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실 이차적인 기원을 가진 단어일지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58528
1인칭 대명사로 ‘我, 吾’에 현토가 된 것을 보아 '우' 정도로 읽히는 대명사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는데 그럼 '우리'는 '우+리'로 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다만 이 '리'가 무엇인지는 아직 모르고 복수 접미사라고도 하나 오직 '우리'에만 보인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ㄴ 이병기(2014) 구결 자료의 어휘
ㄴ 박진호(2007)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
참고로 구결을 통해 '만'의 고유어도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유어가 아니라면 굳이 현토할 이유가 없거든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메디컬 관심 없고 공대/자연대 진학하는데 현역으로 올해 연고대 갔다가 내년에 서울대...
-
공부를 해야 한다. 세상에 나와 부당한 사태에 대하여 목소리를 내고 싶다면. 불변의 진리이다.
-
1학년 수학은 11 2학년 수학은 22 ㅠㅠㅠ 1학년 과학은 32 2학년 과학은...
-
구경하는입장에선 재밌긴함 ㅋㅋㅋㅋㅋㅋ
-
작년경쟁률 4.24인데 벌써 다섯배가들어와있네
-
오르비에 얼마나 갈아넣은거냐ㅋㅋㅋㅋ (자기소개아님)
-
어어....뭐냐?
-
ㅇㅂ이 피뎁 쓰면 안됨?
-
현우진 커리 타시는 분들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12
예비고3입니다 내신대비 학원 다니면서 수1,2 개념은 한번씩은 돌렸고 학원에서...
-
주식 근황 13
캬
-
1216 기준 (의)의예 419.8 (치)치대 414.9 (자)수리 412.38...
-
재수 해야 하나 1
열심히 한다고 했는데 결국 건대 전자로 끝날것 같음 좋은 기업을 가는데에 건대 정도...
현토가 뭐에용?
한문을 읽을 때 한자 아래에 토(한문의 구절 끝에 붙여 읽는 우리말 부분.)를 다는 걸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