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수능 영어를 푸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2편(part 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42518
수능 영어를 푸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2편
“해석은 다 되는데 왜 답이 안나올까?”에 대한 해답입니다.
우선 이번 수능에서 오답률 2위를 기록했던 34번 문제를 한번 풀어보세요. 시간 같은 건 상관없고 최대한 명확한 논리로 답을 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기본적으로 문장에 대한 해석이 되는데 답은 안나오는 분들을 대상으로 한 칼럼이기 때문에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사실 빈칸 위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맨 위에 빈칸이 있다면 그 아래에 근거가 있을 것이고 맨 아래에 빈칸이 있다면 그 위에 근거가 있을거니까요.
풀이에 들어가기에 앞서, 저는 기본적으로 모든 글들에 이항대립적인 도식을 생각하면서 풀이합니다.
흔히들 부정적인 것을 A, 긍정적인 것을 B로 놓고 저 또한 그렇게 풀이합니다.
이 이외의 도구는 일절 사용하지 않습니다. 딱 이 두가지로만 풀이할거예요.
우선, 기본적인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Centralized, formal rules can ___________________.
중앙집중적이고 공식적인 규칙은 _____할 수 있다고 하네요
그럼 그 규칙이 뭔지 아래에 설명되어있겠죠?
이건 내가 이 글에서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에 대해서 바로 알려준 꼴이기에 중앙집중적/공식적인 것을 B라고 놓겠습니다.
The rules of baseball don't just regulate the behavior of the players; they determine the behavior that constitutes playing the game.
Rules do not prevent people from playing baseball; they create the very practice that allows people to play baseball.
바로 규칙에 대해서 설명해주기에
“이 규칙이 위에서 말하는 규칙인가?”
하고 “95%”의 확신을 갖습니다.
5%가 비는 이유는
사실 the rules of baseball이 위에서 말한 규칙이 아닐수도 있거든요.
하지만 대부분 화제를 이어오는 서술이기에 그대로 받아줍니다.
그렇다면 the rules of baseball은 우리의 논리상
“공식적이고 중앙집중적”입니다.
그렇다면 위의 6줄을 “공식적이고 중앙집중적인 규칙”이라는 틀에서 읽게 된다면 어떤 단어/문장을 눈여겨 봐야할까요?
Determine the behavior / create the very practice
정도가 되겠죠?
왜냐면
행동을 결정하는 것 = 공식적 = 관습을 생성함
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거든요.
여기서 또한 100%의 확신을 가지고 이야기하지 않는 이유는
언어의 특성상 행동을 결정하는 것이나 관습을 생성하는 것이
언제든지 “비공식적”인 것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가져가야 하는 것은 규칙이 뭘 결정하고 어쩌고~가 아닙니다.
우리가 가져가야 하는 것은
“내가 지금 읽은 규칙이 공식적이고 중앙집중적이구나”
입니다.
A score of music imposes rules, but it also creates a pattern of conduct that enables people to produce music. Legal rules that enable the formation of corporations, that enable the use of wills and trusts, that create negotiable instruments, and that establish the practice of contracting all make practices that create new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위에선 야구 얘기를 하더니 음악 얘기를 시작합니다.
여기서 하시면 좋은 것은
“야구니 음악이니 다 예시 드는거군”
하는 생각입니다.
아마 위에서 규칙의 특징을 명확하게 잡고 오셨다면
위의 첫번째 문장에서도
Creates a pattern of conduct라는 부분이 눈에 잘 들어오실 겁니다.
공식적 = 행동을 결정 = 관습을 생성 = 행동패턴 생성
느낌이 오시지 않나요?
그래서 사실 해석이 된다는 전제 하에
위의 아래 문장도 결국은 같은 얘기를 한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여가서 다시한번 중요한 것은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윗 문장들의 정확한 해석이 아니라
내가 읽은 규칙의 특징들을 하나로 묶는 것
입니다.
And we have legal rules that establish roles individuals play within the legal system, such as judges, trustees, partners, and guardians. True, the legal rules that establish these roles constrain the behavior of individuals who occupy them, but rules also create the roles themselves. Without them an individual woul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occupy the role.
어떻게 보면 지겹습니다.
또 규칙이 무엇을 생성하고 어쩌구저쩌구
전 현장에서 위의 and 문장부턴 똑바로 해석도 안했습니다.
But 나오는 부분에서 혹시 우리가 지금까지 B로 잡았던 규칙이
뭔가 변화가 있나? 싶어서 슬쩍 보고 그냥 강조하는 구문 같아서 넘기고 5번 찍고 끝냈습니다.
선지 보겠습니다.
1.categorize one's patterns of conduct in legal and productive ways
솔직히 categorize 보자마자 지웠어야 합니다.
분류와는 아무 관련 없습니다.
2.Lead people to reevaluate their roles and practices in a society
재평가 보자마자 지웁니다. 28프로가 골랐던데 사실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Practices 보고 찍은 거 말고는 설명도 안되는 것 같네요.
3.encourage new ways of thinking which promote creative ideas
생각의 새로운 방법 지웁니다.
4.Reinforce one's behavior within legal and established contexts
제가 느끼기엔 그나마 가장 매력적인 선지입니다. 그러나 개인의 행위를 강화한다? 너무 주제와 동떨어져 있습니다.
우리가 찾고 싶은 건 공식적이고 관습을 생성하고 중앙집중적인 규칙입니다.
5.facilitate productive activity by establishing roles and practices
정확히 해석하기도 전에 답같습니다.
“규칙과 관습을 세워서” 생산적인 행동들을 가능케 “한다” 네요
can과도 딱 들어맞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해석이 어느정도 되는 2~3등급 학생이 올해 수능 34번에서 모를만한 단어가 있었나요? 당연히 아닙니다.
아래서 다섯번째 줄에 trustees라는 단어가 있는데
몰라도 됩니다.
칼럼을 쓰고있는 지금까지도 전 저 단어의 정확한 뜻을 모르고 알 생각도 없습니다.
결국 해석은 되는데 답선지를 못찾아내는 이유는
미시적인 해석에 집중한 나머지
거시적으로 지문을 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제가 밑에서 5번째 줄부터는 거의 읽지도 않다시피 한 이유도 바로 이것입니다.
애초에 85점 이상이 안정적으로 나오시는 분들이라면
해석이 꽤 어려운 구문을 만났을 때 제가 위에 서술한 것처럼 접근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영어는 미시적인 독해를 할 필요성이 다소 떨어지는 과목입니다. 국어랑 차이가 나는 부분이죠.(물론 해석 못하면 4등급 받고 서울대 빼고 아무데도 못쓰는겁니다.)
그렇다면 밑줄이 아래에 있을때는 어떻게 해야하냐? 라고 물어보실 수도 있는데, 그럴 때는 솔직히 말해서 두번 읽으시면 됩니다.
만약 쉬운 문제라면 두번 읽으실 필요도 없을거고
답이 한번에 안나오는 어려운 문제라면 두번 읽는 시간을 투자할 가치가 있는 문제가 되기 때문에 시간 운용에 문제가 없게 됩니다.
원래는 여기다가 선지가 두개만 남았을 때의 해결법에 대해서 쓰려고 했는데 그러면 너무 길어질 것 같아 part 2에서 후술하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1편 보러가기:
https://orbi.kr/00070419978/%255B%EC%B9%BC%EB%9F%BC%255D%2520%EC%88%98%EB%8A%A5%2520%EC%98%81%EC%96%B4%EB%A5%BC%2520%EA%B0%80%EC%9E%A5%2520%ED%9A%A8%EC%9C%A8%EC%A0%81%EC%9C%BC%EB%A1%9C%2520%ED%91%B8%EB%8A%94%2520%EB%B0%A9%EB%B2%95%25201%ED%8E%B8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엔제게임 수2를 끝내다 15주차 복습을 하다
-
원서를 군당 2개씩 쓸 수 있다고 하면 어떨 것 같음?? 빵꾸/펑크를 없앨 수...
-
2년만에 인증한다 15
이게 벌써 2년전이노.
-
괜히 불안함
-
나는 강태공 0
-
조의금은 여기로 보내주세요.
-
수학 선택과목이랑 과탐 뭐 할지 추천받습니다. 참고로 작년에는 외우는게 너무 싫어서...
-
방금 많이 충격받음
-
야발
-
ㅇㅈ메타임? 3
오늘하면 역겹다고 저격먹을 삘이군
-
현돌 문제집 0
보통 킬쿼모는 6월 이후에 하나욥…? 제가 잘 몰라서… 생윤 개념 잡힌 현역이...
-
ㅇㅈ메타할거면 1
나 자기 전에… 얼른…
-
제목이 상당히 긴데..분량이 많지는 않아요. 아직 미완인 부분 제외하고 35쪽정도...
-
ㅇ?
-
이거 난이도 어떰 객관적으로?? 함수 개수 문제중에 나름 역대급 같은데 왤캐 정답률...
-
플리 인증 6
옛날플리고 잘 안써서 곡이 적음
-
수고하셨습니다 8
안녕히 주무세요
-
스트릿이라 해야하나 그런 느낌을 원함
-
걍 일하고 과외준비하고 과외하고 하루정도 방에혼자있는 개인용으로 쓰는시간 잡으면 걍...
-
남들이 n수 힘들다는디 걍 난 학교 안가고 좋은거같은데ㅋㅋ 술마시고 노는거 이런거 안좋아하긴함
-
그런 의미에서 ✨명반 홍보✨
-
ㅇㅈ 9
전에 보신분들은 모른척해주세요??
-
어제는 이름에게 듣다가 졸라 슬퍼져서 갖자기 눈물이 남요… 저번주에는 도경수 노래 듣다가 울었어요…
-
ㅇㅇ 와서 확인한다 맞팔은 안해준다
-
국어랑 수학 풀때 들음
-
메가 구독패스 0
다시 팔까요..? 미루다 못삼,..ㅠ
-
지가 듣고 싶은 말 들으려고 몸비트는게 너무 괘씸함 가뜩이나 입시경쟁에서 한번씩...
-
이런거 0->1까진 31
눈풀로 적분 연습해보셈
-
겠냐고 ㅋㅋㅋ
-
현역 질받 17
새벽이니 질문해주세뇨
-
현역이고 생윤 개념은 2회독했고 윤사는 2학년때 내신으로만하고 아직 제대로는...
-
ㄹㅇ?
-
부엉이어디갔어
-
작수는 화작 아다리로 4등급 컷 받았었능데 이번 3덮 70분쓰고 독서 두개 문학...
-
ㅈㄱㄴ, 내년이나 교육과정 바뀌었을때 들가보고 싶
-
2022년 7월 학력평가 생명과학2 해설강의 켰다가 깜짝 놀랐었음
-
오르비마크서버 3
진짜재밋겟다 현실에서는 친구 없어서 못 함.. 오르비언들이랑 하고싶어
-
이젠 제발 좀 하자... 전공이 있든 없든 2주는 해야지...
-
오르비언 사귀는 법 11
나는 안써먹어봄 1.오르비를 켠다 2.인증이 예쁜 여르비/ 잘생긴 남르비를 골라...
-
본인 연애보다 4
금테 다는게 더 빠를듯요...ㅠ
-
쌤 예뻐보여서 아무 강의 들어가서 강의 스타일좀 보려고 저 강의 14강 켰는데...
-
자러감 며칠~한달이따 재밋는썰들 뒤지게많이 갖고올게 딱대라
-
오르비 첫글 0
킬캠 80점이면 백분위 몇정도 가능할까요? 좋아요 0, 댓글 0
-
안경 잘바꾸신듯
-
이투스 정승제들으려고 해서 개때잡을 구매하였는데 아는 지인이 한완수 2025를...
-
당장의 감정에 너무 휩쓸리지 않아도 됩니다
-
나 매웠구나? 3
순해진거임 이게

감사합ㄴ다01. 셋의 공통점 : 무질서 -> f(규칙 설정) -> 행동
02. Society, creative, legal 모두 공통점 아니니 1~4는 논의영역 OUT
이렇게 풀었는데 어케 생각하십니까
F가 정확히 무엇인진 모르겠지만
지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찾고 1~4가 개소리라는 것을 알고 5번을 찍었다면 당연히 합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 25수능 영어 88점 맞은 사람인데요 주로 문장삽입, 빈칸, 그리고 어법 틀렸습니다… 어법을 항상 감으로 푸는데 이런 상황에서는 어법을 먼저 공부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빈칸, 삽입 유형을 먼저 공부하는게 나을까요???
오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