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문학 다 맞힌 AI, 문학 문제 빼라
2024-12-15 21:50:20 원문 2024-12-15 18:30 조회수 4,879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12594
▲ AI가 수능 국어 영역 문학 문제를 다 맞혔다고 한다. 이는 문학 문제를 풀기 위해 '문학 감상 능력'이 꼭 필요하지는 않다는 말이다. 이런 문학 문제를 수능에서 출제할 필요가 있을까?ⓒ 교육과정평가원
AI가 2025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에서 딱 한 문제만 틀렸다고 한다. 비문학에서 한 문제를 틀리고 문학 문제는 다 맞혔단다. AI가 수능 국어 영역 문학 문제를 다 맞혔다는 사실은 수능 국어 영역의 한계를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수능 국어 영역 문학 문제를 푸는 데 '문학 감상 능력'이 꼭 필요하지는 않는다...
-
부부 욕설·성관계 노골적 방송한 '이혼숙려캠프' 법정제재
02/10 22:47 등록 | 원문 2025-02-10 16:43
3 3
방심위, 탄핵 찬반집회 장면 바꿔 보도한 KBS 관계자 진술 (서울=연합뉴스)...
-
교육부 "2월 중 의대 '더블링' 교육 대책 종합해 발표"
02/10 22:34 등록 | 원문 2025-02-10 11:35
3 4
(세종=뉴스1) 이유진 기자 = 교육부는 2월 중으로 의학 교육 전반에 대한 대책을...
-
의정협상 제자리 속 경북대 의대 개강…출석 '한 자릿수'
02/10 22:28 등록 | 원문 2025-02-10 15:38
1 1
[이데일리 김윤정 기자] 의과대학 학생들의 복귀가 요원한 가운데 경북대 의대가...
-
02/10 21:01 등록 | 원문 2025-02-10 13:49
2 1
성균관대(총장 유지범)가 2024년 정보공시에서 73.8%의 취업률을 기록하며 9년...
-
공룡 물총 들고 "돈 내놔"...2분 만에 제압된 은행강도
02/10 19:58 등록 | 원문 2025-02-10 14:08
0 6
장난감 물총을 들고 은행에 침입해 돈을 빼앗으려던 강도가 고객과 은행 직원에게...
-
02/10 16:41 등록 | 원문 2025-02-10 06:03
0 1
저출생 쇼크 여파…2024년보다 늘듯 ‘젊은 도시’ 세종도 신입생 ‘0’ 학교...
-
“트럼프 사무라이 투구 주세요”…제작 문의 100배 늘어
02/10 13:35 등록 | 원문 2025-02-09 17:36
5 5
이시바 총리가 트럼프에 선물한 ‘금빛 사무라이 투구’ 초인기로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216이 좋아할 기사네
???: 내가 뭐랬냐, 문학은 일상언어가 맞다
AI가 2025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에서 딱 한 문제만 틀렸다고 한다.
제빌 문학 빼주세요
비문학에서 한 문제를 틀리고 문학 문제는 다 맞혔단다.
AI가 수능 국어 영역 문학 문제를 다 맞혔다는 사실은 수능 국어 영역의 한계를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수능 국어 영역 문학 문제를 푸는 데 '문학 감상 능력'이 꼭 필요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웅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AI가 문학을 감상할 수 있는 능력까지 갖추었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기에 하는 말이다.
AI가 수능 국어 영역 문학 문제를 다 맞혔다는 사실은 문학 문제도, 비문학 문제와 마찬가지로 제시된 지문과 선택지 사이의 논리적 관계 성립 여부를 확인하거나 추론할 수 있으면 풀 수 있다는 말이다.
문학 감상 능력 없이도 수능 국어 영역 문학 문제를 풀 수 있는 게 마땅하고 옳은 일인지 생각해 보아야 할 시점이다.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육은 철저하게 대학 입시에 종속되어 있다.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30년 넘게 근무하다 퇴직한 내 경험에서 우러난 생각이다.
문학 감상 능력이 없어도 수능 문학 문제를 풀 수 있으니, 고등학교 문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문학 감상 능력을 굳이 키워주려고 하지 않는다.
수능 문학 문제를 푸는 데 필요한 능력을 쌓아 주는 데 치중할 뿐이다.
그러니 학생들이 문학에 흥미를 가질 리가 없다. 오히려 고등학교 시절을 거치면서 문학에 대한 흥미를 잃는 경우가 허다하다 해도 결코 과언이 아닐 터이다.
우리가 문학을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문학에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이 들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고등학교 문학 수업 시간을 통해 문학 감상 능력을 키우면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고 삶에 공감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삭막함이 조금이라도 누그러지지 않겠는가. 고등학교에서의 제대로 된 문학 수업은 이처럼 막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논리가 이상한데 ㅋㅋ
객관화가 잘 돼있는 시험이라는 방증아닌가
ㄹㅇㅋㅋ
이게맞다 ㅋㅋ
ai도 못맞추는 비과학적인 비문학을 빼야지
감정이 정녕 인간만의 것인가?
ai가 못 맞히면 ai도 못 맞히는 문학문제가 필요하냐고 또 ㅈㄹ할거임
애초에 생각에서 전제가 문학은 내면 안된다라서..ㅡ
이거 기자 전제 자체가 잘못됨
수능에서 문학 없애면 수업시간에 소설 전체 읽겠냐? 차라리 비문학 한 지문 더 읽겠지
독못문잘이라 결사반대다 (올수능 독서5틀 문학만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