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7174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무래도 일배나 그런 사이트 하는 친구겠지요? ㅜㅜ 이래서 함부러 정치성향 드러내는거 아닌가바용
-
갈테 경기부엉이부터 옮생을 함께 했던 나로선 가슴이 미어진다.다음 옮생엔 내 비서로...
-
범위가 120페이진데 인강도 없고 ㅠ
-
이신혁T 시즌1 2
OZ 개념 기출 끝내고 아직 개념이 부실한 느낌이 들어서 이신혁T 시즌1 VOD...
-
박나래 ‘55억 단독주택’에 도둑 들었다… 수천만원 금품 도난 1
방송인 박나래가 집에 도둑이 들어 수천만원 상당의 금품을 도난당했다. 8일 박나래...
-
난 무료임❤️
-
당연함 기숙학원임 씨발 세상에서 도태되고 있다는 게 한번에 느껴지네
-
[정책 인사이트] 서울서 비둘기 먹이 주면 ‘과태료 100만원’… 실효성은 ‘글쎄’ 4
비둘기, 먹이 풍부한 도심에서 야생 상태보다 더 많이 번식 먹이 제한해 개체 수...
-
심찬우 0
평소 강의에서 추천하는 책 제목들 알려주실분
-
[단독] 경찰, '중국 간첩 99명 체포 보도' 스카이데일리 압수수색 3
(서울=뉴스1) 박혜연 기자 = '12·3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이 선거연수원에서...
-
SNS의 힘은 대단해
-
경외감이 드네 나도 더 공부해야겠다
-
씨1발 원형탈모왔다 16
내 춘추 17세다
-
최소한 EBS에 올라오는 공짜 해설지보단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줘야 하는게 아닌가?
-
방탄이랑 만나네
-
안녕하살법~ 1
치카 넨도돌 귀여움
-
내일부터 휴가다 3
-
나니 가습기~?
-
현금이 최고야 0
근데 무슨 현금이요?
-
후가휴다휴다휴가가가가가각 휴가 갈래..
-
루비짱 하이잇~ 0
나니가 스키~ 부모님 보다도 아 나 타~
-
저도 알고 싶지 않았어요 거지가 되.
-
요즘도 안녕화살법 쓰나 12
내가 고3때 참 유행이었는데
-
유래 깊은 아구몬 수능 시계 이거 알면 좀 틀딱임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수능 끝나고 술 사달라고 해야지
-
매우 정상적이네
-
쿠쿠리.
-
태일아 10
진화시켜줘
-
저격메타 참전함 0
호감가는분들이 자폭해서 저격대상 없음
-
문이유 문법N제 2회독 나기출 유대종 기실해 N기출 언매 마더텅 언매 리얼오리지널...
-
뭔가 했는데 항마력 레전드다 아 나 타 나니가 스키 아 나 타 어
-
명곡이군요 0
예엣날 국힙도 좋네요
-
나니가스키 17
쵸코민토 요리모 아나타~
-
님들은 뭐할거임
-
ㄹㅇ
-
ㄹㅇ
-
https://orbi.kr/00072740989/ 앞으로 리딸은 이거다
-
8층인가까지 무조건 계단으로만 다녔는데 건강은 ㅁㄹ겟고 밥먹고오면 꿀잠잘수잇엇음
-
나른나른해
-
돌고래 3
고래
-
여름엔 덥게~ 1
겨울엔 춥게~ 여름엔 덥게~ 겨울엔 춥게~
-
작수 22234 였고 홍대 붙었는데 부모님이 자퇴하고 재수하라고 하셔서 재수 중...
-
지금해야하는거 4
과탐 실모 4개
-
아으 힘들다 11
-
그냥 다 불안정해 잘 놀고 와도 뭔가 불안하고 그러네 안정형 애착 같은건 아닌듯
-
남자애들은 읍소하니까 ㅋㅋ 거리면서 빌려줬는데 감성 차인가
-
로맨스 소설 쓰고 싶다 12
오르비에 써볼까 흐흐
-
요번 년도만 그런가? 기출에 비해서 너무 쉽게 풀려서 ;; 풀어보신 분들 어떠셨나요
-
갈수록 네임드들이 여차저차하여 산화하니 네임드의 공급 곡선이 수요곡선 아래로 내려가...
저 이거 뭔 소린지 알아들은 것 같아요
시간 좀 지나고 푸는 건 괜찮은가요
개념 대충 외운 후 1.정답률 80프로로 만드는 과정 2. 탑 쌓는 과정 3.행동정리 지금까지 제가 알려드린 단계는 수학에서 이 정도로 크게 나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맞았던 문제는 그냥 다시 안 보셔도 됩니다. 3번 과정 빼고는(수능 거의 직전) 맞았던 문제를 만들어 관련 문제에 대해 주름이 깊어질 바에는 새로운 문제를 틀리거나 얕은 다른 갈래의 주름을 만드는게 100배 낫습니다.
아하 감사합니다
아직까지 잘모르겠습니다
어떤 말씀인지는 어렴풋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이런 공부는 감에 의존한 공부가 아닌가합니다
감에 의존한 공부 그니까 양치기의 문제점이 여기서도 보이는거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양치기의 문제는 추론능력보다는 해당문제에 대해 너무 익숙해지게 되어 다른 문제에서 다른 아이디어가 필요함에도 기존의 관습만을 고집하게 낯선 것을 거부하기에 일어나는 문제입니다. 전 글을 읽어셨는지는 제가 확인할 수 없지만 요점은 감이 아닌 통계입니다. 하루 하루 문제를 풀 때 맞은 문제를 총 문제로 나누어 정답률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감이 라는 것은 조금 더 들어가면 특정 뇌 연결 부분이 활성화가 되느냐라고 생각이 됩니다.
최대한 빨리 높은 성적을 받기 위해선 공부다운 공부, 한 문제에서 여러 관점을 보는 공부 등은 비효율적입니다. 지금 공부 방식과 더불어 따로 하루에 100문제 정도 무작위로 뽑아서 풀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7일만 지나도 들쭉날쭉하던 정답률이 특정 지점에서 수렴하는 현상을 경험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이거 좀 말 되는거같아요
선뜻 와닿지 않을 수 있으니, 기존 공부하던 방법과 병행해서,1000문제 정도 인터넷에서 다운 받아 하루에 100문제씩 복습없이 풀고 나서 틀린 것만 정리를 해 보면서 10일만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모르는 문제는 바로바로 답지를 봐서 정리를 하면 됩니다.
저도 예전에 공부법을 조금 연구해보면서
연역적 추론을 잘하기 위해, 나만의 뉴런 비스무리한걸, 오답 요소에 대한 일반적인 정리를 의식적이며 강박적인 기억하며 머릿속에 만들어보자.. (대신 오답 과정에서의 과적합은 무조건 피해야 한다!!!)
라는 이론을 만들어낸 적이 있는데
의식적이며 강박적인 기억 대신에, 문제풀이 경험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뇌가 수학 문제를 푸는 사고 방식에 적응하고, 그걸 통해 일반화된 무언가를 활용하기 위한 근거를 찾을 필요 없이 굉장히 자연스럽게 ‘딱 봐도 이거 대칭이동 해야하는거 아님??‘ 이 나오도록 해라!
라는 작성자님의 이론은 굉장히 새롭게 다가오네요
제가 너무 의식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에 집착했던 것 같기도 하구요 ㅋㅋㅋ
그 방법도 빠르게 높은 점수를 달성하는데에 있어 매우 효율적이며 강력한 방법입니다. 9등급을 빠르게 2등급, 3등급으로 만드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준킬러나 그보다 난이도가 낮은 문제에도 매우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풀 수 있고 한 번 틀린 문제를 다시는 틀리지 않게도 해줍니다.
예리하게 갈고 닦은 칼은 많은 것을 벨 수 있지만 물을 베어내지 못합니다. 하지만 과적합이 된다면 물을 보고도 칼을 꺼내게 되고 칼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면 아무것도 꺼내지 못하게 됩니다.
계속 생각하던내용으로 사람의 학습이 인공지능 학습과 굉장히 닮아있다는건데... 글의 내용이 결국 직관(모델)의 능력을 기르는 방법인듯...
정작 왜 꼭 그래야 하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부분도 비슷함 그냥 '쉽게 알 수 있을' 뿐
풀었/틀렸던 기출 고난도 문제들에 대한 발상정리 테크닉적인 아이디어들을 모으고 모으다 보면 반복적인 패턴이 보이고 더하여 n제로 양치기를 함으로 귀납 연역적으로 더 나은 수학점수를 만들 수 있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