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수 안하는 수학 공부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28782
제대로 된 수학을 공부하는 법, 학생들이 학습에서 놓치는 부분들에 대해 말하려합니다.
1. 개념 학습
: 개념을 딥하게 해야한다. 많이 하는 이야기입니다. DEEP 하게 해야합니다. 그냥 3번 읽는다고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닙니다. 왜 그런지 이해하고 생각하고, 해당 문제에 쓰인 개념이 무엇인지 알아야합니다.
아래 예시들을 아이들에게 한 번 물어보세요.
EX1) 제대로 알아야합니다. 이런 개념이 어디에 쓰이나요? 쓰였는데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ㅎㅎ
*고1도 이해할 만큼 쉬운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T : 판별식이 0보다 작으면 왜 근이 없어?
S : 그렇게 적혀있는데요??
T : ???
근의 공식을 통해 판별식 값의 음, 양 루트 관련 내용으로 설명을 하든, 이차함수 그래프 상의 꼭지점에서의 최솟값을 언급하든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EX2)
S: 조립제법에서 계수의 합이 0이면 X에 1을 대입해야 해요.
T: 왜??
S: ???
계수의 합이 의미하는 건 X항에 1을 대입했을 때 이며 이것을 알아야 향후 f(0), f'(0) 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EX3)
T : 역함수 존재조건이 뭐야?
S : 항상 증가하거나 감소해야해요.
T : 왜?
S : ???
일대일 대응이 왜 필요한지, 증가하다 감소하는 이차함수는 왜 역함수가 존재하지 않는지 등, 증가 감소가 이후 미분계수 양수,음수에서 어떻게 쓰이는 지 등 알아야합니다.
[ 문제 풀이를 위한 개념 / 수업에서 들은 내용은 본인이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세요. ]
2. 질문
: 모르는 문제를 질문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다만 고민을 해보고 질문하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의 차이는 큽니다. 고3이나 재수생,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소 6m 이상은 고민하고 질문했으면 좋겠습니다. 고민한 이후에는 바로 해설지를 보더라도 단계별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 풀이가 STEP 1, 2, 3 라면 1 보고 고민, 2보고 고민 이런식으로요. 그리고 주의해야하는 것은 해설지를 눈으로 읽고 이해가 되더라도 끝까지 답을 내야합니다. 막상 풀라 그러면 못 푸는 경우 정말 많습니다.
: 무작정 해설지만 보는 것이 걱정되고, 어떻게 어느정도 까지 고민하고 풀어야 하는 지 모른다면 해당 선생님께 힌트만 적어달라고 부탁하세요.
3. 오답노트
: 보통 학생들이 진행하는 오답에 대해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문제를 틀리고, 해당 문제에 대해 선생님께 설명을 듣고, 본인이 다시 풀어보고 마무리 됩니다. 우선 여기서 선생님이 풀어주는 단계에서 얼마나 디테일하게 잡아주는가가 가장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이 도형 문제를 틀렸고, 선생님이 풀이에서 어떤 보조선을 그엇고 그로 인해 답이 도출되는 풀이입니다. 그렇다면 학생들은 그냥 그 풀이를 단순하게 따라합니다. 하지만 해당 문제에는 [ 할선정리 ] [ 90도 삼각형의 닮음과 길이비 ] 의 개념이 사용되었고, 그로 인해 할선을 만들어주는 보조선을 그어야 하는 문제였습니다. 이런 문제에서 그냥 풀이만 보고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해당 문제에 쓰인 [할선 정리 ] [90도 삼각형의 닮음과 길이비] 등에 대해 개념 및 행동영역에 관한 설명을 듣고 정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노트작성이 귀찮으면 가볍게 옆에 적거나 색펜으로 해야하는 , 알게된 개념 행동영역을 적으세요. **
***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것 ***
1) 문제를 예쁘게 적고 정리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쓰는 것
2) 오답노트 시 그냥 해설지 눈으로 읽고 아 이해한다 하고 넘어가는 것
보통은 문제 위에 포스트잇을 붙이게끔 합니다.
*** 오답노트 주기 및 횟수 : 주기는 보통 2일, 7일, 14일 / 2회독, 3회독은 했으면 좋겠습니다. 모든 사람은 까먹습니다. 다시 여러 번 풀면서 문제에 쓰인 개념도 보이고 아 문제에서 이런 조건이 나오면 이렇게 생각해야하는구나. [x1<x2 이면 y1<y2 이다가 증가함수를 의미하는 것인데 미분계수로 나오면 증가형태 그래프 어쩌고 저쩌고..] 이런게 쓰였구나 등을 찾고 생각하면서 2번, 3번 회독을 하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딥하게 보는 것 아니면 여러 번 봐도 의미 없습니다.
특히 수학에 대해 어려워하는 학생들은 흔히 말하는 센스가 아쉬운 경우가 많습니다. 센스가 아쉬우면 행동영역이나 문제조건hint라도 잘 정리해서 센스가 있는 것처럼 문제풀이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문제집
: 모든 학생들이 그렇지만 상황에 맞는, 본인의 취약점에 맞는 문제집을 풀었으면 좋겠습니다. 정시 준비하는데 내신에만 나오는 쎈수학 C스텝 3년 전 기출문제를 풀 필요가 없습니다. 특히 고3학생들이라면 더더욱 부족한 부분에 맞는 문제집을 풀었으면 좋겠습니다. 등급에 맞게, 취약점에 맞게 하프모의고사문제집을 활용하기도 하고 계산량, 계산력이 부족하면 계산적으로 지저분한 4의규칙 시즌2나 빅포텐N제를 풀어야합니다.
** 끝으로 학원을 옮길 수도 있고, 과외를 바꿀 수도 있고 하지만 본질적인 문제를 찾고 그에 맞게 학원을 옮기든, 과외를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무조건 적인 변경은 오히려 아이들 학습에 조금은 아쉽지 않나 생각됩니다.
출처: https://cafe.naver.com/righteacher/939?tc=shared_link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똥먹기 13
미소녀 똥 우걱우걱
-
윤혜정 ㄷㄷ
-
언매 누구 들을까요 작수 언매 다맞았었는데 그뒤로 안 들여다봤더니 좀 까먹었어요...
-
복수했습니다 2
*주의 : 물1 실력이 낮아서 제 풀이가 쓸데없이 길 때가 있습니다. 가끔씩 물2...
-
두려움 따윈 없어 I say 호 You say 두
-
학교문법이라는 취지에 안 맞게 계속 견해가 다른 걸 둘 다 맞게 제시함. 통일된...
-
무슨 글을 쓰든 ㅈㄴ 웅장하게 느껴짐 중국 노래 나오는 것 같고..
-
공부는 올해 3월에 시작했고 작년에 그냥 재미로 풀어본 바로는 모고 기출들 대체로...
-
이건 난이도가 어케되나여 기하러분들 28번치고는 문제가 엄청 짫은거 같은데
-
칼바람 재밌어 4
-
잘자요 3
웅냥냥(하품물범이 우는소리)
-
간단해 4
애니프사 호 비애니프사 -
-
일단 난 이제 안함
-
고고링
-
좀만 스트레스 받아도 죽을려 해
-
그동안 속여서 죄송합니다..
-
오늘의 공부인증 6
국: 단과 복습, 강사 주간지 풀이, effect 문학 3지문풀이 수: 어싸...
-
수능때 어디 가셨나요....그리고 영어 커리 추천좀 해주세요...(고정3)
-
자 고고혓 감자깡 먹으면서 적어줄게요 는 아니고 지인선 풀고 적어줄게
-
무서워서안햇는데
-
사람들 이거 제일 힘들어 하지 않을까요
-
기각되면 국힘지지하는 식당 인용되면 민주당지지하는 식당 어느쪽이든 쌀먹가능해보이니...
-
절대 해달라는건아님뇨
-
호감도 이미지 한단어 56
기기혓
-
이미지(선생님아님) 적어드림 101
-
ㅈ반고 수시 칼럼..? 애피샌츄들이 보면서 비웃을거아냐
-
03이 5수라니 4
틀
-
엑셀 빡빡하구만 1
합성함수가니까 어지럽네 근데문제는좋은듯
-
3월 마지막주 집이 비어서 좀 풀어졌던 감이 있네요 다시 복귀~~^^
-
나보다 여기에 공부 훨씬 더 잘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너무 뻘쭘하고 쪽팔림
-
금명이 후배잖아..
-
저는 별로 안좋아함뇨 근데 스낵면은 ㅈㄴ 좋아함ㅋㅋ
-
진짜 연락 늦게 받네 집가면 연락한다면서...
-
홀수해 합성함수 짝수해 적분은 사실상 평가원이 공인한 공식임 ㅇㅇ
-
조금은 즐길 수도 있지 않을까 당장에 화낼 일이 너무 많아서 조금의 행복마저 저축을...
-
입시판 뜬다 3
어휴.. 수능 다시 못 보겠음…
-
드가자~~~~
-
무물보 5
개시다게
-
주식 하나샀다 5
내가 옳은 행동을 한거였으면
-
내가 범작가보다 국어 잘봤으니 저정도는 말해도 되지않을까
-
현역 수학 0
현역 고3입니다. 작수 92(28, 30틀)이고, 평소에 수능이나 모의고사 보면...
-
결과물이 기대되네요
-
레어 투기
-
무물보 5
마감입니다
-
영어 풀이 순서 2
듣기할때 21~24부분이 쉬우면 30번까지 품 실모풀땐 어려운경우가 많아서...
-
나도 무물보 해봄 18
질문 0개면 서운해
-
선지 베베꼬는 것 보단 나은ㄷ 스
-
라떼는 대성 타수 박광일 김상훈 전형태 김승리 김민경이었는데 대성 국어 라인업 지리긴했네 ㅋㅋ
-
원인분석 비상대책 마라톤 회의는 안열어야지
-
지난주에 발표함 문항 출제를 배제하는 것은 기본적인 원칙이고 평가원은 그러한 기조를...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