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실 이차적인 기원을 가진 단어일지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58528
1인칭 대명사로 ‘我, 吾’에 현토가 된 것을 보아 '우' 정도로 읽히는 대명사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는데 그럼 '우리'는 '우+리'로 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다만 이 '리'가 무엇인지는 아직 모르고 복수 접미사라고도 하나 오직 '우리'에만 보인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ㄴ 이병기(2014) 구결 자료의 어휘
ㄴ 박진호(2007)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
참고로 구결을 통해 '만'의 고유어도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유어가 아니라면 굳이 현토할 이유가 없거든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생선된 ㄷㄷ
-
단다단 단다단 단다단 단
-
48=47 97줘서 꿀아님 ㅜㅜㅜㅜㅜㅜ
-
운동 그만둬야하나
-
인하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인하대25][등록금뽕뽑기]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인하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인하대생, 인하대...
-
슬픔뇨 6
내신 잘 본게 영어 수학밖에 없음뇨 나머지는 다 등급 모르겟읍뇨 ㅠㅠ 오늘따라 너무 피곤함뇨..
-
가끔씩 달력이 오류나서 인터넷도 속임 12월16일 수요일 뭐지다노
-
진학사 5칸 4
5칸떨이 흔한가요? 655 쓸거같은데 나군 학교가 더 가고싶음 재순데 정시 처음이라...
-
ㅁㅌㅊ? 7
잘못하면 3패할라나 걸고 리트라이 할거라 노상관이긴 한데
-
일반고 내신 1.5 수능 언미생지( 94 95 3 98 80) 꿈에 그리던 스카이를......!
현토가 뭐에용?
한문을 읽을 때 한자 아래에 토(한문의 구절 끝에 붙여 읽는 우리말 부분.)를 다는 걸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