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실 이차적인 기원을 가진 단어일지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58528
1인칭 대명사로 ‘我, 吾’에 현토가 된 것을 보아 '우' 정도로 읽히는 대명사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는데 그럼 '우리'는 '우+리'로 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다만 이 '리'가 무엇인지는 아직 모르고 복수 접미사라고도 하나 오직 '우리'에만 보인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ㄴ 이병기(2014) 구결 자료의 어휘
ㄴ 박진호(2007)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
참고로 구결을 통해 '만'의 고유어도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유어가 아니라면 굳이 현토할 이유가 없거든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노베 공부법 10
수학 노베 6등급 공부법(커리 외) 조언부탁드립니다..!! 우선 지금은 개념원리...
-
독서 풀어보려 하는데 어떤가요???
-
2학기에 휴학하고 반수하면 휴학했다고 학점이 깎이거나? 그러진 않나요..? 로스쿨...
-
진학사 20명 정원인데 최초합 왜 16명 까지만 줄까뇨? 2
이런건 80프로 밖에 표본 안찼다는 말이에요?
-
여자들은 선진국으로 튀면 되지만 한남 벌레 새끼들은 선진국 가서 또다른 도태남...
-
ㅈㄱㄴ
-
하루에 5개만 답변하고싶은데 걍 답변할 질문이 존재하질않네.... 개인질문 주는...
-
다들 알겠지만 설마 싶어서
-
2과목으로 바꿀까 생각중인데 반수하면 좀 힘드려나요
-
점메추 10
받음뇨
-
고대 어문 원하는 과 붙기 vs 300kg짜리 거대문어 Get 맛있음 팔아도됨 당신의선택은
-
'보좌관 성추행' 박완주 전 의원 1심 징역 1년 선고…'법정구속' 1
▲ 보좌진을 성추행한 혐의 등으로 불구속기소 된 무소속 박완주 의원이 지난해 8월...
-
점심메뉴추천 7
해줭 뭐먹지
현토가 뭐에용?
한문을 읽을 때 한자 아래에 토(한문의 구절 끝에 붙여 읽는 우리말 부분.)를 다는 걸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