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 시반공 vs 포스텍 반도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29744
둘 다 붙엇는데 어디로 가야할지 영 모르겠는 현역입니다
진로는 명확히 반도체 분야입니다 당연히 석박 생각 있고요 기업체 쪽으로 진출하고 싶습니다
아버지는 커리큘럼상, 그리고 3+3 때문에 무조건 포스텍이어야 한다고 허십니다.
근데 어머니는 연대 쪽으로 마음이 좀 기우신 것 같습니다
당장 지금이 아니라 미래를 봤을 때 10~20년 후에도 포스텍과 연대가 과연 어떤 위상을 가질 것인지
또 포스텍은 단과대 특성상 연구 중심이지 기업친화적이라고 보긴 어렵지만 그에 반해 연대는 기업체쪽에서 선호하는 학교라는 점
그리고 연대는 수도권이라는 점을 들어 한 번 더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씀을 하시니까 저도 ㅈㄴ게 고민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 등록 기간인데 고민하고잇으니 맘이 괜히 급해져서;;;;; 여러분 의견이 궁금합니다 포반입니까 연반입니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저는 전자
포스텍이 맞다고 생각해요 전 그래도
난후자
그냥 개인적인선호긴한데 예전에 포스텍가고싶었음
와 진짜 멋지고 행복한 고민이다…
석박 생각 있으면 포스텍이 맞죠
전 집 앞이 연대라도 포스텍 갑니다
후자
저 진짜 ㅈㄴ고민됩니다 혹시 왜 그런지 이유도 말씀해주실 수 있겟습니까
설카포랑 연고 차이가 크다는 게 괜히 있는 말이 아니니까…
석박이면 후자요
포랑 연이랑 대학원 위상이 차이가 크게 나는군요......... 잘몰랏네요
큰 도움됐습니다 다들 감사합니다
포스텍 가는게 맞긴한데요
3+3으로 박사따도 아무도 인정안해줌.. 박사는
해외로 갈 생각해야죠
3+3이 많이 현실성없는 제도인가요?ㅠㅠ
저는 그 말도 안되는 제도가 잇을때 박사 먹고 빠지는 전략을 쓰려햇는데
주변 사람들은 인정을 안해줄수도 있겠군요........
탑논문 없는 박사는 물박사라해서 박사학위의 쓸모가 없어요..
본인이 개천재라 6년안에 네이쳐쓸거 같다하면 3+3으로 박사따도 됩니다
ㅇㅎㅇㅎ..... 저는 학위만 생각했늦데 좀 섣부른 판단이었군요.... 말씀해주신대로 해외 박사도 고려해봐야겠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네 어차피 꼭 3+3을 원하는거면
학부 조기졸업 + 유럽 다이렉트 박사(보통 3년)
해도 됩니다. 이게 더 쳐주기도 하고..
3+3은 솔직히 헛소리지만
박사 생각 있으면 포스텍이 훨 낫죠
이건 닥후죠..
포공 반도체 재학생인데 포반와라
아이고 선배님 오셧습니까 일단 예비등록햐놓긴 햇습니다
객관적으로 여기 커리 따라올 반도체학과 없음
커리는 ㅇㅈ입니다 해외 연수가 ㄹㅇ............말도 안되더라고요
근데 3+3은 다 할수잇는건가요? 아님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선정된 사람들만 할수잇는건가요
평점 제한 있긴 한데 걍 본인 의지만 있으면 할 수 있는 수준.
영과고 나왔음?
안타깝게도 일반고입니다
그래서 더 걱정이되구요
나도 일반고 나왔는데 걱정하지말고 오세요. 학과차원에서 제시하는 비전이 있는 곳임.
연대 반도체 재학생인데 포반가라
혹시 이유를 알수 있을까요??
하 일반고 재학생분 조언 진짜 필요햇늦데 답변감사합니다...... 정말 큰 도움이 됐어요..... 다른 분들도 의견 감사드립니다 bbb
이건 닥후
너무 궁금하네요. 혹시 어디로 결정하셨어요??
저 포스텍 반도체로 결정하고 등록했습니다
https://www.nextplay.kr/news/articleView.html?idxno=8366 (영재고 7개년 대학 진학 비율)
2025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 7개년 동안 대학에 진학한 영재학교 출신은 총 79개 대학에 6,393명이었다.
그 중 36.57%인 2,338명은 서울대에 진학했고, 17.03%인 1,089명은 카이스트에 진학했다. 영재학교 2명 중 1명은 서울대와 카이스트에 진학한 셈이다.
영재고의 경우
2명 중 1명은 서울대 공대 또는 카이스트 진학
2명 중 1명은 각 메디컬, 포항공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서강대 나눠서 각각 진학 (성균관대 소폭 상승중)
https://www.nextplay.kr/news/articleView.html?idxno=8369 (과학고 7개년 대학 진학 비율)
2025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 7개년 동안 대학에 진학한 과학고 출신은 총 165개 대학에 12,298명이었다.
그 중 22.04%인 2,710명은 카이스트에 진학했고, 7.90%인 972명은 포스텍에에 진학했으며, 7.71%인 948명은 서울대에 진학했다. 세 대학의 합은 37.65%다.
과학고의 경우 카이스트(22.04%) > 포스텍(7.90%) > 서울대(7.71%) 각각 진학
https://www.chosun.com/national/education/2025/07/08/HQR7VYNNNVBGHIBTD5QZZTBIQU/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085305i
최근까지 4년 연속 인문 및 자연계열 모두 고대가 연대를 앞섰습니다. 사립대 1위!
최근 입결은 고 >> 연, 연대생들 그토록 포공에 비비고 싶으면 객관적으로 고대부터 따고 오시길!
https://naver.me/FuzuSKXK
연대가 입결에서도 최근 4년간 고대에게 뒤쳐질 뿐 아니라,
반도체학과 결쟁율조차 고대에게 밀려
연대공대는 계속 쳐발리는 중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4year_university&no=5697524
자식을 재순지, 삼순지 수능으로 연대 보냈다며
디씨 및 네이버 등에서 포항공대 욕하는 이 학부모 때문에
하도 어이가 없어서 댓글 남기고 갑니다.
2024년 8월 공시된,
2023년 기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정보공시센터 자료에 따르면,
각 학교별 학생 1인당 연간 교육비
포스텍은 127,077,865원 (재학생수 3,475명)
연세대는 40,836,587원 (재학생수 32,413명) 이며,
종합대학중 최상위는 서울대학교로서 60,590,611원 (재학생수 29,065명) 입니다.
학생 1인당 연간 교육비는
각 대학에 속한 한명의 학생이 1년동안 학업을 하기 위해 투자되어 사용되어지는 비용
즉, 각 대학별 각종 회계비, 연구비, 기타 도서비 등을 모두 합산 한 금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