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철 물리학과/자연대/공대 질받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01303
대학원생 아저씨입니다.
재작년 쯤부터 입시철마다 물리학과/자연대/공대 진학 관련 질문을 받고 있는 것 같네요. 올해는 친척 막내동생이 입시를 치르고 있기도 하고,
나름 대학생활 열심히 한 만큼, 대학생활에 대한 질문도 열심히 댓글 달아드려요.
물리학과/자연대에 대해서는 상당히 높은 정확도로 대답할 수 있고, 공대에 대해서도 나름 잘 댓글 달아줄 수 있습니다(불확실한 정보는 '확실하진 않지만 듣기로는~' 등으로).
뭐 그거 말고도 진짜 물리학 관련 내용도 얼마든지 환영입니다. ^~^
올해 질받글
작년 질받글 중 일부
https://orbi.kr/00065600613 (중간정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ㅋㅋㅋㅋㅋㅋㅋㅋㅅㅂ
-
경력은 아직 없는데 올해 연세대 수리논술 최초합 + 올해 수능 미적 96점 (백분위...
-
잇올이나 이투스247 같은 독재학원은 걍 관리형 독서실이랑 똑같음? 아님 모의고사 같은 것도 해주나
-
일반적으로 기대가능한 등급이 뭘까요 미적노베라고 가정
-
스타일인데 다음에 만나는 사람은 나한테 맞춰주는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
부산의 붙여줘라 3
떼굴떼굴 굴러서 갈게
-
ㅈㄱㄴ
-
단국대 숭실대 8
진학사로 친구 라인 잡아주고 있는데 숭실대는 제일낮과가 4-5칸인 반면 단국대는...
-
별감정 x였으면 쌍방으로 시러지는데 내가 좋아하는 상대였으면 더 좋아짐
-
어떰??
-
한완수 실전개념까지 하면 충분할까요??
-
이왕이면 통합 물변표로
포스텍뱃지 개멋있다
신소재공 학사로 반도체, 배터리 취업이 되나요?
소재과 졸업한 친구들 반도체 취업해서 회사 다니고 있습니다.
학사졸 취업은 전공과 직무의 연결성이 어차피 얼마 없긴 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저 생지러라서 물리 화학 내용 다 잊어버렸는데 자연대 나 공대 가기 전에 뭘 미리 공부해두면 좋을까요? 일반물리 일반화학?
물리 화학 내용을 다 잊어버렸다면
수능특강이나 교과서 펴놓고 개념 정리 정도만 해도 될 것 같습니다
지금 예습을 하는건 의미가 없다고 봐요
대학원 입시는 학벌이 중요한가요 학과가 중요한가요?
대학원 들어갈 학과 학문에 대한 능력이 제일 중요합니다.
포스텍 부근 자취 어디를 제일 추천하시나요.. 차는 있습니다
차 있는 대학원생 분들은 이동, 시청 주변 및 대잠(성모병원 앞), 버스터미널 근처까지도 살더라고요.
개인적으로는 저 셋 중엔 시청 주변 및 대잠(성모병원 앞) 추천드립니다. 이동은 좀 시끄럽고, 터미널은 좀 멀긴 해서
학교 주변으로는 유강이 살기 좋은 동네입니다. 뚜벅이들은 유강에서 많이 살아요
물리학과를 졸업하면 어떤 일을 할 수 있나요?ㅠ
전 순수학문이 좋아서 진학하길 희망하는데 나중에 뭐 할 지 걱정됩니다
저도 궁금
공대 대학원쪽으로 빠진다는 말도 있던데
아래 댓 참조
학사 취업은 뭐 공대 수업 들으면서 알아서 살 길 찾으면 되는 거고, 대학이 높을수록(중요) 그게 크게 어려워지진 않을 겁니다.
자기 하기에 따라 반도체, 광학, 소자 쪽 등으로 갈 수 있습니다.
학사 졸업을 해서 하는 일은 뭐 물리학과랑 상관 없고,
SPK 정도 되는 대학에서 물리학과 대학원을 졸업하면 웬만해서는 삼전, 하닉 등 대기업 못 가는 사람 드묾니다.
대학원 졸업해서 어떤 일을 하는지 보려면 물리학과 홈페이지, 각 교수님들 연구실 홈페이지, 졸업생(Alumni) 정도 순서로 찾아가서 확인해보면 됩니다만, 솔직히 지금 막 대학에 입학한 학생이 '나는 대학원을 박사까지 졸업하고 ~~' 계획 세우는 건 99% 의미없는 행동입니다.
타과 수업들 듣고 컨택해서 타과 연구실 갈 수도 있죠. 물리학은 넓다 보니..
석사까지만해도 취업시 학사에 비해 메리트가 큰가요?
저는 잘 모르겠네요. 솔직히 석사 2년 동안은 뭘 제대로 배울 수가 없어서.
학사 취업이 안 돼서 울며 겨자먹기로 석사 하는 게 아니라면 돈 그냥 빨리 버는 게 이득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이건 제 판단이고, 사람마다 다를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