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내신) 질문ㅜㅜ 누구라도 답변해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560797
첫번째 사진이 용비어천가고 두번째가 훈민정음 언해본인데
왜 용비어천가에서는 '하다'가 의미의 이동이고 훈민정음 언해본에서는 어휘의 소멸인가요?ㅠ 다음주 화욜이 국어시험인데
네이버 카페, 지식인 심지어 콴다에 돈까지 써서 질문했는데 아무도 답변을 안해주셔서 여기까지 왔습니다
누구라도 제발 알려주세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냥 눈치를 많이 봐서 10
남 싫은 소리 잘 못하는건데 착하다는 소리 들으면 먼가 대답하기가 애매함
-
https://orbi.kr/00072744760 제출 기간 : 4/7(월)...
-
스블 수1은 거의 끝내서 기출 강의 병행하려 했는데 강의가 안 올라오네...
-
사도 비빔면 푸하하하하
-
근데궁금한점 7
그 잇올다니시는 모 오르비언님은 안오시나
-
인생을 왜 바꿈? 11
지금보다 외모 바뀌면 인생 ㅈ되는데 걍 지금처럼 살래
-
지금 중국에서 넘어오는 중국간첩들이 중국인인척 하는 북한인임? 개무서운데 ㄹㅇ
-
그렇다면 그런거임
-
쪽지 봐줘 오빠들
-
이건뭐임뇨 ㅋㅋ 8
필다리없는 장애인지킴이집은 없는데 여성안전 지킴이집이있는건 여성=장애인보다...
-
옯스타에 올린거 여기도 올려본다
-
대학생 시험기간 5
대략 언제쯤부터 공부하는 게 맞을까요? 굳이 전공 따지자면 문과생 기준으로 매 차시...
-
자랑좀 할게요 4
지금 생각해보면 걍 스탠딩으로 할걸 그랬음
-
말씀 드려야 할까요? 고3 담임쌤이요
-
내일부터는 4
잃어버린 안경도 찾았겠다 개찐따룩ㄱㅂㅈㄱ
-
이거 왜 이럼
-
시간이남아도나..ㅋㅋ용
-
그럼 게이겠냐?
-
문제 하나하나 풀때마다 벽느껴짐..
하나는 ~하다고
하나는 ~하니라 여서 그런듯 합니다
그럼 왜 달라지는건가요..??
개인적으로 '하다'를 의미 이동의 예시로 설명하는 학교문법이 매우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14 예비에서 '하다'를 의미 이동으로 보기도 했다는 사실), 의미의 이동은 별개의 단어로 보지 않을 때, 어휘의 소멸은 별개의 단어로 볼 때의 관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자의 '하다'를 이동으로 보면 후자의 '하다'도 이동으로 봐야 할 겁니다. 두 단어의 관계를 인정한다는 것이니까요.
애초에 하다(many)는 ㅏ였고 하다(do)는 아래아였어서 의미 이동이고 자시고 할 게 아닌데...
답변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학교선생님한테 여쭤보든지 해야겠네요.ㅜㅜ
찾아보니 비상교육 교재(평가문제집 고등국어(박안수) 하-학생용) 정오표에서
"‘하·니·라’의 ‘하다’는 ‘많다’를 뜻하였는데, 현대 국어의 ‘하다’는 ‘사람이나 동물, 물체 따위가 행동이나 작용을 이루다.’라는 뜻이므로 의미 이동이 일어난 것이다"라는 서술을
"하·니·라’의 ‘하다’는 중세 국어에서 ‘많다’, ‘크다’ 등을 뜻하였는데, 그 다의성 때문에 점차 소멸되어, 현대 국어에서 단일 어휘로는 쓰이지 않는다. ‘하고많은’, ‘황소’ 등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로 수정하였는데 아마 교과서를 만드는 교수님들 사이에서 제가 말한 부분을 고려하여 이동이 아니라 소멸로 의견을 바꾸신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학교선생님께서는 아마 이 설명을 보고 학습지에 하나는 의미 이동으로, 다른 하나는 의미 소멸로 넣으신 게 아닐까 싶습니다. 제대로 된 답이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학교 선생님께 일단 한번 여쭤는 보세요.
아하 어떤 느낌인지 이해됐어요. 시간쓰시며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ㅜ 월요일에라도 쌤한테 여쭤보긴 해야겠어요.