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학 공부하며 느낀 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31053
중상위권과 상위권의 차이는 엄밀성이 가장 큰 듯함
감으로 이렇게 될 것 같아서가 아니라 논리적으로 설명이 가능한 경지에 올라야 하는데 나는 그럴 실력도 의지도 부족했고 결국 2등급에서 더 못 올라갔음
이 연장선상에서 22번급 추론 킬러도 일관성 있는 전략이 아니라 대충 직관으로 때려맞추고 그게 맞으면 맞고 아니면 틀리는 식으로 쭉 갔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확히 뭐져 무슨 특징이 있져
-
위에꺼 고2 마지막 모의고사 (9월) 아래꺼 고3 3모 순서대로 표점 백분위 등급...
-
알려주시오.
-
요즘에 임금 너무 적음, 악성민원, 꽉 막힌 구조 등으로 인기가 없지만ㅠ 그래도...
-
충격이다..
-
종로 낙지 1
아는 분이 종로학원 컨설팅하는 분이신데 진학사에서 6칸 뜨는 대학이 소신이라는데...
-
?
-
반수하게되면 입학전까지는 여기 다닐건데 보통 얼마 하는지 궁금해서요
-
서강대 집에서 1시간 거리 서강대 기계공학과 신촌에 있음 성균관대 집에서 2시간...
-
이상한 문제들 많던데 ebs 다 풀고 들어가는게 맞나요?
-
인생 좀먹는게 한두번이 아닌데
-
한다갈래 기숙학원 알아보겠다고 함뇨
-
오면 입시대박 0
세종대 예비7->1차때 5받았는데 4차까지 오는경우도 있나요? 논술 기대 안했는데...
-
힌국사7이어서 시립대 6점 깍였는데 최종컷에서 1점 모자라대 진짜진짜이건아니야...
그래도 1년만에 4->2는 ㄹㅇ 고능아가 맞다
그런줄 알았는데 과외생중에 진짜 논리성은 엉망인데 문제 맞히는데는 도가 터서 올수능 96점 맞은 친구도..
직관에 도가 튼 친구네요
친구 중엔 직관성은 엉망인데 논리에는 도가 터서 완벽하게 문제 푸는 방식으로 가형 1등급 맞았던 친구도 있구요 근데 논리성이 되면 직관성도 결국 나중에 늘더라고요
맞네요 어찌 보면 직관은 곧 논리의 시각화라
직관은 논리를 어느 정도는 대체할 수 있다 생각해요
얼마나 커버할 수 있는지가 역량의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