이름만 알고 같은 독서실 다니는데 가망없겠지.. 고3이야
-
내신 휴강 끝나면 들을건데 수학 라이브 ㅊㅊ좀 3모 81임 재수생
-
대놓고 저작권 침해하는 30만짜리 범법 대형 채널은 막을 수 있지 않나? 요즘에는...
-
1시간 날리는게 너무 아깝다
-
고민되네 0
본인 24수능 쳐서 백분위 등급 순서대로 87(3), 98(1), 3, 97(1),...
-
기출+수특 6모까지하고 6모끝나고 n제하는거면 늦은거임? 햔재 수분감 스텝1...
-
이건 뭐임? 속쌍임 겉쌍임?
-
교환학생으로 아이비리그 쪽으로 준비하는 오르비 학생들도 꽤 있겠죠? 0
서울대는 유펜, 연세대는 코넬대로 교환학생을 갈 수 있는데 준비하시는 분들이 꽤...
-
나는 학교를 다니는게 맞나 시바
-
난이도 : 8.5/10 솔직히 기분이 매우 나쁜 문제였습니다....
-
객관적인 난이도만 보면 뭐가 더 어렵나요?
-
울려퍼져라!
-
허슬테스트 1회차 풀었는데 10개 틀림... 심지어 시간도 10분 초과 됐다고 아...
-
음...아직 과외 받을까 생각중이긴 한대 비용이 너무 부담되서 한완수 책으로 함...
-
님들 라식하셈 2
심봉사 눈 뜬 기분 ㄹㅇ
-
문디컬로 약대 희망하는데 영어1 사탐 둘다 만점이라 했을때 국수 평균 몇 개 정도...
-
다들강조함..
-
수학잘하는사람한테 물어보면 공통은 기출+n제 몇개만해도 걍 다맞는다 그래서...
-
여친구함 6
쪽지좀
-
시발점 미적 0
공통 공부하느라 미적 유기했는데..미적은 뉴런보다는 시발점부터 들어가야 맞을까요?...
-
내 머릿속에서 나가
-
내 각오가 무너질거 같아서 못바꾸는 중;;
-
미친짓임?
-
아 엄마 잔소리좀그만 10
아아
-
3모는 턱걸이로 1 뜨긴했는데 평소 1~2 왔다갔다하고 주로 높2가 제일 많이 나옴...
-
죠죠뽕 캬
-
제가 작년 하사십 시즌1을 구매해서 풀었는데 생각보다 시간을 많이먹어서 딴 과목...
-
밥그릇에 햇반 양배추 참치캔 계란 때려넣고 전자렌지 4분 돌려먹어요 대충 간장 참기름만 뿌려서...
-
방학동안 듣다가 딴 강사로 갈아탔는데 퀄이 ㅈㄴ 비교돼서 방학때 들은거 시간 아까움 진짜
-
근데살이너무쪘다 1
좀빼야지 라는 말을 몇달째 하는지
-
아니 가계도 돌연변이 이런거보다 막전위만보면 턱턱막히네;; 우짜노 ㅠㅠ
-
어설프게 공부해서 주관식으로 나오면 그냥 망함
저 이거 뭔 소린지 알아들은 것 같아요
시간 좀 지나고 푸는 건 괜찮은가요
개념 대충 외운 후 1.정답률 80프로로 만드는 과정 2. 탑 쌓는 과정 3.행동정리 지금까지 제가 알려드린 단계는 수학에서 이 정도로 크게 나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맞았던 문제는 그냥 다시 안 보셔도 됩니다. 3번 과정 빼고는(수능 거의 직전) 맞았던 문제를 만들어 관련 문제에 대해 주름이 깊어질 바에는 새로운 문제를 틀리거나 얕은 다른 갈래의 주름을 만드는게 100배 낫습니다.
아하 감사합니다
아직까지 잘모르겠습니다
어떤 말씀인지는 어렴풋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이런 공부는 감에 의존한 공부가 아닌가합니다
감에 의존한 공부 그니까 양치기의 문제점이 여기서도 보이는거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양치기의 문제는 추론능력보다는 해당문제에 대해 너무 익숙해지게 되어 다른 문제에서 다른 아이디어가 필요함에도 기존의 관습만을 고집하게 낯선 것을 거부하기에 일어나는 문제입니다. 전 글을 읽어셨는지는 제가 확인할 수 없지만 요점은 감이 아닌 통계입니다. 하루 하루 문제를 풀 때 맞은 문제를 총 문제로 나누어 정답률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감이 라는 것은 조금 더 들어가면 특정 뇌 연결 부분이 활성화가 되느냐라고 생각이 됩니다.
최대한 빨리 높은 성적을 받기 위해선 공부다운 공부, 한 문제에서 여러 관점을 보는 공부 등은 비효율적입니다. 지금 공부 방식과 더불어 따로 하루에 100문제 정도 무작위로 뽑아서 풀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7일만 지나도 들쭉날쭉하던 정답률이 특정 지점에서 수렴하는 현상을 경험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이거 좀 말 되는거같아요
선뜻 와닿지 않을 수 있으니, 기존 공부하던 방법과 병행해서,1000문제 정도 인터넷에서 다운 받아 하루에 100문제씩 복습없이 풀고 나서 틀린 것만 정리를 해 보면서 10일만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모르는 문제는 바로바로 답지를 봐서 정리를 하면 됩니다.
저도 예전에 공부법을 조금 연구해보면서
연역적 추론을 잘하기 위해, 나만의 뉴런 비스무리한걸, 오답 요소에 대한 일반적인 정리를 의식적이며 강박적인 기억하며 머릿속에 만들어보자.. (대신 오답 과정에서의 과적합은 무조건 피해야 한다!!!)
라는 이론을 만들어낸 적이 있는데
의식적이며 강박적인 기억 대신에, 문제풀이 경험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뇌가 수학 문제를 푸는 사고 방식에 적응하고, 그걸 통해 일반화된 무언가를 활용하기 위한 근거를 찾을 필요 없이 굉장히 자연스럽게 ‘딱 봐도 이거 대칭이동 해야하는거 아님??‘ 이 나오도록 해라!
라는 작성자님의 이론은 굉장히 새롭게 다가오네요
제가 너무 의식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에 집착했던 것 같기도 하구요 ㅋㅋㅋ
그 방법도 빠르게 높은 점수를 달성하는데에 있어 매우 효율적이며 강력한 방법입니다. 9등급을 빠르게 2등급, 3등급으로 만드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준킬러나 그보다 난이도가 낮은 문제에도 매우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풀 수 있고 한 번 틀린 문제를 다시는 틀리지 않게도 해줍니다.
예리하게 갈고 닦은 칼은 많은 것을 벨 수 있지만 물을 베어내지 못합니다. 하지만 과적합이 된다면 물을 보고도 칼을 꺼내게 되고 칼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면 아무것도 꺼내지 못하게 됩니다.
계속 생각하던내용으로 사람의 학습이 인공지능 학습과 굉장히 닮아있다는건데... 글의 내용이 결국 직관(모델)의 능력을 기르는 방법인듯...
정작 왜 꼭 그래야 하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부분도 비슷함 그냥 '쉽게 알 수 있을' 뿐
풀었/틀렸던 기출 고난도 문제들에 대한 발상정리 테크닉적인 아이디어들을 모으고 모으다 보면 반복적인 패턴이 보이고 더하여 n제로 양치기를 함으로 귀납 연역적으로 더 나은 수학점수를 만들 수 있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